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올해 상반기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는 공사 금액 50억 원 이상 건설 현장 사망사고의 절반이 기계·장비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올해 1월 27일부터 6월 30일까지 이 법이 적용되는 건설 현장 사망사고는 36건이었습니다.
사고 기인물별로 살펴보면 기계·장비가 19건으로 전체의 52.8%를 차지했고 건축·구조물이 15건, 설비 등 기타가 2건입니다.
기계·장비 19건을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굴착기 6건, 이동식 크레인 4건, 콘크리트 펌프카·고소 작업대·리프트 등 각 2건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공사 금액 50억 원 이상 건설 현장의 전체 사망사고는 54건에서 36건으로, 건축·구조물 사망사고는 27건에서 15건으로 줄었지만, 기계·장비 사망사고는 17건에서 19건으로 오히려 늘었습니다.
기계·장비 사망사고는 하반기 들어서도 이어져 이달 1∼21일 공사 금액 50억 원 이상의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 10건 중 4건이 기계·장비에 의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노동부는 주요 건설 현장에 기계·장비 작업을 할 때 안전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올해 1월 27일부터 6월 30일까지 이 법이 적용되는 건설 현장 사망사고는 36건이었습니다.
사고 기인물별로 살펴보면 기계·장비가 19건으로 전체의 52.8%를 차지했고 건축·구조물이 15건, 설비 등 기타가 2건입니다.
기계·장비 19건을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굴착기 6건, 이동식 크레인 4건, 콘크리트 펌프카·고소 작업대·리프트 등 각 2건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공사 금액 50억 원 이상 건설 현장의 전체 사망사고는 54건에서 36건으로, 건축·구조물 사망사고는 27건에서 15건으로 줄었지만, 기계·장비 사망사고는 17건에서 19건으로 오히려 늘었습니다.
기계·장비 사망사고는 하반기 들어서도 이어져 이달 1∼21일 공사 금액 50억 원 이상의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 10건 중 4건이 기계·장비에 의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노동부는 주요 건설 현장에 기계·장비 작업을 할 때 안전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