AD
정부의 이주노동자 지원 정책이 후퇴하고 있다는 시민단체 지적이 나왔습니다.
이주노동자평등연대 등 이주노동자 관련 단체들은 오늘(12일)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용노동부가 내년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예산을 삭감해, 이주노동자의 안정적인 생활 지원이 어려워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이주노동자의 임금 체불 발생비율도 내국인의 3배에 달하고 올해 임금체불액도 천3백억 원이 넘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정부가 마땅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주노동자가 사업주 동의 없이 사업장을 변경할 수 없는 제도를 폐지하는 등 이주노동자의 권리를 제대로 보장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윤태인 (ytae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주노동자평등연대 등 이주노동자 관련 단체들은 오늘(12일)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용노동부가 내년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예산을 삭감해, 이주노동자의 안정적인 생활 지원이 어려워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이주노동자의 임금 체불 발생비율도 내국인의 3배에 달하고 올해 임금체불액도 천3백억 원이 넘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정부가 마땅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주노동자가 사업주 동의 없이 사업장을 변경할 수 없는 제도를 폐지하는 등 이주노동자의 권리를 제대로 보장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윤태인 (ytae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