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부동산을 둘러싼 민심 악화를 부른 건 이상경 차관에 그치지 않습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강남에 아파트 2채를 보유해 지적을 받자 정리하겠다고 말했는데, 알고 보니 자녀에게 물려주겠다는 뜻이었습니다.
이외에도 부동산 정책 향방을 가르는 고위 공직자들의 고가 아파트 소유 과정을 보면 '내로남불'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동건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강남에 아파트 두 채를 보유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집값 상승을 잡겠다면서 본인은 고가 아파트 두 채를 보유하고 있어 위선적이라는 지적이 나오자 둘 다 실거주 중이며 한두 달 안에 정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찬진 / 금융감독원장 (어제) :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한두 달 안으로 정리할 것입니다. 정확하게는 제 자녀에게 양도를…]
이 같은 해명에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자녀 증여를 '정리'라고 말장난한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 외에도 부동산 대책을 주도하고 있는 정부 고위 인사들의 고가 아파트 보유 경위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의 서울 서초구 아파트는 지난 2000년 해외 근무 직전 지금은 금지된 재건축 입주권을 사들인 겁니다.
구윤철 부총리는 지난 2018년까지 최대 4주택을 보유하고 있었고, 문재인 정부 때 3채를 매각했습니다.
2013년 경매로 9억 원에 낙찰받은 개포동 아파트 한 채를 남겼는데, 이게 재건축돼 지금 40억 대로 뛰었습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도 2013년 해외부임 직전 구 부총리와 같은 단지 아파트를 전세를 끼고 샀습니다.
참여연대는 규제 책임자들이 투자성 거래로 시세차익을 얻었다는 점에서 정책의 설득력을 스스로 약화시켰다고 지적했습니다.
서민 주거 안정을 내세운 부동산 정책을 주도한 인사들의 고가 아파트가 잇따라 논란에 휩싸이며 정책 설득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YTN 오동건입니다.
영상편집 : 신수정
디자인 : 신소정
YTN 오동건 (odk798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부동산을 둘러싼 민심 악화를 부른 건 이상경 차관에 그치지 않습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강남에 아파트 2채를 보유해 지적을 받자 정리하겠다고 말했는데, 알고 보니 자녀에게 물려주겠다는 뜻이었습니다.
이외에도 부동산 정책 향방을 가르는 고위 공직자들의 고가 아파트 소유 과정을 보면 '내로남불'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동건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강남에 아파트 두 채를 보유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집값 상승을 잡겠다면서 본인은 고가 아파트 두 채를 보유하고 있어 위선적이라는 지적이 나오자 둘 다 실거주 중이며 한두 달 안에 정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찬진 / 금융감독원장 (어제) :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한두 달 안으로 정리할 것입니다. 정확하게는 제 자녀에게 양도를…]
이 같은 해명에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자녀 증여를 '정리'라고 말장난한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 외에도 부동산 대책을 주도하고 있는 정부 고위 인사들의 고가 아파트 보유 경위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의 서울 서초구 아파트는 지난 2000년 해외 근무 직전 지금은 금지된 재건축 입주권을 사들인 겁니다.
구윤철 부총리는 지난 2018년까지 최대 4주택을 보유하고 있었고, 문재인 정부 때 3채를 매각했습니다.
2013년 경매로 9억 원에 낙찰받은 개포동 아파트 한 채를 남겼는데, 이게 재건축돼 지금 40억 대로 뛰었습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도 2013년 해외부임 직전 구 부총리와 같은 단지 아파트를 전세를 끼고 샀습니다.
참여연대는 규제 책임자들이 투자성 거래로 시세차익을 얻었다는 점에서 정책의 설득력을 스스로 약화시켰다고 지적했습니다.
서민 주거 안정을 내세운 부동산 정책을 주도한 인사들의 고가 아파트가 잇따라 논란에 휩싸이며 정책 설득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YTN 오동건입니다.
영상편집 : 신수정
디자인 : 신소정
YTN 오동건 (odk798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