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점검] 지난해 폭우로 침수된 지하철역...올해 대비 상황은?

[현장점검] 지난해 폭우로 침수된 지하철역...올해 대비 상황은?

2023.06.14. 오후 2:2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서울시, 지하철 출구 대부분에 물막이판 설치
민간 관리 출구 10여 곳엔 미설치…"강제 어렵다"
지난해 폭우에 이수역 무정차…9호선도 운행 중단
3명이 출구 10곳 관리…"인력 부족이 피해 키워"
AD
[앵커]
장마철을 앞두고, YTN이 지난해 침수 피해를 입었던 현장을 찾아 대비 상황을 점검하는 기획 보도를 이어갑니다.

첫날인 어제 서울 신림동 반지하촌을 찾은 데 이어서, 오늘은 폭우로 침수되면서 퇴근길 혼란을 빚었던 곳이죠,

서울 지하철 이수역 상황을 알아보겠습니다.

현장에 나간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유서현 기자!

[기자]
네,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역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이수역이 물에 잠기게 된 과정이 어땠는지, 또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설명해주시죠.

[기자]
네, 제가 나와 있는 이곳 이수역 9번 출구는 다른 출구들보다 지대가 낮고 이렇게 위가 뻥 뚫려 있습니다.

그래서 지난해 폭우 때 이곳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빗물이 집중적으로 유입됐습니다.

역사 안까지 물이 밀려 들어왔고, 아래층 승강장 천장은 고인 빗물 무게를 이기지 못해 무너져 내렸는데요,

올해 대비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YTN이 열 달 만에 이곳을 다시 찾았습니다.

출입구 양쪽 벽면엔 이렇게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40cm 높이의 물막이판이 2개씩 붙어있습니다.

지난해에도 하나씩 있긴 했지만, 한 시간에 최대 140mm까지 쏟아졌던 폭우를 버티기엔 역부족이었는데요,

이제 빗물이 지면에서 80cm 높이까지 차올라도 막아낼 수 있도록 개선한 겁니다.

서울시는 올해 지하철역 330여 곳의 천9백여 개 출구 대부분에 물막이판을 하나씩 설치했습니다.

하지만 YTN 취재 결과,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삼역 6번 출구나, 4호선 서울역 10번 출구 등 10여 곳에는 여전히 물막이판이 없었습니다.

민간 건물이 관리하는 지하철 출구라 물막이판 설치하는 데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협조가 이뤄지지 않으면 어쩔 수 없다고 서울교통공사는 설명합니다.

그러나 다른 출구를 전부 틀어막아도 한 곳에서 빗물이 들어오기 시작하면, 역은 결국 침수될 수 있습니다.

지하철 역사는 대피소로도 활용될 정도로 공공성을 띠는 만큼, 민간이 관리하는 출구도 아우를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앵커]
설비가 있다고 하더라도, 폭우가 쏟아질 때 발 빠르게 설치하는 것도 중요하지 않습니까?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해 8월 폭우 때 상황을 되짚어보면, 제가 지금 나와 있는 지하철 7호선 이수역은 열차가 무정차 통과했고요,

9호선에서도 동작역 전체가 침수되고, 바로 옆 구반포역 선로까지도 물이 넘치면서 일부 구간 운행이 중단돼 퇴근길 시민들이 큰 혼란을 겪었습니다.

위급한 상황에 대처할 인력이 모자란 탓에 이렇게 이수역과 동작역에서 침수 피해가 커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는데요,

당시 이곳 이수역에서는 직원 2명과 사회복무요원 1명이 출구 10곳을 모두 관리하고 있었고,

9호선 동작역에서도 역무원 2명만이 근무하고 있었습니다.

사람이 물막이판을 꺼내와 하나하나 설치해야 하다 보니, 짧은 시간에 퍼붓는 비에 신속히 대응하기 어려웠던 겁니다.

이 때문에, 폭우가 예상되면 현장 근무 인력을 평시보다 늘리는 등 상황에 맞게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지금까지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역에서 YTN 유서현입니다.


촬영기자 : 홍덕태 이근혁



YTN 유서현 (woni041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