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지난 7월 인명 피해가 컸던 광명 아파트 화재처럼 필로티 구조인 데다가 가연성 외장재까지 사용한 공동 주택이 전국에 12만 동 가까이가 됩니다.
정부가 전기불꽃 차단기 등 화재 장비 지원 방안을 내놨는데 법 개정과 재원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차유정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7월 불이 나 65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광명 아파트 화재 사고.
대형 피해 원인으로 지목된 건 1층이 뻥 뚫려 있고 기둥만 있는 필로티 구조였습니다.
사방으로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는 가운데 주차 차량 들이 땔감 역할을 하며 불길은 급격히 확산했습니다.
1층 천장이 불에 잘 타는 플라스틱 재질 마감재였던 점도 화마를 키웠습니다.
[광명 아파트 화재 목격자 (지난 7월) : 천장이 불이 잘 전달되는 천장이었는지 앞으로 불이 확 붙었어요. 옆으로 불이 번지면서 사방이 다 불로 변해버렸어요, 10분 사이에.]
그런데 이런 필로티 구조에 가연성 외장재를 쓴 주택이 전국에 무려 22만 동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많은 세대가 거주하는 공동주택은 11만6천 동, 308만 세대에 달하는 상황.
2019년부터 3층 이상 건물엔 불에 잘 타지 않는 외장재를 써야 하는 등 안전 규제가 점차 강화됐지만, 문제는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과거 건물들입니다.
정부는 일단 3만 동을 선별해 안전 장비를 보강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아크 차단기라는 장비를 설치하는데 전기불꽃을 감지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이라 초기 진화에 효과적입니다.
이와 함께 화재 감지 시 자동 분사되는 소화기 등을 동별 평균 200만 원 규모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전문가들은 1층에서 불이 났을 때 대피로가 차단되는 출입구 쪽 안전 개선에도 더욱 신경 써야 한다고 말합니다.
[백승주 /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매우 불가피한 과거 건축물의 일부 구조들은 최소한 지금 여기서 검토한다고 하는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장치를 반드시 추가해야죠.]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안전성 등이 건물 매매·임대 과정에서 고려되는 제도를 도입해 건물 관리자가 안전을 개선하도록 유도할 방침인데 신속한 법 개정과 재원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YTN 차유정입니다.
YTN 차유정 (chay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7월 인명 피해가 컸던 광명 아파트 화재처럼 필로티 구조인 데다가 가연성 외장재까지 사용한 공동 주택이 전국에 12만 동 가까이가 됩니다.
정부가 전기불꽃 차단기 등 화재 장비 지원 방안을 내놨는데 법 개정과 재원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차유정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7월 불이 나 65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광명 아파트 화재 사고.
대형 피해 원인으로 지목된 건 1층이 뻥 뚫려 있고 기둥만 있는 필로티 구조였습니다.
사방으로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는 가운데 주차 차량 들이 땔감 역할을 하며 불길은 급격히 확산했습니다.
1층 천장이 불에 잘 타는 플라스틱 재질 마감재였던 점도 화마를 키웠습니다.
[광명 아파트 화재 목격자 (지난 7월) : 천장이 불이 잘 전달되는 천장이었는지 앞으로 불이 확 붙었어요. 옆으로 불이 번지면서 사방이 다 불로 변해버렸어요, 10분 사이에.]
그런데 이런 필로티 구조에 가연성 외장재를 쓴 주택이 전국에 무려 22만 동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많은 세대가 거주하는 공동주택은 11만6천 동, 308만 세대에 달하는 상황.
2019년부터 3층 이상 건물엔 불에 잘 타지 않는 외장재를 써야 하는 등 안전 규제가 점차 강화됐지만, 문제는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과거 건물들입니다.
정부는 일단 3만 동을 선별해 안전 장비를 보강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아크 차단기라는 장비를 설치하는데 전기불꽃을 감지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이라 초기 진화에 효과적입니다.
이와 함께 화재 감지 시 자동 분사되는 소화기 등을 동별 평균 200만 원 규모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전문가들은 1층에서 불이 났을 때 대피로가 차단되는 출입구 쪽 안전 개선에도 더욱 신경 써야 한다고 말합니다.
[백승주 /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매우 불가피한 과거 건축물의 일부 구조들은 최소한 지금 여기서 검토한다고 하는 방화문을 자동으로 폐쇄하는 장치를 반드시 추가해야죠.]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안전성 등이 건물 매매·임대 과정에서 고려되는 제도를 도입해 건물 관리자가 안전을 개선하도록 유도할 방침인데 신속한 법 개정과 재원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YTN 차유정입니다.
YTN 차유정 (chay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