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늘고 가격도 상승한 가운데 지난 3월 40대의 매수 비중이 30대를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현황에 따르면 지난 3월 매매 신고된 서울 아파트 9천349건 가운데, 40대가 전체의 33.8%인 3천158건을 매수해 연령대별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30대의 32.5%, 3천41건 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3월 들어 40대 비중이 높아진 것은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으로 아파트값이 높은 강남과 마용성 등 인기 지역의 거래량이 증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강남구와 서초구는 40대의 매수 비중이 42.8%와 44.5%로 30대를 압도했고 송파구와 강동구 역시 40대 매수 비중이 35.6%, 35.3%로 30대 보다 크게 높았습니다.
정비사업 호재 등으로 아파트값이 강세인 용산구와 양천구도 40대와 30대의 격차가 10%포인트 이상 벌어졌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아파트 매매 시장은 앞으로 대출 규제나 금리, 정책 금융상품 출시 등 금융 환경 또는 집값 변화에 따라 매수 우위를 놓고 40대와 30대 연령대가 엎치락뒤치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현황에 따르면 지난 3월 매매 신고된 서울 아파트 9천349건 가운데, 40대가 전체의 33.8%인 3천158건을 매수해 연령대별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30대의 32.5%, 3천41건 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3월 들어 40대 비중이 높아진 것은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으로 아파트값이 높은 강남과 마용성 등 인기 지역의 거래량이 증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강남구와 서초구는 40대의 매수 비중이 42.8%와 44.5%로 30대를 압도했고 송파구와 강동구 역시 40대 매수 비중이 35.6%, 35.3%로 30대 보다 크게 높았습니다.
정비사업 호재 등으로 아파트값이 강세인 용산구와 양천구도 40대와 30대의 격차가 10%포인트 이상 벌어졌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아파트 매매 시장은 앞으로 대출 규제나 금리, 정책 금융상품 출시 등 금융 환경 또는 집값 변화에 따라 매수 우위를 놓고 40대와 30대 연령대가 엎치락뒤치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