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SK텔레콤 해킹 사태 여파가 일파만파 퍼지는 가운데 SK그룹 미국 법인이 랜섬웨어 해커 조직에 의해 사이버 공격과 협박을 받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랜섬웨어 공격이란 비트코인 등 금전을 주지 않으면 유출한 정보를 유포하겠다며 공격 대상 회사와 기관 등을 협박하는 수법을 뜻합니다.
SK그룹 측은 지난달 초 미국 법인인 SK아메리카스의 뉴욕 사무실 서버에 대해 랜섬웨어 공격이 발생해 곧바로 수사기관에 신고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SK아메리카스를 공격했다고 주장하는 해커그룹이 '다크웹'에 탈취한 정보를 공개하겠다는 협박문을 올리기도 했지만 이후 별다른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K그룹 측은 미국 법인의 지역 사무소에서 발생한 것으로 매우 국지적이고, 공격 당한 서버는 기술이나 고객 정보와는 무관해 중요 정보유출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당시 공격과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간 연관성도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YTN 황혜경 (whitepap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랜섬웨어 공격이란 비트코인 등 금전을 주지 않으면 유출한 정보를 유포하겠다며 공격 대상 회사와 기관 등을 협박하는 수법을 뜻합니다.
SK그룹 측은 지난달 초 미국 법인인 SK아메리카스의 뉴욕 사무실 서버에 대해 랜섬웨어 공격이 발생해 곧바로 수사기관에 신고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SK아메리카스를 공격했다고 주장하는 해커그룹이 '다크웹'에 탈취한 정보를 공개하겠다는 협박문을 올리기도 했지만 이후 별다른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K그룹 측은 미국 법인의 지역 사무소에서 발생한 것으로 매우 국지적이고, 공격 당한 서버는 기술이나 고객 정보와는 무관해 중요 정보유출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당시 공격과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간 연관성도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YTN 황혜경 (whitepap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