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기준금리 잇단 인상...현실이 된 경기침체

고물가에 기준금리 잇단 인상...현실이 된 경기침체

2022.11.27. 오전 05:3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고물가 대응을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일단 물가 억제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지만, 예상했던 부작용 역시 본격화하는 모습입니다.

다름 아닌 경기 침체입니다.

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악화하는 경제 상황과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빠르게 낮췄던 한국은행,

2020년 5월 연 0.5%까지 낮춘 뒤 9차례 동결을 거쳐 지난해 8월엔 0.25%포인트를 높이며 정책 변화를 알렸습니다.

이후론 거침이 없었습니다.

무려 9차례나 인상을 단행하며, 기준금리를 연 3.25%까지 끌어올렸습니다.

이 가운데 두 차례는 이른바 '빅 스텝'을 밟으면서, 1년 3개월 만에 2.75%포인트나 치솟았습니다.

일단 기준금리 인상이 물가 안정엔 어느 정도 기여했다는 평가입니다.

지난 7월 6.3%까지 올랐던 소비가물가 상승률은 5%대 후반으로 내려섰고,

경제 주체들이 전망하는 물가 상승률을 뜻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다소나마 하락했습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 (지난 24일)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금년 5.1%, 내년 3.6%로 지난 8월 전망치였던 5.2% 및 3.7%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문제는 부작용입니다.

기준금리 인상은 소비와 투자에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경제 상황엔 타격을 주기 때문입니다.

특히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은 이미 영향을 받는 모양새입니다.

지난달 수출액은 525억 달러로 1년 전보다 5.7% 줄었습니다.

수출이 감소한 건 2년여 만인데,

내년에는 상황이 더욱 나쁠 것으로 보입니다.

기준금리 인상의 부작용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이,

한국은행이 내년 국내 경제성장률을 1.7%까지 낮춘 배경이기도 합니다.

[이인철 / 참조은경제연구소장 : 미국은 내수가 탄탄하거든요. 내수 소비가 70% 이상을 차지하지만 우리는 수출이거든요.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는 치명타가 될 수밖에 없는데 미국의 성장률이 제로로 가고요. 그리고 유로존은 이미 마이너스를 예견하고 있을 만큼 변수가 많아졌어요.]

한국은행은 내후년부턴 경제가 회복세를 되찾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세계 경기 침체의 골이 생각보다 깊다면 이마저도 장담할 수 없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YTN 조태현입니다.



YTN 조태현 (chot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