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트럼프 관세 충격이 이번엔 소포에 닥쳤습니다.
미국 정부가 지금까지 면세였던 800달러 이하 물품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기로 하면서 우리 우체국이 당분간 소포 발송을 중단합니다.
우체국에서 민간 업체와 제휴해 운영하는 상품을 이용하면 가능하지만, 더 비싼 비용을 감수해야 합니다.
차 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광화문 우체국.
궂은 날씨에도 오전부터 소포 부치러 온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EMS 접수하러 오셨다고요?]
당장 내일(26일)부터 우체국에서 서류를 제외한 국제우편서비스, EMS 발송이 중단되기 때문입니다.
EMS보다 저렴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는 항공소포 발송은 오늘부터 접수가 중단됐습니다.
이유는 소포에 새로 부과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때문.
미국 정부는 마약이나 위조품 반입 경로를 막는다는 이유로, 면세 혜택을 줬던 800달러 이하 물품에도 29일부터 1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각국에서 미국행 소포 발송 중단 사태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최진희 / 서울지방우정청 국제영업과장 : 현재의 국제 우편시스템을 통해서는 관세를 납부하는 것이 불가합니다. 그래서 저희 우정사업본부에서 미국 당국이 승인한 업체를 통해서 관세 납부 절차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만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닙니다.
우체국에서 민간 업체와 제휴해 운영하는 상품, 'EMS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하면 가능합니다.
민간 특송 회사에서 통관을 대행하는 이 서비스는 소포 받는 사람에게 관세를 부과하는 시스템을 이미 갖추고 있어서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는 중량 4.5kg 미만 소포를 'EMS 프리미엄'으로 보내면 요금이 10%가량 비싸진다는 점입니다.
가령 2.5kg짜리 소포를 보낼 때 EMS를 이용하면 6만9천5백 원 정도인데, 프리미엄은 8만 천1백 원으로 만 원 이상 차이가 납니다.
뿐만 아니라, 민간 특송사는 김치 같은 식품이나 고가 물건은 잘 받아주지 않아 당분간 미국에 김치 등의 물품을 보내기 어려워졌습니다.
불편이 커지자 우정사업본부는 다음 달까지 EMS 프리미엄 요금 만 원을 할인해준다는 방침입니다.
또 늦어도 두 달 안으로 기존과 유사한 품질과 가격의 우편 서비스를 내놓겠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차유정입니다.
YTN 차유정 (chay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관세 충격이 이번엔 소포에 닥쳤습니다.
미국 정부가 지금까지 면세였던 800달러 이하 물품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기로 하면서 우리 우체국이 당분간 소포 발송을 중단합니다.
우체국에서 민간 업체와 제휴해 운영하는 상품을 이용하면 가능하지만, 더 비싼 비용을 감수해야 합니다.
차 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광화문 우체국.
궂은 날씨에도 오전부터 소포 부치러 온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EMS 접수하러 오셨다고요?]
당장 내일(26일)부터 우체국에서 서류를 제외한 국제우편서비스, EMS 발송이 중단되기 때문입니다.
EMS보다 저렴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는 항공소포 발송은 오늘부터 접수가 중단됐습니다.
이유는 소포에 새로 부과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때문.
미국 정부는 마약이나 위조품 반입 경로를 막는다는 이유로, 면세 혜택을 줬던 800달러 이하 물품에도 29일부터 1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각국에서 미국행 소포 발송 중단 사태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최진희 / 서울지방우정청 국제영업과장 : 현재의 국제 우편시스템을 통해서는 관세를 납부하는 것이 불가합니다. 그래서 저희 우정사업본부에서 미국 당국이 승인한 업체를 통해서 관세 납부 절차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만 방법이 아예 없는 건 아닙니다.
우체국에서 민간 업체와 제휴해 운영하는 상품, 'EMS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하면 가능합니다.
민간 특송 회사에서 통관을 대행하는 이 서비스는 소포 받는 사람에게 관세를 부과하는 시스템을 이미 갖추고 있어서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는 중량 4.5kg 미만 소포를 'EMS 프리미엄'으로 보내면 요금이 10%가량 비싸진다는 점입니다.
가령 2.5kg짜리 소포를 보낼 때 EMS를 이용하면 6만9천5백 원 정도인데, 프리미엄은 8만 천1백 원으로 만 원 이상 차이가 납니다.
뿐만 아니라, 민간 특송사는 김치 같은 식품이나 고가 물건은 잘 받아주지 않아 당분간 미국에 김치 등의 물품을 보내기 어려워졌습니다.
불편이 커지자 우정사업본부는 다음 달까지 EMS 프리미엄 요금 만 원을 할인해준다는 방침입니다.
또 늦어도 두 달 안으로 기존과 유사한 품질과 가격의 우편 서비스를 내놓겠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차유정입니다.
YTN 차유정 (chay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