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언론이 자살 사건을 보도하면서 사용한 '극단적 선택'이라는 용어가 자살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오늘(13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생명보호와 방송의 현실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미디어 환경 변화로 SNS 상에서 무분별한 자살 보도가 이어지며 청소년에게 악영향을 준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자살보도 권고 기준은 가급적 보도하지 않는 것이라며 죽음은 결코 선택의 영역이 될 수 없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이어 조하나 백석문화대 간호학과 교수도 극단적 선택이란 완곡한 표현은 자살을 선택 가능한 대안으로 인식시켜 심각성을 흐리는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류희림 방심위원장은 언론에서 자살 보도를 하지 않을 수 없다면 그 표현도 신중해야 한다며 위원회 역시 자살 표현 관련 조치를 건의하고 심의 강화를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태민 (tm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오늘(13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생명보호와 방송의 현실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미디어 환경 변화로 SNS 상에서 무분별한 자살 보도가 이어지며 청소년에게 악영향을 준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자살보도 권고 기준은 가급적 보도하지 않는 것이라며 죽음은 결코 선택의 영역이 될 수 없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이어 조하나 백석문화대 간호학과 교수도 극단적 선택이란 완곡한 표현은 자살을 선택 가능한 대안으로 인식시켜 심각성을 흐리는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류희림 방심위원장은 언론에서 자살 보도를 하지 않을 수 없다면 그 표현도 신중해야 한다며 위원회 역시 자살 표현 관련 조치를 건의하고 심의 강화를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태민 (tm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