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대한간호협회
AD
코로나19 감염으로 음압 병동에 홀로 격리된 할머니를 위해 방호복을 입은 채 화투 놀이를 하던 모습으로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된 사진 속 의료진은 삼육서울병원 간호사 이수련(29) 씨로 밝혀졌다.
3일 대한간호협회(이하 간협)에 따르면 해당 사진은 간협이 공모한 '제2차 간호사 현장 수기·사진전'에 출품된 것이다.
사진 속 박 모(93) 할머니는 지난해 8월 1일 코로나19로 서울의 삼육서울병원 음압 병상에 입원했다. 중등도 치매 환자였던 할머니는 요양원에서 감염돼 코로나19 전담병원인 이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고열로 기운이 뚝 떨어진 상태였다.
다른 입원 환자들과 달리 고령인 할머니는 격리병실에서 적적해하고 힘들어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활 치료 간호 경험이 있던 한 간호사가 치매 환자용 그림 치료를 제안했다. 화투를 이용한 꽃 그림 맞추기와 색연필로 색칠하기였다.
양소연(33) 간호사는 "치매에 보호자도 없이 홀로 병실에 계시는 게 너무 위험해 보였고, 입원 이튿날부터 놀이 시간을 만들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화제의 사진 속 주인공인 이수련 간호사는 "격리병상에서 환자가 말을 나눌 사람은 간호사밖에 없지 않으냐"며 "계속 졸기만 하는 할머니를 깨우고 달래 기운을 차리게 하는 방법이 없을지 궁리한 결과였다"고 말했다.
할머니는 그림 그리는 시간 내내 졸기도 했지만, 이 씨 등 간호사 10여 명은 서로 돌아가면서 그림 치료를 멈추지 않았다. 할머니의 식사 챙기기부터 기저귀 갈아주기 등 어려움의 연속이었으나, 이들은 할머니가 잘 치료받고 퇴원하시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했다.
간호사들은 할머니가 가족들과 영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돕기도 했다. 가족들은 "곧 퇴원하니 기운 차리고 건강하세요. 사랑합니다"라며 할머니를 위로했다.
할머니는 코로나19 중등도에서 경증으로 바뀌면서 '음성' 판정을 받고 보름 만에 퇴원했다.
이 간호사는 "코로나 환자들을 돌보는 것은 저도 감염될까 두려운 일이지만,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환자들을 안심하게 배려하고, 잘 치료받고 퇴원하시도록 돌봐주는 것밖에 없다"고 전했다.
YTN digital 이은비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3일 대한간호협회(이하 간협)에 따르면 해당 사진은 간협이 공모한 '제2차 간호사 현장 수기·사진전'에 출품된 것이다.
사진 속 박 모(93) 할머니는 지난해 8월 1일 코로나19로 서울의 삼육서울병원 음압 병상에 입원했다. 중등도 치매 환자였던 할머니는 요양원에서 감염돼 코로나19 전담병원인 이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고열로 기운이 뚝 떨어진 상태였다.
다른 입원 환자들과 달리 고령인 할머니는 격리병실에서 적적해하고 힘들어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활 치료 간호 경험이 있던 한 간호사가 치매 환자용 그림 치료를 제안했다. 화투를 이용한 꽃 그림 맞추기와 색연필로 색칠하기였다.
양소연(33) 간호사는 "치매에 보호자도 없이 홀로 병실에 계시는 게 너무 위험해 보였고, 입원 이튿날부터 놀이 시간을 만들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화제의 사진 속 주인공인 이수련 간호사는 "격리병상에서 환자가 말을 나눌 사람은 간호사밖에 없지 않으냐"며 "계속 졸기만 하는 할머니를 깨우고 달래 기운을 차리게 하는 방법이 없을지 궁리한 결과였다"고 말했다.
할머니는 그림 그리는 시간 내내 졸기도 했지만, 이 씨 등 간호사 10여 명은 서로 돌아가면서 그림 치료를 멈추지 않았다. 할머니의 식사 챙기기부터 기저귀 갈아주기 등 어려움의 연속이었으나, 이들은 할머니가 잘 치료받고 퇴원하시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했다.
간호사들은 할머니가 가족들과 영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돕기도 했다. 가족들은 "곧 퇴원하니 기운 차리고 건강하세요. 사랑합니다"라며 할머니를 위로했다.
할머니는 코로나19 중등도에서 경증으로 바뀌면서 '음성' 판정을 받고 보름 만에 퇴원했다.
이 간호사는 "코로나 환자들을 돌보는 것은 저도 감염될까 두려운 일이지만,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환자들을 안심하게 배려하고, 잘 치료받고 퇴원하시도록 돌봐주는 것밖에 없다"고 전했다.
YTN digital 이은비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