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제조일자가 오는 10월?...미래에서 온 통조림

단독 제조일자가 오는 10월?...미래에서 온 통조림

2015.02.25. 오전 04:4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썩은 통조림을 유통하고 있다는 첩보를 입수한 경찰이 한 창고를 덮쳤습니다.

그랬더니 제조날짜가 과거가 아닌 8개월 뒤라고 찍힌 통조림 완제품이 무더기로 발견됐습니다.

미래에서 온 통조림일까요?

어찌 된 일인지 먼저 김경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기도 일산에 있는 창고입니다.

커다란 종이 상자가 잔뜩 쌓여 있고, 안에는 도가니 통조림 캔이 담겨 있습니다.

그런데 제조일이 적힌 상단에는 8개월 뒤인 2015년 10월이라는 숫자가 선명하게 찍혀 있습니다.

브라질에서 수입한 도가니 통조림의 유통기한이 1년 넘게 지나자, 제조 날짜를 조작한 겁니다.

[인터뷰:창고 관계자]
"화물차가 하나 있고 바깥에 무슨 물건이 있더라고. 저게 뭐냐 그랬더니 집사람도 모른대. 근데 그게 말썽이 난 거야 그게."

식료품 유통업체 대표 69살 유 모 씨는 2010년이라는 제조 날짜를 아세톤으로 지운 뒤 무려 5년 뒤인 2015년 10월이라고 새로 찍었습니다.

그리고서 작업자들을 고용해, 새 상자에 바꿔 담아 판매하려 했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정상제품처럼 다시 포장하는 이른바 상자갈이가 이뤄진 창고입니다.

이곳에서 정상제품으로 둔갑한 양은 최소 수십 톤으로 추정됩니다.

경찰 조사에서 유 씨는 3kg짜리 통조림 7천 개, 무려 21톤어치를 변조했다고 진술했습니다.

유 씨는 이 가운데 판매된 것은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경찰은 이미 유통된 제품이 있는 것으로 보고 집중 조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유 모 씨, 피의자]
"보니깐 한 3년 그렇게 해도 이 깡통 제품은요. 따기만 하면 이걸 못 먹어요. 그런데 따지만 않으면 그대로 있더라고요."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축산물 위생관리법 위반 혐의로 유 씨를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YTN 김경수입니다.

[앵커]
그런데 이 도가니 통조림 사건, 하마터면 미궁에 빠질 뻔했습니다.

신고자가 이 사실을 미리 알렸지만, 정부와 지자체가 서로 떠넘겼던 건데요.

재작년 이 같은 혼란을 막기 위해 불량식품 통합신고센터가 만들어졌지만 무용지물이었습니다.

이어서 한동오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13일 오전 10시 19분 A 씨는 식약처가 맡고 있는 불량식품 통합신고센터 1399로 전화를 걸었습니다.

제조 일자를 변조한 통조림 창고를 알고 있다며, 판매가 임박해 빨리 단속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상담원으로부터 돌아온 대답은 '신고가 문서로 전달되기 때문에 오래 걸린다'며, '관할 구청으로 연락해보라'는 것이었습니다.

오후 2시 40분, A 씨는 할 수 없이 구청에 신고 전화를 걸었지만 구청 역시 '수입품 관할은 시청'이라며, '시청으로 연락해보라'고 말했습니다.

10여 분 뒤, 세 번째 신고 전화를 시청에 걸고 나서야 단속반이 나왔지만 이미 한나절이나 지나버린 상황이었습니다.

[인터뷰:A 씨, 당시 불량식품 신고]
"최초에 제보를 했을 때 식약처에서 일사불란하게 관할 구청이나 자기들은 알고 있으니까 전화를 해서 빨리 진위파악을 해봐라 했으면 굉장히 간단하게 일이 끝났을 건데..."

당초 통합신고센터가 만들어지게 된 건 지자체별로 관할 구역이 달라서 빚어지는 혼선을 막기 위해서였습니다.

정부는 재작년 7월 통합센터를 만든 뒤, 5배 이상 신고가 늘었다며 홍보에 열을 올렸지만 정작 현실에선 무용지물인 경우도 있는 겁니다.

주관부서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보통 신고를 접수하는 데 10분가량 걸리는데, 신고자가 이를 기다리지 못했을 경우 비슷한 사례가 생길 수도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인터뷰:식약처 관계자]
"긴급 사안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바로 식품안전정보원의 접수요원, 상담요원들이 바로 불량식품근절추진단이라든지 통보를 해주고..."

국민 안전과 직결되는 먹거리 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불량식품 통합신고센터.

개소 2년이 다 돼가지만 손발이 따로 놀고 있습니다.

YTN 한동오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