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가 부른 '짠물 소비'...덩어리 고기·냉동 채소 인기

고물가가 부른 '짠물 소비'...덩어리 고기·냉동 채소 인기

2024.05.27. 오전 05:1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덩어리 고기, 단위당 가격 일반 상품보다 저렴
’식자재 부담’ 커지면서 창고형 할인점 매출 증가
신선식품 물가 상승에…"국산 대신 수입산" 구매
AD
[앵커]
식자재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조금이라도 아끼기 위한 이른바 '짠물 소비'가 등장했습니다.

가격이 저렴한 덩어리 고기를 사거나, 채소와 과일을 냉동 제품으로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보도에 황보혜경 기자입니다.

[기자]
경기 고양시에 있는 창고형 할인점입니다.

덩어리 고기 판매대 앞에 소비자들 발길이 이어집니다.

[이영래 / 경기 파주시 목동동 : 다 잘려있는 것은 가격도 워낙 부담되고 지금 물가도 비싸니까, 제가 직접 썰어서 소분해서 남은 건 냉장고에 넣어 두면 되니까…]

직접 손질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단위당 가격이 일반 상품보다 싸다는 장점에 많이 찾고 있습니다.

국내산 돼지고기로 가격을 비교해봤습니다.

이렇게 손질된 고기보다 덩어리 고기를 살 경우 가격이 13% 더 저렴합니다.

올해 들어 지난 22일까지 이마트 창고형 할인점 22개 점포의 덩어리 고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늘었습니다.

과일이나 채소는 냉동 제품이 인기입니다.

같은 기간 블루베리와 딸기 등 냉동 과일과 대파 등 냉동 채소 매출은 한 해 전보다 30% 넘게 올랐습니다.

[이경희 / 경기 김포시 장기동 : 예전에는 생(과일)을 좋아했어요. 그런데 가족들이 먹는 양이 많아지니까… 요즘은 아예 냉동을 사서 먹여요.]

고물가에 식자재 부담을 줄이려 창고형 할인점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점포 매출도 덩달아 증가 추세입니다.

올해 1분기 기준, 이마트 창고형 할인점의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 롯데마트의 창고형 할인점은 10%가량 증가했습니다.

특히 신선식품이 물가 상승 영향을 크게 받으면서, 국내산 대신 수입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김영호 / 대형마트 관계자 : 창고형 할인점의 올해 1~4월 수입 과일 매출은 (전년 대비) 40% 상승했고, 수입 돼지고기 매출 또한 전년 대비 25%가량 상승했습니다.]

고물가에 소득은 줄고 밥상 지출은 늘어난 가운데 조금이라도 식비를 아끼려는 '짠물 소비' 경향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입니다.

YTN 황보혜경입니다.


촬영기자 : 이근혁
디자인 : 오재영


YTN 황보혜경 (bohk101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