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최초 '월드바리스타챔피언십' 우승...전주연 바리스타

한국인 최초 '월드바리스타챔피언십' 우승...전주연 바리스타

2019.04.29. 오후 8:0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변상욱 앵커, 안보라 앵커
■ 출연: 전주연 / 2019 월드바리스타챔피언십 우승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점심식사가 끝나면 커피숍에 들러서 커피 한잔 사들고 사무실에 들어가는 게 우리의 일상이 됐잖아요. 골목마다 커피숍이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그만큼 커피를 많이들 소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커피. 이거 글쎄요, 가능할까요? 한국인 최초로 월드바리스타 챔피언십에 우승한 분이 있어서 저희가 어렵게, 어렵게 모셨습니다. 2019년 WBC 우승자세요. 전주연 씨 나오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반갑습니다.

[앵커]
대단합니다. 부산에서 막 달려온 거군요. 감사합니다.

이렇게 뉴있저에 와주셔서 너무 감사하고. 그 소식 듣고 정말 뛸 듯이 기뻤다라는 표현이 딱 맞습니다만 그러나 지금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WBC가 무슨 대회인지 설명해 주세요.

[인터뷰]
우선 WBC은 약 60개국이 참여하는 커피업계에서는 가장 큰 이벤트고요. 이 자리에 서기 위해서는 각 나라에서는 한 명, 딱 우승자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우리나라 국대인 거죠?

[인터뷰]
그렇습니다.

[앵커]
몇 번째 가신 거예요?

[인터뷰]
WBC에는 두 번째 참가한 거였고요. 국내 대회 참가한 거는 총 9번 참가했습니다.

[앵커]
이게 어떤 방식으로 평가되는 건가요?

[인터뷰]
시연 시간은 총 15분이 주어지고요. 이 15분 동안 바리스타가 생각하는 철학 주제를 프리젠테이션과 함께 약 12잔의 음료를 심사진들에게 제공해야 됩니다.

[앵커]
15분에 12잔을 만들어서 제공하면서 자기의 커피 철학을 설명하고.

[인터뷰]
그렇습니다.

[앵커]
그런데 12잔을 그냥 마시고 있는데도 15분 훌딱 지날 것 같은데. 엄청 바쁘겠군요, 그러면. 전략을 어떻게 짜셨어요?

[인터뷰]
아무래도 오랫동안 준비를 하다보니까 자연스럽게 준비가 되어졌고요. 그래도 조금 더 심사위원이랑 선수가 최대한 가깝게 음료를 마실 수 있고 정말 서비스적인 부분이 도드라질 수 있게 준비를 했었습니다.

[앵커]
이쪽에서 내려서 저쪽에 있는 심사위원에게 쭉 갖다주는 게 아니라 바싹 붙었다라는 말씀인가요?

[인터뷰]
그렇습니다. 심사위원이랑 선수 사이는 항상 테이블이 존재해요. 우리가 보통 바리스타가 커피를 서버할 때 테이블 위에 올려주잖아요. 그런데 보통 사람들 혹은 손님들 앞에 테이블이 위치하고 있어요.

그러면 아무리 다가가더라도 이 테이블이 벽이 되는 거예요. 그래서 테이블을 없애고 조금 더 테이블을 낮춰서 그 위에 앉게 만들었었습니다.

[앵커]
그 점에 다른 선수와 다른 점이었고 또 그 점이 심사위원의 마음을 울렸겠군요.

[인터뷰]
그렇습니다.

[앵커]
주제가 탄수화물이 커피의 향미에 미치는 영향이라고 제가 들었는데 이 주제를 선택하신 이유가 있습니까?

[인터뷰]
굉장히 어려운 주제이기는 한데요.

[앵커]
제목만 봐도 어려워요. 상식에 의하면 탄수화물이라고 하면 단맛과 관련이 있다 할 정도.

커피 많이 아세요?

[인터뷰]
제가 생각했을 때는 커피 한잔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단맛이라고 생각을 했고 과연 이 단맛은 커피에 어떤 성분이 만들어내는 것인가라고 조사하던 중에 도출되어진 단어가 탄수화물이었습니다.

[앵커]
예를 들어 술 만들 때 쌀을 갖다가 어떻게 깎느냐의 문제도 있는데 그게 다 단백질이나 탄수화물 때문에 조금 덜 깎고 더 깎고 하는 거니까 비슷한 거 같긴 합니다. 잘 모르겠습니다. 어렵습니다.

죄송합니다. 우승의 영광을 안았을 때의 소감을 물었어야 했는데 조금 지나다보니까...

[인터뷰]
우선 너무 오랜 시간 준비하다 보니까 굉장히 행복했고 사실 믿겨지지 않더라고요. 내가 1등이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었고요.

무엇보다도 기쁜 마음보다는 이제 한국이 그동안 커피의 수준이라고 해야 될까요? 수준에 비해서는 그동안 관심을 받지 못해 왔었습니다.

그런데 저의 이름과 같이 한국이라는 이름을 1위에 랭크할 수 있게 돼서 너무 기뻤습니다.

[앵커]
국위선양까지 하고 오셨어요.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맨 처음 커피에 입문해서 일을 시작하셨을 때의 신분은 커피 카페 알바셨나요?

[인터뷰]
파트타임으로 일을 했었습니다. 그냥 만드는 게 좋아서 시작했는데 또 좋아하다 보니까 꾸준히 하게 되더라고요.

[앵커]
그러니까 그 소식을 듣고 난 다음에 카페에 가면 그 알바생들도 그냥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 거예요.

[인터뷰]
맞아요.

[앵커]
저쪽에서 나중에 어떤 챔피언이 나올지 모른다 이런 생각이 드는 거예요.

커피 마실 때마다 감회가 다르겠어요. 1등의 영광, 환호 뒤에는 9년간 인고의 시간이 있었다고 해요. 사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하는 시간이긴 한데 9년이라는 그런 시간을 어떻게 견디셨고 어떻게 포기하지 않을 수 있었는지 그 비결이 듣고 싶습니다.

[인터뷰]
우선 제가 바리스타를 직업으로 삼게 된 게 2009년이고요. 2009년도에 이 WBC라는 걸 처음 알게 됐습니다. 당시 때는 사실 바리스타라고 하면 다 파트타임으로 생각을 해 왔었고요.

그런데 이 영상을 봤을 때는 바리스타라는 직업이 굉장히 존중받고 또 가치 있는 직업으로 보여지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바리스타 하면 꼭 저 무대에 한번 서야겠다라고 목표를 삼았었고 사실 커피를 직업으로 한 이후에 가장 처음 세운 목표이다보니까 이거만큼은 포기하고 싶지 않았었습니다.

[앵커]
궁금한 것은 커피를 내리는 것만 공부하신 게 아니고 세계를 돌면서 농장을 직접다니신 걸로 얘기를 들었어요.

[인터뷰]
그렇습니다. 아무래도 소비국에서 공부할 수 있는 건 한계가 있더라고요. 아무래도 생산국에서는 커피의 시작을 공부할 수 있어서 많이 움직이게 됐습니다.

[앵커]
그러면 가서 어떤 작업을 하면서 어떤 공부를 하시는 겁니까? 세계를 돌면서.

[인터뷰]
우선 환경적인 부분을 먼저 파악하기도 하고요. 과연 어떤 토양에서 재배가 됐는지, 이 커피나무가 더 잘 자라려고 한다면 어떤 비료 혹은 유기농 재배 이런 것들에 대해서 공부하고 했습니다.

[앵커]
이런 노력이 필요하군요. 이제 후배들이 우상으로 따를 것 같습니다. 후배 바리스타에게 조언을 해 주고 싶은 말씀이 있으실까요?

[인터뷰]
우선 이번 일을 계기로 바리스타라는 직업이 전문성, 전문직이다라는 게 조금 더 퍼졌으면 좋겠고요. 아무래도 그렇게 직업에 대한 가치가 존중받게 된다고 한다면 아무래도 일하시는 분들도 조금 더 자존감 높게 일을 하실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포기하지 말고 좋아하는 일이니까 끝까지 꾸준히 해 왔으면 좋겠습니다.

[앵커]
우승자가 되니까 커피를 대할 때 마음가짐이 좀 달라지고 그럽니까?

[인터뷰]
아무래도 좀 그렇더라고요 좀 더 진지해지기도 하고 아무래도 우승을 하다 보니까 좀 더 많이 노출되는 것 같아요, 대중들한테. 그래서 좀 더 이 커피 시장에 대해서 대중들에게 더 많이 알려야겠다, 지금까지 모르는 부분들을 조금 더 드러나게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앵커]
주로 랩에서 연구하시느라고 시간을 많이 보내셨을 텐데 오히려 오시는 분들은 전 선생님이 내주는 커피를 마시고 싶다고 다 기다리시면 어떻습니까?

[인터뷰]
그렇습니다. 보통 그런데 매장 바로 옆에 랩실이 있어서 인사하시러 오시면 랩실에서 또 커피 내려드리고 합니다.

[앵커]
많은 분들이 찾아오신다고 하는데 하루에 몇 분이나 찾아오시나요?

[인터뷰]
보통 이 일이 있기 전에는 1000분 정도가 하루에 방문해주셨는데 지금은 1300~1400명 정도.

[앵커]
알겠습니다. 앞으로 부산에서 뵙는 걸로 하고. 한번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뷰]
고맙습니다.

[앵커]
오늘 도움말씀 고맙습니다. 잘 배웠습니다. 고맙습니다.

[인터뷰]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