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백기종 / 前 수서경찰서 강력팀장
[앵커]
18차례에 걸쳐 4600만 원을 훔친 범인, 어떻게 이렇게 손쉬운 범행이 가능했는지 전문가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백기종 전 수서경찰서 강력팀장이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백기종입니다.
[앵커]
팀장님, 전국에 있는 인형뽑기방에서 18번이나 절도를 저질렀는데 이게 얼마 동안 이루어진 범행입니까?
[인터뷰]
방금 자막에 나왔듯이 광진경찰서 강력2팀 박동주 팀장이 후배인데요. 이게 피의자가 26세죠. 절도 전과도 없는 전직 인테리어 기술자입니다.
[앵커]
전과도 없다고 합니까?
[인터뷰]
네. 그런데 생활을 하다가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니까 원래 인테리어 작업을 하는 사용하는 노루뽑기라고 하는 게 있습니다. 이 공구를 가지고 최근에 성행하는 이런 인형뽑기방에서 절도를 하면 돈이 되겠다, 이런 생각을 하고요.
또 피의자가 거주하던 인천을 비롯해서 서울, 부산, 대구 등 18개소 인형뽑기 가게에서 4600만 원을 훔쳤는데 이게 3월 초순부터 4월 5일까지 불과 한 달 사이에 이루어진 범행입니다.
[앵커]
굉장히 짧은 시간에 상당히 많은 돈을 훔친 셈인데 이 지폐교환기만을 노렸다고 합니다. 이게 1분 만에 털릴 정도로 그렇게 허술한 겁니까?
[인터뷰]
그렇습니다. 지폐교환기, 인형뽑기방에 있는 지폐교환기가 자물쇠가 자물통이라고 하죠. 보통 잠금장치가 허술합니다. 그래서 노루발못뽑이로 이걸 뽑아버리면 이게 뽑히고 열리거든요. 이걸 이용해서 불과 1분, 많게는 2~3분 사이에 현금을 훔쳐서 도망을 가는 건데 이 사람이 또 수법이 이거예요. 인형뽑기방 앱을 설치를 합니다. 전화기 휴대폰에. 이건 보도가 안 된 건데 그렇게 해서 그 앱에 나오는 장소를 사전에 답사를 해서 그래서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서 들어가서 노루발못뽑이, 빠루로 이걸 제치고 그다음에 현금을 훔치는 형태였죠.
[앵커]
그러면 상당히 사전답사까지 했을 정도면 치밀하게 계획한 범죄라고 저희가 봐야 되겠군요?
[인터뷰]
그렇습니다. 전국의 인형뽑기 앱을 설치를 해서 사전에 답사를 하고 그다음에 CCTV라든가 이런 것을 자기가 찍히지 않게 노력을 하는 거죠. 그리고 모자나 마스크를 쓰고 가게 주인이나 종업원이 없다고 판단되면 들어가서 불과 2, 3분 안에 현금을 훔치고 도주를 하는 이런 형태의 범행을 계속 했던 것이죠.
[앵커]
아니, 한 달 동안의 시간 동안에 4600만 원이나 훔쳤는데 검거가 늦어진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인터뷰]
늦어진 이유가 있습니다. 피의자가 인천에 살다가 이혼을 했어요. 그런데 주소를 어디에다 이전을 해 놨느냐면 부산에다 이전을 해 놓습니다. 그렇게 수사에 혼선을 주고 도피를 했는데 또 CCTV에 노출되지 않으려고 마스크, 모자 착용하죠. 그다음에 이동경로 이걸 굉장히 지능적으로 움직였는데 피해 장소 주변의 CCTV나 이런 것을 계속 피해다니기도 하고 그다음에 택시 같은 걸 번갈아서 타기도 하고 이렇게 했는데 결국은 광진서 강력2팀에서 CCTV, 피해장소의 CCTV나 그리고 인근의 PC방을 조사를 해서 특수기법으로 피의자를 특정했습니다. 그래서 결국 범행 한 달여 만에 4월 5일날 체포를 해서 7일날 구속영장을 발부 받은 그런 사건이죠.
[앵커]
이동경로를 지능적으로 설정을 해서 치밀하게 움직였다면 앞으로 추가 범행이 더 나올 가능성도 있겠군요?
[인터뷰]
네. 추가 범행을 조사를 하고 있는데요. 경찰이 수사에 활용하고 있는 킥스라고 해서 이게 SCS, 스카스라고 하는데 과학적 분석시스템이라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 올려서 피의자 범죄 사실을 올리는데 전국 관서에서 피해가 있을 때 여기에 사진을 찍고 과학적인 감식을 해서 올리는 건데 이걸 상대로 해서 조사를 추가적으로 하고 있고요. 또 피해를 당하고도 신고하지 않은 업주가 있으면 광진경찰서 강력2팀에 연락하시면 나중에 피해 본 곳도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그런 일이 되겠습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직원이 상주하지 않은 곳만 노렸다고 하는데 전국적으로 인형뽑기방이 굉장히 많지 않습니까? 그래서 유사 범죄가 우려되는 상황인데 이 같은 절도 피해를 막으려면 어떻게 대비하는 게 좋겠습니까?
[인터뷰]
게임물관리위원회 통계를 보니까 재작년부터 굉장히 성황을 했는데 전국 수천 개로 늘어났어요. 그런데 영업을 하지 않으면 반드시 가게 잠금 장치를 하시는 게 좋고요. 그리고 두 번째는 경보장치, 그렇게 큰 경비가 안 들거든요. 관할에 있는 파출소나 지구대하고 연결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CCTV를 꼭 장착, 설치하시는데 중요한 것은 퇴근하실 때 반드시 현금을 모두 회수하라 이거죠. 현금을 남겨 놓지 않는 것이고요. 그다음에 가능하면 아르바이트 형식의 직원을 상주시키는 방법이 피해를 보지 않는 방법이고 첩경이라고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팀장님,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인터뷰]
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앵커]
지금까지 백기종 전 수서경찰서 강력팀장이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앵커]
18차례에 걸쳐 4600만 원을 훔친 범인, 어떻게 이렇게 손쉬운 범행이 가능했는지 전문가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백기종 전 수서경찰서 강력팀장이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백기종입니다.
[앵커]
팀장님, 전국에 있는 인형뽑기방에서 18번이나 절도를 저질렀는데 이게 얼마 동안 이루어진 범행입니까?
[인터뷰]
방금 자막에 나왔듯이 광진경찰서 강력2팀 박동주 팀장이 후배인데요. 이게 피의자가 26세죠. 절도 전과도 없는 전직 인테리어 기술자입니다.
[앵커]
전과도 없다고 합니까?
[인터뷰]
네. 그런데 생활을 하다가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니까 원래 인테리어 작업을 하는 사용하는 노루뽑기라고 하는 게 있습니다. 이 공구를 가지고 최근에 성행하는 이런 인형뽑기방에서 절도를 하면 돈이 되겠다, 이런 생각을 하고요.
또 피의자가 거주하던 인천을 비롯해서 서울, 부산, 대구 등 18개소 인형뽑기 가게에서 4600만 원을 훔쳤는데 이게 3월 초순부터 4월 5일까지 불과 한 달 사이에 이루어진 범행입니다.
[앵커]
굉장히 짧은 시간에 상당히 많은 돈을 훔친 셈인데 이 지폐교환기만을 노렸다고 합니다. 이게 1분 만에 털릴 정도로 그렇게 허술한 겁니까?
[인터뷰]
그렇습니다. 지폐교환기, 인형뽑기방에 있는 지폐교환기가 자물쇠가 자물통이라고 하죠. 보통 잠금장치가 허술합니다. 그래서 노루발못뽑이로 이걸 뽑아버리면 이게 뽑히고 열리거든요. 이걸 이용해서 불과 1분, 많게는 2~3분 사이에 현금을 훔쳐서 도망을 가는 건데 이 사람이 또 수법이 이거예요. 인형뽑기방 앱을 설치를 합니다. 전화기 휴대폰에. 이건 보도가 안 된 건데 그렇게 해서 그 앱에 나오는 장소를 사전에 답사를 해서 그래서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서 들어가서 노루발못뽑이, 빠루로 이걸 제치고 그다음에 현금을 훔치는 형태였죠.
[앵커]
그러면 상당히 사전답사까지 했을 정도면 치밀하게 계획한 범죄라고 저희가 봐야 되겠군요?
[인터뷰]
그렇습니다. 전국의 인형뽑기 앱을 설치를 해서 사전에 답사를 하고 그다음에 CCTV라든가 이런 것을 자기가 찍히지 않게 노력을 하는 거죠. 그리고 모자나 마스크를 쓰고 가게 주인이나 종업원이 없다고 판단되면 들어가서 불과 2, 3분 안에 현금을 훔치고 도주를 하는 이런 형태의 범행을 계속 했던 것이죠.
[앵커]
아니, 한 달 동안의 시간 동안에 4600만 원이나 훔쳤는데 검거가 늦어진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인터뷰]
늦어진 이유가 있습니다. 피의자가 인천에 살다가 이혼을 했어요. 그런데 주소를 어디에다 이전을 해 놨느냐면 부산에다 이전을 해 놓습니다. 그렇게 수사에 혼선을 주고 도피를 했는데 또 CCTV에 노출되지 않으려고 마스크, 모자 착용하죠. 그다음에 이동경로 이걸 굉장히 지능적으로 움직였는데 피해 장소 주변의 CCTV나 이런 것을 계속 피해다니기도 하고 그다음에 택시 같은 걸 번갈아서 타기도 하고 이렇게 했는데 결국은 광진서 강력2팀에서 CCTV, 피해장소의 CCTV나 그리고 인근의 PC방을 조사를 해서 특수기법으로 피의자를 특정했습니다. 그래서 결국 범행 한 달여 만에 4월 5일날 체포를 해서 7일날 구속영장을 발부 받은 그런 사건이죠.
[앵커]
이동경로를 지능적으로 설정을 해서 치밀하게 움직였다면 앞으로 추가 범행이 더 나올 가능성도 있겠군요?
[인터뷰]
네. 추가 범행을 조사를 하고 있는데요. 경찰이 수사에 활용하고 있는 킥스라고 해서 이게 SCS, 스카스라고 하는데 과학적 분석시스템이라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 올려서 피의자 범죄 사실을 올리는데 전국 관서에서 피해가 있을 때 여기에 사진을 찍고 과학적인 감식을 해서 올리는 건데 이걸 상대로 해서 조사를 추가적으로 하고 있고요. 또 피해를 당하고도 신고하지 않은 업주가 있으면 광진경찰서 강력2팀에 연락하시면 나중에 피해 본 곳도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그런 일이 되겠습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직원이 상주하지 않은 곳만 노렸다고 하는데 전국적으로 인형뽑기방이 굉장히 많지 않습니까? 그래서 유사 범죄가 우려되는 상황인데 이 같은 절도 피해를 막으려면 어떻게 대비하는 게 좋겠습니까?
[인터뷰]
게임물관리위원회 통계를 보니까 재작년부터 굉장히 성황을 했는데 전국 수천 개로 늘어났어요. 그런데 영업을 하지 않으면 반드시 가게 잠금 장치를 하시는 게 좋고요. 그리고 두 번째는 경보장치, 그렇게 큰 경비가 안 들거든요. 관할에 있는 파출소나 지구대하고 연결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CCTV를 꼭 장착, 설치하시는데 중요한 것은 퇴근하실 때 반드시 현금을 모두 회수하라 이거죠. 현금을 남겨 놓지 않는 것이고요. 그다음에 가능하면 아르바이트 형식의 직원을 상주시키는 방법이 피해를 보지 않는 방법이고 첩경이라고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팀장님,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인터뷰]
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앵커]
지금까지 백기종 전 수서경찰서 강력팀장이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