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K쉴더스 해킹으로 민간기업 120곳과 다수 공공기관 정보가 외부에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실에 제출한 'SK쉴더스 침해사고 대응 현황'을 보면 해커는 15 기가바이트 분량 자료를 빼돌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번 사고는 SK쉴더스의 '해커 유인시스템'에 자동 로그인된 내부 직원 2명의 개인 메일 계정에서 고객사 정보가 탈취되면서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유출된 정보에는 SK텔레콤과 주요 금융기관 15곳, 민간기업 120곳, 일부 공공기관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18일 SK쉴더스에 침해사고 원인 분석을 위해 자료 보전과 제출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내고 현장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YTN 김태민 (tm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실에 제출한 'SK쉴더스 침해사고 대응 현황'을 보면 해커는 15 기가바이트 분량 자료를 빼돌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번 사고는 SK쉴더스의 '해커 유인시스템'에 자동 로그인된 내부 직원 2명의 개인 메일 계정에서 고객사 정보가 탈취되면서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유출된 정보에는 SK텔레콤과 주요 금융기관 15곳, 민간기업 120곳, 일부 공공기관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18일 SK쉴더스에 침해사고 원인 분석을 위해 자료 보전과 제출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내고 현장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YTN 김태민 (tm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