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진 출처 =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AD
코로나19 확산세로 교육부가 전국의 모든 유치원과 초중고교 개학일을 오는 9일에서 23일로 2주 더 연기했다. 이런 가운데 유치원비를 기존처럼 납부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 학부모들의 불만이 나오고 있다.
사실상 유치원비에 포함됐던 식비와 교구 비용 등이 약 3주간 가정에서 추가로 나가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달 24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코로나로 인한 휴원 시 유치원비 감면'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장기 휴원 시 원비를 면제해 달라. 아이들 보내지도 않는데 가정 보육 하면서 원비까지 부담해야 한다니 더욱 부담스럽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로 인해 퇴소를 고민하는 엄마들도 있고 유치원비가 부담되는 가정도 많다"라며 "최소한 유치원비나 비용을 학부모도 알 수 있게 투명하게 공개되었으면 한다. 체험학습도 미리 불참하겠다고 이야기하면 그 경비도 돌려줘야 마땅하지 않나"라고 했다.
해당 청원에는 5일 오전 10시 현재 2만 3천여 명이 동의했다.
각종 온라인 맘카페에서도 유치원비 납입에 대한 학부모들의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국가지원금을 뺀 3월 원비가 이미 납입됐다는 학부모들이 다수였다.
한 학부모는 "유치원비와 특강비 등을 월초에 입금한다. 총 3주나 아무런 활동을 안 하는데 유치원비는 그대로 한 달분을 내야 하는 거냐"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또 다른 학부모들은 "아이가 다니는 유치원에서 별 다른 연락이 없다"라고 혼란스러워 했다. "3월은 거의 안 가는데 한 달 치 원비를 다 내야하는 건지 속상하다", "2월에도 자율 등원이라 빠지는 날이 많았어서 돈 아깝다", "이미 유치원을 퇴소했다"와 같은 반응이 이어졌다.
교육부는 수업일수가 단축된 것이 아닌 개학 연기로 학사일정이 순차적으로 미뤄진 것이기 때문에 원비 환급은 사실상 어렵다는 입장이다. 유치원마다 긴급 보육을 하거나, 교사들이 업무를 하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강제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것이다.
YTN PLUS 문지영 기자(moon@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사실상 유치원비에 포함됐던 식비와 교구 비용 등이 약 3주간 가정에서 추가로 나가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달 24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코로나로 인한 휴원 시 유치원비 감면'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장기 휴원 시 원비를 면제해 달라. 아이들 보내지도 않는데 가정 보육 하면서 원비까지 부담해야 한다니 더욱 부담스럽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로 인해 퇴소를 고민하는 엄마들도 있고 유치원비가 부담되는 가정도 많다"라며 "최소한 유치원비나 비용을 학부모도 알 수 있게 투명하게 공개되었으면 한다. 체험학습도 미리 불참하겠다고 이야기하면 그 경비도 돌려줘야 마땅하지 않나"라고 했다.
해당 청원에는 5일 오전 10시 현재 2만 3천여 명이 동의했다.
각종 온라인 맘카페에서도 유치원비 납입에 대한 학부모들의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국가지원금을 뺀 3월 원비가 이미 납입됐다는 학부모들이 다수였다.
한 학부모는 "유치원비와 특강비 등을 월초에 입금한다. 총 3주나 아무런 활동을 안 하는데 유치원비는 그대로 한 달분을 내야 하는 거냐"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또 다른 학부모들은 "아이가 다니는 유치원에서 별 다른 연락이 없다"라고 혼란스러워 했다. "3월은 거의 안 가는데 한 달 치 원비를 다 내야하는 건지 속상하다", "2월에도 자율 등원이라 빠지는 날이 많았어서 돈 아깝다", "이미 유치원을 퇴소했다"와 같은 반응이 이어졌다.
교육부는 수업일수가 단축된 것이 아닌 개학 연기로 학사일정이 순차적으로 미뤄진 것이기 때문에 원비 환급은 사실상 어렵다는 입장이다. 유치원마다 긴급 보육을 하거나, 교사들이 업무를 하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강제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것이다.
YTN PLUS 문지영 기자(moon@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