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올해 서울 주택 매매 시장에서 아파트 거래 비중이 2006년 조사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을 보면 올해 들어 어제(13일)까지 서울에서 매매 신고된 6만3천730건 가운데 아파트가 4만5천22건으로 70.6%를 차지했습니다.
올해 서울에서 팔린 주택 10건 중 7건이 아파트인 셈인데, 2006년 실거래가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비중입니다.
반면 연립이나 다세대 등 빌라는 26.2%, 단독, 다가구 거래 비중은 3.1%에 그쳐 연간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전세사기 여파로 아파트로의 쏠림이 더욱 심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과열된 아파트값 안정을 위해서는 비아파트 시장을 활성화해 수요가 분산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을 보면 올해 들어 어제(13일)까지 서울에서 매매 신고된 6만3천730건 가운데 아파트가 4만5천22건으로 70.6%를 차지했습니다.
올해 서울에서 팔린 주택 10건 중 7건이 아파트인 셈인데, 2006년 실거래가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비중입니다.
반면 연립이나 다세대 등 빌라는 26.2%, 단독, 다가구 거래 비중은 3.1%에 그쳐 연간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전세사기 여파로 아파트로의 쏠림이 더욱 심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과열된 아파트값 안정을 위해서는 비아파트 시장을 활성화해 수요가 분산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