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문재인 정부 출범 뒤 서울과 지방 아파트값의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부동산 정보업체 경제만랩이 KB국민은행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난 2017년 5월 서울과 5대 광역시의 아파트 평균 매맷값은 각각 6억 708만 원, 2억 6,200만 원으로, 3억 4,508만 원 차이였습니다.
하지만 이후로 서울 집값이 급등하면서,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 평균값은 2배 넘게 오른 12억 4,978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5대 광역시는 같은 기간 51.5% 오르면서, 서울과 5대 광역시의 아파트 가격 격차는 8억 5,277만 원으로 확대됐습니다.
경제만랩은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 강화와 1주택자 세 부담 완화 등의 영향으로 이른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커지고 있다며, 지역 양극화도 갈수록 심화할 전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YTN 조태현 (chot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부동산 정보업체 경제만랩이 KB국민은행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난 2017년 5월 서울과 5대 광역시의 아파트 평균 매맷값은 각각 6억 708만 원, 2억 6,200만 원으로, 3억 4,508만 원 차이였습니다.
하지만 이후로 서울 집값이 급등하면서,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 평균값은 2배 넘게 오른 12억 4,978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5대 광역시는 같은 기간 51.5% 오르면서, 서울과 5대 광역시의 아파트 가격 격차는 8억 5,277만 원으로 확대됐습니다.
경제만랩은 다주택자에 대한 보유세 강화와 1주택자 세 부담 완화 등의 영향으로 이른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커지고 있다며, 지역 양극화도 갈수록 심화할 전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YTN 조태현 (chot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