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대우건설이 분식회계를 저질렀다는 금융당국의 결론이 나오면서 건설업계 전체가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회계 처리 방법이 업계의 오랜 관행이기 때문인데요.
건설업의 특성을 무시한 것이라는 불만까지 터져 나오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유투권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 당국이 확정한 대우건설의 분식회계 규모는 3,800억 원.
시행사의 부실 등으로 손실이 예상되는데도 이를 제때 회계에 반영하지 않아 이익을 부풀렸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런 결론이 나오자 당사자인 대우건설뿐만 아니라 건설업계 전체가 크게 술렁거리고 있습니다.
[건설업계 관계자]
"많이 혼란스럽기도 하고요. 이게 주택업계는 전부 다 해당이 돼서..."
당장 회계 기준을 바꿔 대손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하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건설업계의 이런 혼란은 어느 정도 예고된 것이었습니다.
금융 당국이 논의하는 과정에서도 각 단계마다 분식회계의 규모가 달라지는 등 혼선이 이어졌습니다.
금융감독원과 자문기구인 감리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분식의 규모와 고의성 여부에 대해 다른 결론을 내놨습니다.
또 업계의 관행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결국, 감리를 확대하지는 않겠다는 어정쩡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몇 년이 걸리는 아파트 공사의 특성상, 매년 발생하는 손실을 정확히 추정해 회계에 반영하기 어렵다는 업계의 주장에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린 결과입니다.
[건설업계 관계자]
"추정이라는 건 정말 추정이잖아요. 회계 담당자 아니면 경영진의 판단에 대해서 어떤 잣대를 들이대서 이렇게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것 같고요."
하지만 이번 사태를 계기로 엄청난 손실을 몰아서 한꺼번에 처리하는 관행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이배, 덕성여대 회계학과 교수]
"기업의 실상을 정보이용자나 기업 이해관계자에게 정확히 전달해주는 것이 중장기적으로 기업에 이로울 것입니다."
금융 당국이 뒤늦게 건설과 조선 등 수주 산업의 회계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하면서 논란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YTN 유투권[r2kwo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우건설이 분식회계를 저질렀다는 금융당국의 결론이 나오면서 건설업계 전체가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회계 처리 방법이 업계의 오랜 관행이기 때문인데요.
건설업의 특성을 무시한 것이라는 불만까지 터져 나오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유투권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 당국이 확정한 대우건설의 분식회계 규모는 3,800억 원.
시행사의 부실 등으로 손실이 예상되는데도 이를 제때 회계에 반영하지 않아 이익을 부풀렸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런 결론이 나오자 당사자인 대우건설뿐만 아니라 건설업계 전체가 크게 술렁거리고 있습니다.
[건설업계 관계자]
"많이 혼란스럽기도 하고요. 이게 주택업계는 전부 다 해당이 돼서..."
당장 회계 기준을 바꿔 대손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하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건설업계의 이런 혼란은 어느 정도 예고된 것이었습니다.
금융 당국이 논의하는 과정에서도 각 단계마다 분식회계의 규모가 달라지는 등 혼선이 이어졌습니다.
금융감독원과 자문기구인 감리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분식의 규모와 고의성 여부에 대해 다른 결론을 내놨습니다.
또 업계의 관행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결국, 감리를 확대하지는 않겠다는 어정쩡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몇 년이 걸리는 아파트 공사의 특성상, 매년 발생하는 손실을 정확히 추정해 회계에 반영하기 어렵다는 업계의 주장에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린 결과입니다.
[건설업계 관계자]
"추정이라는 건 정말 추정이잖아요. 회계 담당자 아니면 경영진의 판단에 대해서 어떤 잣대를 들이대서 이렇게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것 같고요."
하지만 이번 사태를 계기로 엄청난 손실을 몰아서 한꺼번에 처리하는 관행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이배, 덕성여대 회계학과 교수]
"기업의 실상을 정보이용자나 기업 이해관계자에게 정확히 전달해주는 것이 중장기적으로 기업에 이로울 것입니다."
금융 당국이 뒤늦게 건설과 조선 등 수주 산업의 회계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하면서 논란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YTN 유투권[r2kwo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