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샤넬 패션쇼 ⓒ 연합뉴스
AD
글로벌 명품 시장이 둔화하는 가운데 프랑스 명품 브랜드 샤넬(Chanel)의 실적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20일(현지 시각) AFP·블룸버그·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샤넬의 지난해 매출은 187억 달러(약 26조 1천억 원)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45억 달러(약 6조 3천억 원)로 30% 급감했고, 순이익도 28% 줄어든 34억 달러(약 4조 7천억 원)를 기록했다.
샤넬의 연간 매출과 이익이 모두 줄어든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매장 문을 닫았던 2020년 이후 처음이다.
특히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의 매출 감소가 실적 하락에 큰 영향을 끼쳤다. 아시아 지역 매출은 92억 달러(약 12조 8천억 원)로 전년보다 7.1% 줄었고, 명품 소비의 핵심 축인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 위축이 두드러졌다.
샤넬의 CEO 리나 네어는 성명을 통해 "어려운 거시경제 환경이 일부 시장의 매출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 외부 변수 이전의 실적이라는 점에서 올해도 시장 환경은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그런데도 샤넬은 투자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샤넬은 18억 달러(약 2조 5천억 원)에 달하는 사상 최대 규모의 자본 지출을 단행했다. 이는 전년 대비 43% 증가한 수치다.
샤넬은 올해도 48개의 신규 매장 개설을 계획하고 있다. 그중 절반은 미국과 중국에 집중되며, 멕시코, 인도, 캐나다 등에도 매장을 오픈할 예정이다.
샤넬은 지난 몇 년간 주요 제품의 가격을 급격히 인상해 왔다. HSBC 은행 분석에 따르면 플랩백 가격은 2019년 대비 두 배 이상 올라 약 1만 유로(한화 약 1,560만 원)를 넘겼다. 이는 명품 업계 평균 가격 상승률인 50%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샤넬 최고재무책임자(CFO) 필립 블롱디오는 "가격 인상이 매출 감소를 초래한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그는 지난해 샤넬의 패션 제품 평균 가격 인상률이 약 3% 수준이었고, 올해도 물가 상승률에 맞춰 비슷한 수준의 인상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일(현지 시각) AFP·블룸버그·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샤넬의 지난해 매출은 187억 달러(약 26조 1천억 원)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45억 달러(약 6조 3천억 원)로 30% 급감했고, 순이익도 28% 줄어든 34억 달러(약 4조 7천억 원)를 기록했다.
샤넬의 연간 매출과 이익이 모두 줄어든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매장 문을 닫았던 2020년 이후 처음이다.
특히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의 매출 감소가 실적 하락에 큰 영향을 끼쳤다. 아시아 지역 매출은 92억 달러(약 12조 8천억 원)로 전년보다 7.1% 줄었고, 명품 소비의 핵심 축인 중국 소비자들의 소비 위축이 두드러졌다.
샤넬의 CEO 리나 네어는 성명을 통해 "어려운 거시경제 환경이 일부 시장의 매출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 외부 변수 이전의 실적이라는 점에서 올해도 시장 환경은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그런데도 샤넬은 투자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샤넬은 18억 달러(약 2조 5천억 원)에 달하는 사상 최대 규모의 자본 지출을 단행했다. 이는 전년 대비 43% 증가한 수치다.
샤넬은 올해도 48개의 신규 매장 개설을 계획하고 있다. 그중 절반은 미국과 중국에 집중되며, 멕시코, 인도, 캐나다 등에도 매장을 오픈할 예정이다.
샤넬은 지난 몇 년간 주요 제품의 가격을 급격히 인상해 왔다. HSBC 은행 분석에 따르면 플랩백 가격은 2019년 대비 두 배 이상 올라 약 1만 유로(한화 약 1,560만 원)를 넘겼다. 이는 명품 업계 평균 가격 상승률인 50%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샤넬 최고재무책임자(CFO) 필립 블롱디오는 "가격 인상이 매출 감소를 초래한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그는 지난해 샤넬의 패션 제품 평균 가격 인상률이 약 3% 수준이었고, 올해도 물가 상승률에 맞춰 비슷한 수준의 인상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