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우리나라 스마트폰 가입자수가 4000만 명이 넘어섰습니다.
한 사람당 한 대씩은 휴대하고 있는 셈인데요!
이와 더불어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셋 시장도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가의 제품인 만큼 이것저것 따질 수밖에 없는데요!
오늘 핫 이슈 스마트 제품에서는 중소기업진흥공단과 소비자단체에서 선정한 제품과 함께 블루투스 이어폰과 헤드셋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기자]
휴대전화를 들지 않고도 상대방과 통화를 하고, 선이 없는 데도 음악을 듣습니다.
거리에서 전화를 하며 다른 일을 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더 이상 낯설지가 않습니다.
바로 블루투스 기반으로 한 무선 이어폰 때문인데요.
[인터뷰:민경태, 서울시 용산구]
"차에서 쓰면 좋죠. 언제든 받을 수가 있잖아요."
[인터뷰:임명철, 서울시 용산구]
"선 같은 것으로 되어 있는 게 아니라 그냥 말할 수 있어서, 그런 점이 편리한 것 같아요."
제가 지금 착용하고 있는 이 블루투스 제품 때문인데요.
스마트폰이 소비자들의 필수품이 되면서 블루투스 이어폰과 헤드셋에 대한 관심도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들이 선뜻 구매하기 쉽지 않은데요.
[인터뷰:최동규, 서울시 용산구]
"일단 가격이 좀 비싸서 블루투스 사용하는데 부담이 되어가지고..."
이곳은 서울의 한 전자상가.
운전자용 핸즈프리 이어폰에서 음악 감상용, 레저용 등 다양한 블루투스 이어폰과 헤드셋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소비자층에게 인기를 모으는 제품은 중소기업진흥공단과 소비자 단체가 선정한 블루투스 헤드셋 제품이었는데요.
[인터뷰:백인영, 서울시 용산구]
"가격적인 부분에서도 메리트가 있고 음질도 너무 괜찮아서 중소기업 제품으로 구매하는 게 나을 것 같아요."
[인터뷰:홍성대, 블루투스 헤드셋 판매자]
"대기업 제품에 비해서 기술력도 떨어지지 않고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요즘 판매가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품질 뿐만 아니라 디자인면에서도 뒤떨어지지 않는 중소기업 스마트 제품!
그렇다면 이 두 제품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제가 직접 착용해보고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편의성 측면에서 유선이어폰보다 뛰어난 블루투스 제품!
그러나 와이파이 기반의 무선인터넷이니만큼 소리의 끊김이라든지 음질이 가장 관건인데요!
과연 대기업의 제품과 비교했을 때 음질의 차이!
얼마나 날까요?
일단은 착용했을 때 느낌이 좋았고요.
가장 중요한 음질이 정말 깨끗하게 들려서 좋았던 것 같아요.
가격 면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대기업 제품과 중소기업 제품의 다른 차이는 전혀 못 느끼겠는데요?
이렇게 기술력에서도 뒤처지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가격면에서 훨씬 저렴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터뷰:심재국, 'ㅂ' 중소기업 담당자]
"제품 포장 등의 외형적인 부분보다 제품의 기본 기능에 충실한 제품이고, 가격부분에서도 다양한 제품들을 저렴한 가격의 가장 최적화된 상품으로 공급하다보니 소비자분들이 많이 호응해주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블루투스의 이어폰이나 헤드셋의 경우, 전자제품이니 만큼 고장이 나거나 A/S를 고려해 대기업제품을 선택하는 소비자들도 많은데요.
[인터뷰:이주호, 'ㅇ' 중소기업 담당자]
"저희 같은 경우에는 센터를 한 군데밖에 운영하지 못 해서 택배로 나르는 불편함이 있지만요. A/S가 무상이거나 들어가는 실비만 가지고 처리를 해드리고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서 고객 만족도는 좋은 편입니다."
소비자들이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구매하는데에 또 다른 걱정거리가 있습니다.
[인터뷰:박순영, 서울시 용산구]
"아무래도 전자파가 머리 쪽으로 가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인터뷰:심완수, 서울시 용산구]
"귀에 꽂는 거라서 전자파 같은 게 뇌로 직접적으로 갈 것 같은 느낌이 있기 때문에 조금 꺼려지는 건 사실입니다."
중소기업진흥공단과 한 소비자단체에서는 국내에서 판매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대한 안전성 테스를 실시했는데요.
실시한 제품 모두가 안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블루투스 이어폰과 헤드셋!
그 종류와 디자인도 제각각인데요, 과연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할까요?
[인터뷰:이주호, 'ㅇ'중소기업 담당자]
"본인이 운동용으로 쓸 건지, 운전할 때 위주로 쓸 건지, 길거리를 다니면서 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음악을 위주로 들을 건지에 따라서 맞는 형태의 제품군을 구매하는 게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스마트폰과 연결해서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하는 블루투스 이어폰과 헤드셋!
중소기업 스마트제품으로 합리적인 소비를 하는 건 어떨까요?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우리나라 스마트폰 가입자수가 4000만 명이 넘어섰습니다.
한 사람당 한 대씩은 휴대하고 있는 셈인데요!
이와 더불어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셋 시장도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가의 제품인 만큼 이것저것 따질 수밖에 없는데요!
오늘 핫 이슈 스마트 제품에서는 중소기업진흥공단과 소비자단체에서 선정한 제품과 함께 블루투스 이어폰과 헤드셋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기자]
휴대전화를 들지 않고도 상대방과 통화를 하고, 선이 없는 데도 음악을 듣습니다.
거리에서 전화를 하며 다른 일을 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더 이상 낯설지가 않습니다.
바로 블루투스 기반으로 한 무선 이어폰 때문인데요.
[인터뷰:민경태, 서울시 용산구]
"차에서 쓰면 좋죠. 언제든 받을 수가 있잖아요."
[인터뷰:임명철, 서울시 용산구]
"선 같은 것으로 되어 있는 게 아니라 그냥 말할 수 있어서, 그런 점이 편리한 것 같아요."
제가 지금 착용하고 있는 이 블루투스 제품 때문인데요.
스마트폰이 소비자들의 필수품이 되면서 블루투스 이어폰과 헤드셋에 대한 관심도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들이 선뜻 구매하기 쉽지 않은데요.
[인터뷰:최동규, 서울시 용산구]
"일단 가격이 좀 비싸서 블루투스 사용하는데 부담이 되어가지고..."
이곳은 서울의 한 전자상가.
운전자용 핸즈프리 이어폰에서 음악 감상용, 레저용 등 다양한 블루투스 이어폰과 헤드셋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소비자층에게 인기를 모으는 제품은 중소기업진흥공단과 소비자 단체가 선정한 블루투스 헤드셋 제품이었는데요.
[인터뷰:백인영, 서울시 용산구]
"가격적인 부분에서도 메리트가 있고 음질도 너무 괜찮아서 중소기업 제품으로 구매하는 게 나을 것 같아요."
[인터뷰:홍성대, 블루투스 헤드셋 판매자]
"대기업 제품에 비해서 기술력도 떨어지지 않고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요즘 판매가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품질 뿐만 아니라 디자인면에서도 뒤떨어지지 않는 중소기업 스마트 제품!
그렇다면 이 두 제품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제가 직접 착용해보고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편의성 측면에서 유선이어폰보다 뛰어난 블루투스 제품!
그러나 와이파이 기반의 무선인터넷이니만큼 소리의 끊김이라든지 음질이 가장 관건인데요!
과연 대기업의 제품과 비교했을 때 음질의 차이!
얼마나 날까요?
일단은 착용했을 때 느낌이 좋았고요.
가장 중요한 음질이 정말 깨끗하게 들려서 좋았던 것 같아요.
가격 면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대기업 제품과 중소기업 제품의 다른 차이는 전혀 못 느끼겠는데요?
이렇게 기술력에서도 뒤처지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가격면에서 훨씬 저렴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터뷰:심재국, 'ㅂ' 중소기업 담당자]
"제품 포장 등의 외형적인 부분보다 제품의 기본 기능에 충실한 제품이고, 가격부분에서도 다양한 제품들을 저렴한 가격의 가장 최적화된 상품으로 공급하다보니 소비자분들이 많이 호응해주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블루투스의 이어폰이나 헤드셋의 경우, 전자제품이니 만큼 고장이 나거나 A/S를 고려해 대기업제품을 선택하는 소비자들도 많은데요.
[인터뷰:이주호, 'ㅇ' 중소기업 담당자]
"저희 같은 경우에는 센터를 한 군데밖에 운영하지 못 해서 택배로 나르는 불편함이 있지만요. A/S가 무상이거나 들어가는 실비만 가지고 처리를 해드리고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서 고객 만족도는 좋은 편입니다."
소비자들이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구매하는데에 또 다른 걱정거리가 있습니다.
[인터뷰:박순영, 서울시 용산구]
"아무래도 전자파가 머리 쪽으로 가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인터뷰:심완수, 서울시 용산구]
"귀에 꽂는 거라서 전자파 같은 게 뇌로 직접적으로 갈 것 같은 느낌이 있기 때문에 조금 꺼려지는 건 사실입니다."
중소기업진흥공단과 한 소비자단체에서는 국내에서 판매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대한 안전성 테스를 실시했는데요.
실시한 제품 모두가 안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블루투스 이어폰과 헤드셋!
그 종류와 디자인도 제각각인데요, 과연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할까요?
[인터뷰:이주호, 'ㅇ'중소기업 담당자]
"본인이 운동용으로 쓸 건지, 운전할 때 위주로 쓸 건지, 길거리를 다니면서 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음악을 위주로 들을 건지에 따라서 맞는 형태의 제품군을 구매하는 게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스마트폰과 연결해서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하는 블루투스 이어폰과 헤드셋!
중소기업 스마트제품으로 합리적인 소비를 하는 건 어떨까요?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