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경주 지역에 400여 차례의 여진이 계속되고 있지만, 국민안전처의 서버가 다운되고, 재해 알림 문자가 10분 이상 지나 울리는 등 국민안전처를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면서 인터넷 커뮤니티 클리앙을 이용하는 개발자가 인터넷 메신저와 집단지성을 이용한 지진 상황 알람 서비스를 개발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20일 인터넷 커뮤니티 클리앙의 이용자 '이프로부족'이라는 닉네임의 개발자는 규모 4.5 지진이 난 19일 저녁 '지진 나면 텔레그램으로 알림 받기'라는 글을 게시했습니다.
지진동이 느껴지면 최단시간에 메신저 '텔레그램'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의 이름은 '지진희 알림'입니다. 텔레그램을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가입 주소 (https://telegram.me/jijinhee_noti)로 들어가면 됩니다.
이 시스템 개발 아이디어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지진이 나면 가장 먼저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연예인 지진희 팬클럽 게시판 '지진희 갤러리'에 글을 많이 올린다는 점에서 출발했습니다.
지진희 갤러리를 지표로 삼는 이유는 지진희의 이름에 '지진'이라는 단어가 들어가서 지진이 발생하면 일종의 언어유희로 해당 갤러리에 글을 집중적으로 올리며 '지진희 갤'을 턴다(게시판에 글을 집중적으로 올리는 상황)는 것에 착안한 겁니다.
실제로 개발자가 19일 지진희 갤러리를 분석한 결과 지진이 발생한 오후 8시 33분에 불과 1분이 지난 8시 34분에 첫 지진 관련 글이 올라왔고, 2분이 지난 8시 35분에는 지진희 갤러리에 50개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지진희 갤러리에 글이 이렇게 많이 올라오는 일은 지진이 발생했을 때 외에는 거의 없습니다.
개발자는 지진희 갤러리를 30초마다 검사해 1분 안에 글 20개가 올라오면 지진 발생 상황으로 간주하고 텔레그램으로 알림을 보내는 시스템을 구현했습니다.
즉, 지진이 일어나면 최소 2분 안에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사람들은 지진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겁니다. 이는 국민안전처가 긴급재난문자를 보낸 시간이 지진 발생 후 약 12분 후였다는 것과 비교해 매우 빠른 대처입니다.
물론 해당 시스템이 지진희 갤러리에 다른 이유로 글이 많이 올라왔을 때 오보를 낼 수 있고, 정확히 어디에서 지진이 발생했는지 알 수 없다는 단점도 있지만, 개발자는 현재 여진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지진 관련 상황을 정부의 시스템보다 빨리 알릴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공개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앱을 접한 이용자들은 "국민안전처보다 일반 이용자들이 개인 SNS에 올리는 글이 더 빠르니, SNS를 주의해서 봐야할 것 같다"는 반응을 보이면서 "안전처보다 트위터나 페이스북이 더 빠르다"며 강한 국민안전처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습니다.
YTN PLUS 최가영 모바일PD
(weeping07@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