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어제 구치소에서 보석으로 풀려난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자택에서 아들 이시형 씨를 비롯한 가족들과 함께 첫날 밤을 보냈습니다.
경호처 직원들이 외에 외부인 출입은 엄격하게 제한돼 자택 주변은 대체로 한산한 편입니다.
이 시각 이 전 대통령 자택 앞 상황은 어떤지 취재 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김대겸 기자!
이 전 대통령이 석방 뒤 자택에서 첫날 밤을 보냈는데요, 지금 주변 상황 어떻습니까?
[기자]
1년 만에 자유의 몸으로 자택에서 첫날 밤을 보낸 이 전 대통령 집 주변은 한산한 상태입니다.
제가 이곳에 새벽부터 나와 있었는데요, 경호처 직원 3명이 드나든 것 외에는 출입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습니다.
제 뒤로 보이시는 것처럼 담벼락이 워낙 높고, 창문에는 커튼도 쳐져 있어 집 안 분위기도 알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아까 전까지만 해도 경찰 인력은 4~5명 정도였는데요, 추가로 1개 소대를 편성해 주변 경비를 강화한 상태입니다.
한 시간 전인 8시쯤에는 아들 이시형 씨가 탄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이 집 밖으로 나서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이른 아침에 한 이웃 주민이 자택을 찾아 "전복을 갖고 왔다"며 전해달라 했지만 안 된다고 해서 발걸음을 돌리기도 했습니다.
오늘 변호인단은 접견 일정을 따로 잡지 않아, 이 전 대통령은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낼 것으로 보입니다.
어제 서울 동부구치소 앞에는 이재오 자유한국당 상임고문과 맹형규 전 행자부 장관,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 등이 마중을 나왔는데요,
차량에 탄 이 전 대통령은 창문을 열고 측근들과 잠시 악수를 나눴습니다.
어제 오후,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은 뒤늦게 이곳 자택을 찾았지만 이 전 대통령을 만나지 못하고 발걸음을 돌렸습니다.
어젯밤에는 이 전 대통령의 딸과 손자가 탄 차량이 집 밖으로 나오는 모습이 포착됐고,
한 시민단체 회원이 이곳 자택 앞에서 석방에 항의하며 밤사이 소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앵커]
구속 만기일보다 한 달여 빠르게 풀려난 건데, 앞으로 재판 결과에 따라 재수감 가능성도 있는 건가요?
[기자]
재판부는 보석을 허가하면서 다음 달 8일 구속 만기로 석방될 경우 이 전 대통령이 오히려 자유로운 불구속 상태가 돼 주거 제한이나 접촉 제한 등을 할 수 없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
한 달 뒤쯤 어차피 석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엄격한 제한을 두는 좀 더 실리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보석 기간 동안 주거지가 논현동 사저로 제한되고 외출과 통신을 비롯해 직계혈족과 변호인을 제외한 접견도 엄격히 제한됩니다.
병원 진료를 받을 경우에도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다만 대포폰을 사용하거나 김윤옥 여사의 지인이 자택을 찾아올 경우 이를 막을 방법은 없어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 전 대통령은 오는 13일 다음 공판부터 불구속 상태에서 항소심 재판을 받게 됩니다.
앞서 1심에서 징역 15년의 중형이 선고된 만큼, 항소심에서 앞선 구속 기간인 349일을 넘는 실형이 나오게 되면 구속은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지금까지 서울 논현동 이명박 전 대통령 자택 앞에서 YTN 김대겸[kimdk1028@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어제 구치소에서 보석으로 풀려난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자택에서 아들 이시형 씨를 비롯한 가족들과 함께 첫날 밤을 보냈습니다.
경호처 직원들이 외에 외부인 출입은 엄격하게 제한돼 자택 주변은 대체로 한산한 편입니다.
이 시각 이 전 대통령 자택 앞 상황은 어떤지 취재 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김대겸 기자!
이 전 대통령이 석방 뒤 자택에서 첫날 밤을 보냈는데요, 지금 주변 상황 어떻습니까?
[기자]
1년 만에 자유의 몸으로 자택에서 첫날 밤을 보낸 이 전 대통령 집 주변은 한산한 상태입니다.
제가 이곳에 새벽부터 나와 있었는데요, 경호처 직원 3명이 드나든 것 외에는 출입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습니다.
제 뒤로 보이시는 것처럼 담벼락이 워낙 높고, 창문에는 커튼도 쳐져 있어 집 안 분위기도 알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아까 전까지만 해도 경찰 인력은 4~5명 정도였는데요, 추가로 1개 소대를 편성해 주변 경비를 강화한 상태입니다.
한 시간 전인 8시쯤에는 아들 이시형 씨가 탄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이 집 밖으로 나서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이른 아침에 한 이웃 주민이 자택을 찾아 "전복을 갖고 왔다"며 전해달라 했지만 안 된다고 해서 발걸음을 돌리기도 했습니다.
오늘 변호인단은 접견 일정을 따로 잡지 않아, 이 전 대통령은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낼 것으로 보입니다.
어제 서울 동부구치소 앞에는 이재오 자유한국당 상임고문과 맹형규 전 행자부 장관,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 등이 마중을 나왔는데요,
차량에 탄 이 전 대통령은 창문을 열고 측근들과 잠시 악수를 나눴습니다.
어제 오후,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은 뒤늦게 이곳 자택을 찾았지만 이 전 대통령을 만나지 못하고 발걸음을 돌렸습니다.
어젯밤에는 이 전 대통령의 딸과 손자가 탄 차량이 집 밖으로 나오는 모습이 포착됐고,
한 시민단체 회원이 이곳 자택 앞에서 석방에 항의하며 밤사이 소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앵커]
구속 만기일보다 한 달여 빠르게 풀려난 건데, 앞으로 재판 결과에 따라 재수감 가능성도 있는 건가요?
[기자]
재판부는 보석을 허가하면서 다음 달 8일 구속 만기로 석방될 경우 이 전 대통령이 오히려 자유로운 불구속 상태가 돼 주거 제한이나 접촉 제한 등을 할 수 없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
한 달 뒤쯤 어차피 석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엄격한 제한을 두는 좀 더 실리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보석 기간 동안 주거지가 논현동 사저로 제한되고 외출과 통신을 비롯해 직계혈족과 변호인을 제외한 접견도 엄격히 제한됩니다.
병원 진료를 받을 경우에도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다만 대포폰을 사용하거나 김윤옥 여사의 지인이 자택을 찾아올 경우 이를 막을 방법은 없어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 전 대통령은 오는 13일 다음 공판부터 불구속 상태에서 항소심 재판을 받게 됩니다.
앞서 1심에서 징역 15년의 중형이 선고된 만큼, 항소심에서 앞선 구속 기간인 349일을 넘는 실형이 나오게 되면 구속은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지금까지 서울 논현동 이명박 전 대통령 자택 앞에서 YTN 김대겸[kimdk1028@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