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제품' 회수율 절반 미만...중고 거래 버젓이

'라돈 제품' 회수율 절반 미만...중고 거래 버젓이

2023.10.11. 오전 05:2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5년 전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돼 대대적인 리콜 사태로 이어졌던 일 기억하시는 분들 계실 텐데요.

그러나 당시 문제가 됐던 제품의 회수율이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데다, 중고 거래도 버젓이 이뤄지고 있어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윤웅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018년 시중에 팔려나간 침대와 매트리스, 베개 등에서 1급 발암 물질로 분류되는 라돈이 검출됐습니다.

대부분 신체와 직접 맞닿는 제품이라 충격이 더 컸는데, 결국 대규모 리콜로 이어졌습니다.

그런데 라돈이 검출된 제품 28만여 개 가운데 수거가 이뤄진 건 지난해 11월까지 13만 4천여 개,

회수율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이에 대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개인이 제품을 자체 폐기했거나 제조업체가 폐업한 경우는 회수율에 반영되지 않는다며, 이미 상당수가 회수됐거나 폐기됐을 거라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이런 기대와는 달리, 라돈이 검출된 제품은 지금도 중고 시장에서 버젓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른바 '라돈 침대 파문'이 시작된 대진 침대를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 검색했더니 판매 글이 주르르 뜹니다.

판매자가 제품명을 기재하지 않은 건 제외하더라도, 라돈이 검출돼 리콜 대상에 오른 모델도 여러 건 확인됩니다.

판매자들 대부분은 자신이 내놓은 제품에 문제가 있다는 걸 까맣게 모르고 있었습니다.

[라돈 검출 제품 나눔글 게시자 : 전혀 몰랐는데, 그게 리콜 제품이었나요? 예 그거는 알고 있는데, 저희 제 침대가 그런 줄은 몰랐어요.]

원안위도 라돈 검출 제품과 관련해 플랫폼마다 금칙어를 설정하는 식으로 중고 판매 글을 차단하는 장치를 두긴 했습니다.

다만, 문제가 되는 제품의 브랜드와 모델명을 모두 써넣어야 거래가 막힐 뿐, 둘 중 하나만 적으면 따로 제한이 없어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장경태 / 더불어민주당 의원 : 브랜드명이나 유사한 제품명으로 중고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더구나 원안위에는 모니터링 인력이 없어서 신고에 의존하기에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라돈의 유해성이 사라지기까지는 어마어마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정부가 직접 리콜 대상 제품 수거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조승연 / 연세대학교 라돈안전센터장 : 아직도 그게 회수가 안 되고 국민들이 사용하고 있다면 그건 심각하게 우려됩니다. 몇십 년이 지나도 똑같이 유해합니다. 왜냐면 (라돈의) 모핵종 반감기가 수십 억년, 백억 년 이렇거든요. 없어지는 물질이 아닙니다.]

원안위는 라돈 검출 제품의 회수율을 높이고 개인들 간의 거래를 막을 수 있도록 중고거래 플랫폼과의 협력을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윤웅성입니다.



YTN 윤웅성 (yws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