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YTN
AD
부산시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자가격리 무단 이탈자에 대한 조치를 강화한다고 11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부산 자가격리자 수는 9일 기준 3천553명이다. 부산은 지난해 12월 6일 자가격리자 6천235명으로 최고점을 찍은 뒤, 감소해 지난달부터 3천 명 대를 유지 중이다.
하지만 최근 자가격리자의 무단 이탈 상황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무단 이탈자 수는 9일 기준 189명(확진자 접촉 104명, 해외 입국 85명)이다. 불시점검에서 100명, 주민신고 33명, 지리정보시스템(GIS) 10명, 앱 이탈 29명, 역학조사 6명, 경찰 적발 6명, 기타 적발 5명 등이다.
이들은 타인과의 접촉 정도, 고의성 등을 고려해 검찰에 송치하거나 계도했다.
무단 이탈자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자, 시는 자가격리 무단 이탈자 관리 강화 방안을 내놨다.
시는 무단 이탈자에 대해 직장 내 유급 휴가비, 가구당 생활지원비, 재난지원금 등 각종 혜택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또 자가격리 중 무단 이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해외입국자, 젊은 연령층, 자가격리 앱 미설치자 등을 집중적으로 관리·점검할 예정이다. 아울러 자가격리 앱의 동작 감지 주기를 기존 2시간에서 1시간으로 변경해 촘촘하게 관리하기로 했다.
끝으로 시는 무단 이탈자에 '원 스트라이크 아웃' 제도를 적용해 자가격리를 어기면 무관용 고발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YTN PLUS 이은비 기자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시에 따르면 부산 자가격리자 수는 9일 기준 3천553명이다. 부산은 지난해 12월 6일 자가격리자 6천235명으로 최고점을 찍은 뒤, 감소해 지난달부터 3천 명 대를 유지 중이다.
하지만 최근 자가격리자의 무단 이탈 상황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무단 이탈자 수는 9일 기준 189명(확진자 접촉 104명, 해외 입국 85명)이다. 불시점검에서 100명, 주민신고 33명, 지리정보시스템(GIS) 10명, 앱 이탈 29명, 역학조사 6명, 경찰 적발 6명, 기타 적발 5명 등이다.
이들은 타인과의 접촉 정도, 고의성 등을 고려해 검찰에 송치하거나 계도했다.
무단 이탈자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자, 시는 자가격리 무단 이탈자 관리 강화 방안을 내놨다.
시는 무단 이탈자에 대해 직장 내 유급 휴가비, 가구당 생활지원비, 재난지원금 등 각종 혜택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또 자가격리 중 무단 이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해외입국자, 젊은 연령층, 자가격리 앱 미설치자 등을 집중적으로 관리·점검할 예정이다. 아울러 자가격리 앱의 동작 감지 주기를 기존 2시간에서 1시간으로 변경해 촘촘하게 관리하기로 했다.
끝으로 시는 무단 이탈자에 '원 스트라이크 아웃' 제도를 적용해 자가격리를 어기면 무관용 고발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YTN PLUS 이은비 기자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