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오는 8일로 임박한 가운데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다시 미국행 비행기에 오릅니다.
미국 측에 상호관세 유예 시한 연장을 요청할 것으로 보이는데 현장 연결해 방미 계획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여한구 /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데드라인이 임박했습니다.
현재 상황은 매우 유동적이고 또 굉장히 불확실한 그런 상황입니다.
현재로서는 낙관적 그리고 또 비관적 가능성이 모두 다 열려 있다고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워싱턴DC에 가서 최종 데드라인, 결과가 발표되는 그 순간까지 최대한 노력을 해서 우리 국익을 가장 극대화할 수 있는 그런 결과를 만들어내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해서 일주일도 안 된 시점에 다시 미국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기자]
다녀오신 이후에... 새로운 콘텐츠가 있는지. 나아가서 유예를 요청하실 가능성이 있으신지.
[여한구 /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이번에 가서는 USTR 그리어 대표와 면담이, 협상이 예정돼 있고요.
그밖에도 가능한 한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그런 고위급을 만나서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하고자 그렇게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새 정부는 굉장히 짧은 기간 내에 저희가 협상 채널을 구축하고 그리고 또 사실 지난주에도 전방위로 저희가 미국 정부, 백악관, 의회 이렇게 아웃리치를 하면서 한국의 새 정부가 선의를 가지고 앞으로 상호 호혜적인 협상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 최대한 우리가 협상을 가속화할 준비가 돼 있다, 이런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노력을 했었고요.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현 상황에서는 사실 우리가 무리하게 시한에 쫓기기보다는 좀 더 시간을 가지고 내실을 기하는 것이 저희는 국익에 가장 부합하는 그런 결과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요.
그래서 이번에 상황을 봐서 필요하면 유예를 통해서 계속 상호 호혜적인 내실 있는 그런 윈윈의 협상 결과를 만들자라고 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고 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오는 8일로 임박한 가운데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다시 미국행 비행기에 오릅니다.
미국 측에 상호관세 유예 시한 연장을 요청할 것으로 보이는데 현장 연결해 방미 계획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여한구 /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데드라인이 임박했습니다.
현재 상황은 매우 유동적이고 또 굉장히 불확실한 그런 상황입니다.
현재로서는 낙관적 그리고 또 비관적 가능성이 모두 다 열려 있다고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워싱턴DC에 가서 최종 데드라인, 결과가 발표되는 그 순간까지 최대한 노력을 해서 우리 국익을 가장 극대화할 수 있는 그런 결과를 만들어내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해서 일주일도 안 된 시점에 다시 미국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기자]
다녀오신 이후에... 새로운 콘텐츠가 있는지. 나아가서 유예를 요청하실 가능성이 있으신지.
[여한구 /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이번에 가서는 USTR 그리어 대표와 면담이, 협상이 예정돼 있고요.
그밖에도 가능한 한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그런 고위급을 만나서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하고자 그렇게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새 정부는 굉장히 짧은 기간 내에 저희가 협상 채널을 구축하고 그리고 또 사실 지난주에도 전방위로 저희가 미국 정부, 백악관, 의회 이렇게 아웃리치를 하면서 한국의 새 정부가 선의를 가지고 앞으로 상호 호혜적인 협상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 최대한 우리가 협상을 가속화할 준비가 돼 있다, 이런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노력을 했었고요.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현 상황에서는 사실 우리가 무리하게 시한에 쫓기기보다는 좀 더 시간을 가지고 내실을 기하는 것이 저희는 국익에 가장 부합하는 그런 결과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요.
그래서 이번에 상황을 봐서 필요하면 유예를 통해서 계속 상호 호혜적인 내실 있는 그런 윈윈의 협상 결과를 만들자라고 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고 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