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먹다의 ‘먹’과 방송의 ‘방’이 합쳐진 ‘먹방’은 인터넷 개인방송 진행자들이 자신이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유행한 콘텐츠다.
1인 가구나 젊은 층 사이에서는 ’먹방’을 보면서 먹으면, 혼자 밥을 먹을 때에도 다른 사람과 같이 먹는 것 같아서 좋다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인기있는 인터넷 콘텐츠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먹방 시청 시간이 길면 과체중과 비만이 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15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전남대 식품영양학부 정복미 교수팀이 2019년 5월 먹방 시청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먹방 시청 시간이 식행동과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20세 이상 성인의 먹방 시청 시간에 따른 식행동 비교 연구)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먹방의 주당 시청 시간은 7시간 미만이 318명(39.7%)으로 가장 많았다. 주 7시간 이상∼14시간 미만과 14시간 이상은 각각 241명(30.1%)으로, 먹방 시청자 10명 중 4명은 하루 평균 1시간 이상 먹방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보다는 남성, 20∼30대 젊은 층에서 주 14시간 이상 먹방을 시청하는 비율이 높았다.
평균 체중은 남녀 모두에서 주당 먹방 시청 시간 7시간 미만인 사람보다 14시간 이상인 사람이 더 나갔다. 주당 먹방 시청 시간 7~14시간 미만과 14시간 이상인 남성은 평균 체질량지수(BMI, 비만의 척도)가 과체중 상태였다.
여성은 먹방 시청 시간이 14시간 미만인 여성의 평균 BMI는 정상 범위였으나 14시간 이상인 여성의 평균 BMI는 과체중으로 나타났다.
먹방 시청 시간은 아침 식사 빈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먹방을 주 14시간 이상 보는 사람이 아침을 거르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아침을 매일 챙겨 먹는 비율은 먹방 시청 시간이 7시간 미만인 사람이 가장 높았다.
또한, 먹방 시청 시간이 긴 사람은 배달 음식 주문과 야식이 더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논문에서 “주당 먹방 시청 시간이 긴 사람은 탄수화물 식품과 육류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으며, 먹방 시청 시간이 짧은 사람은 채소·과일을 선호했다”고 지적하고 잦은 야식과 폭식은 비만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YTN PLUS 최가영 기자
(weeping07@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인 가구나 젊은 층 사이에서는 ’먹방’을 보면서 먹으면, 혼자 밥을 먹을 때에도 다른 사람과 같이 먹는 것 같아서 좋다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인기있는 인터넷 콘텐츠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먹방 시청 시간이 길면 과체중과 비만이 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15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전남대 식품영양학부 정복미 교수팀이 2019년 5월 먹방 시청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먹방 시청 시간이 식행동과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20세 이상 성인의 먹방 시청 시간에 따른 식행동 비교 연구)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먹방의 주당 시청 시간은 7시간 미만이 318명(39.7%)으로 가장 많았다. 주 7시간 이상∼14시간 미만과 14시간 이상은 각각 241명(30.1%)으로, 먹방 시청자 10명 중 4명은 하루 평균 1시간 이상 먹방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보다는 남성, 20∼30대 젊은 층에서 주 14시간 이상 먹방을 시청하는 비율이 높았다.
평균 체중은 남녀 모두에서 주당 먹방 시청 시간 7시간 미만인 사람보다 14시간 이상인 사람이 더 나갔다. 주당 먹방 시청 시간 7~14시간 미만과 14시간 이상인 남성은 평균 체질량지수(BMI, 비만의 척도)가 과체중 상태였다.
여성은 먹방 시청 시간이 14시간 미만인 여성의 평균 BMI는 정상 범위였으나 14시간 이상인 여성의 평균 BMI는 과체중으로 나타났다.
먹방 시청 시간은 아침 식사 빈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먹방을 주 14시간 이상 보는 사람이 아침을 거르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아침을 매일 챙겨 먹는 비율은 먹방 시청 시간이 7시간 미만인 사람이 가장 높았다.
또한, 먹방 시청 시간이 긴 사람은 배달 음식 주문과 야식이 더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논문에서 “주당 먹방 시청 시간이 긴 사람은 탄수화물 식품과 육류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으며, 먹방 시청 시간이 짧은 사람은 채소·과일을 선호했다”고 지적하고 잦은 야식과 폭식은 비만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YTN PLUS 최가영 기자
(weeping07@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