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문화계 블랙리스트'와 관련한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도 점차 정점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총괄 기획자로 지목된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리스트 작성을 주도했다는 의혹을 받는 조윤선 문체부 장관이 특검에 소환됐습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종원 기자!
김기춘 전 실장과 조윤선 장관, 두 명 모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한 거죠?
[기자]
특검은 김기춘 전 실장과 조윤선 장관 모두 피의자 신분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우선 블랙리스트와 관련한 직권남용 혐의를 받고 있는데요.
현직 장관으로는 처음으로 특검에 출석한 조 장관, 9시 반으로 예정됐던 시각보다 15분가량 일찍 도착했습니다.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며, 특검 조사를 통해 진실이 밝혀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한 뒤 조사실로 들어갔습니다.
김 전 실장도 조금 전인 9시 45분쯤 도착했는데요.
전혀 입을 열지 않은 채, 기자들의 질문을 뒤로하고 엘리베이터를 탔습니다.
먼저 김 전 실장은 정권에 비판적인 문화예술인들에게 불이익을 주기 위해, 블랙리스트를 작성하고 관리하도록 총괄 지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2013년 8월부터 1년 6개월 정도 청와대에 근무했는데, 1년가량 정무수석으로 있던 조윤선 장관과 근무 기간이 일부 겹칩니다.
김 전 실장의 지시를 받아, 조 장관이 리스트 작성을 주도했다는 게 특검의 판단입니다.
오늘 특검 조사는 김 전 실장과 조 장관의 혐의는 물론, 이들의 윗선인, 박 대통령과의 연관성에도 집중될 전망입니다.
[앵커]
오늘 김 전 실장과 조 장관을 동시에 소환한 건, 대질 조사도 염두에 둔 것으로 봐야겠죠?
[기자]
특검 역시 대질 신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앞서 조 장관은 국회 청문회에서 리스트가 존재했었다는 사실은 일부 인정한 상태죠.
오늘 조사 과정에서 김 전 실장과 조 장관의 진술이 엇갈릴 경우 나란히 조사실에 앉을 가능성도 커 보입니다.
현재 블랙리스트와 관련해선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 등 3명이 구속됐습니다.
특검은 이 블랙리스트가 단순히 정부 예산 지원을 배제한 차원을 넘어,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억압한 중대 범죄라고 규정한 상태입니다.
수사팀 내부에선 김 전 실장과 조 장관 역시 구속영장 청구가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검은 이미 김 전 실장은 자택 앞 CCTV에서, 조 장관은 문체부 직원 PC에서 증거를 없애려 한 정황도 포착했습니다.
[앵커]
자, 그리고 비선 진료 의혹의 핵심 인물이죠, 김영재 원장도 오늘 출석했죠?
[기자]
최순실 씨의 단골 성형외과 원장이죠.
김영재 원장도 의료법 위반 등의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오전 9시 5분쯤 특검에 출석했습니다.
일단 진료기록부를 조작한 사실이 없다고 말하긴 했지만, 쏟아지는 질문에 특검 조사에서 밝히겠다고 짧게 답한 뒤 조사실로 향했습니다.
김영재 원장은 대통령 자문의가 아니면서도 청와대를 들락거리며 이른바 '보안손님'으로 대접받은 것으로 이미 확인됐습니다.
아내와 처남이 운영하는 회사가 대통령 해외 순방에 동행하는 등 각종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세월호 참사 당일 기록을 포함해, 진료기록부를 허위로 작성했다는 의혹도 불거져 있는데요.
특검은 김 원장에 대해서도,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박영수 특검 사무실에서 YTN 이종원[jongwo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문화계 블랙리스트'와 관련한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도 점차 정점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총괄 기획자로 지목된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리스트 작성을 주도했다는 의혹을 받는 조윤선 문체부 장관이 특검에 소환됐습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이종원 기자!
김기춘 전 실장과 조윤선 장관, 두 명 모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한 거죠?
[기자]
특검은 김기춘 전 실장과 조윤선 장관 모두 피의자 신분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우선 블랙리스트와 관련한 직권남용 혐의를 받고 있는데요.
현직 장관으로는 처음으로 특검에 출석한 조 장관, 9시 반으로 예정됐던 시각보다 15분가량 일찍 도착했습니다.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며, 특검 조사를 통해 진실이 밝혀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한 뒤 조사실로 들어갔습니다.
김 전 실장도 조금 전인 9시 45분쯤 도착했는데요.
전혀 입을 열지 않은 채, 기자들의 질문을 뒤로하고 엘리베이터를 탔습니다.
먼저 김 전 실장은 정권에 비판적인 문화예술인들에게 불이익을 주기 위해, 블랙리스트를 작성하고 관리하도록 총괄 지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2013년 8월부터 1년 6개월 정도 청와대에 근무했는데, 1년가량 정무수석으로 있던 조윤선 장관과 근무 기간이 일부 겹칩니다.
김 전 실장의 지시를 받아, 조 장관이 리스트 작성을 주도했다는 게 특검의 판단입니다.
오늘 특검 조사는 김 전 실장과 조 장관의 혐의는 물론, 이들의 윗선인, 박 대통령과의 연관성에도 집중될 전망입니다.
[앵커]
오늘 김 전 실장과 조 장관을 동시에 소환한 건, 대질 조사도 염두에 둔 것으로 봐야겠죠?
[기자]
특검 역시 대질 신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앞서 조 장관은 국회 청문회에서 리스트가 존재했었다는 사실은 일부 인정한 상태죠.
오늘 조사 과정에서 김 전 실장과 조 장관의 진술이 엇갈릴 경우 나란히 조사실에 앉을 가능성도 커 보입니다.
현재 블랙리스트와 관련해선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 등 3명이 구속됐습니다.
특검은 이 블랙리스트가 단순히 정부 예산 지원을 배제한 차원을 넘어,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억압한 중대 범죄라고 규정한 상태입니다.
수사팀 내부에선 김 전 실장과 조 장관 역시 구속영장 청구가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검은 이미 김 전 실장은 자택 앞 CCTV에서, 조 장관은 문체부 직원 PC에서 증거를 없애려 한 정황도 포착했습니다.
[앵커]
자, 그리고 비선 진료 의혹의 핵심 인물이죠, 김영재 원장도 오늘 출석했죠?
[기자]
최순실 씨의 단골 성형외과 원장이죠.
김영재 원장도 의료법 위반 등의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오전 9시 5분쯤 특검에 출석했습니다.
일단 진료기록부를 조작한 사실이 없다고 말하긴 했지만, 쏟아지는 질문에 특검 조사에서 밝히겠다고 짧게 답한 뒤 조사실로 향했습니다.
김영재 원장은 대통령 자문의가 아니면서도 청와대를 들락거리며 이른바 '보안손님'으로 대접받은 것으로 이미 확인됐습니다.
아내와 처남이 운영하는 회사가 대통령 해외 순방에 동행하는 등 각종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세월호 참사 당일 기록을 포함해, 진료기록부를 허위로 작성했다는 의혹도 불거져 있는데요.
특검은 김 원장에 대해서도,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박영수 특검 사무실에서 YTN 이종원[jongwo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