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정부가 2035년까지 줄이기로 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치가 국무회의를 통해 확정됐습니다.
정부는 오늘(11일) 오전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오는 2035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NDC를 '2018년 대비 53∼61%'로 정하는 안건을 심의·의결했습니다.
NDC는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의 가입국이 5년마다 스스로 수립해 유엔에 제출하는 10년 단위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입니다.
이 대통령은 의결에 앞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탄소 중립 사회로 전환은 일부 고통이 따르더라도 글로벌 경제 강국 도약을 위해서 피할 수 없는 길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우리의 현실적 여건과 국민 부담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목표와 수단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는 실용적인 지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유관 부처에는 재생에너지 전환, 온실가스 감축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국민과 기업의 어려움을 여러 방면에서 살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철강·석유화학 등 산업계에 약속한 지원이 없었던 사례가 있었다며, 이 대통령이 관심을 가져 달라고 건의하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확정된 감축 목표치를 이번 주 안에 유엔에 보낼 예정입니다.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부는 오늘(11일) 오전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오는 2035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NDC를 '2018년 대비 53∼61%'로 정하는 안건을 심의·의결했습니다.
NDC는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의 가입국이 5년마다 스스로 수립해 유엔에 제출하는 10년 단위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입니다.
이 대통령은 의결에 앞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탄소 중립 사회로 전환은 일부 고통이 따르더라도 글로벌 경제 강국 도약을 위해서 피할 수 없는 길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우리의 현실적 여건과 국민 부담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목표와 수단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는 실용적인 지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유관 부처에는 재생에너지 전환, 온실가스 감축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국민과 기업의 어려움을 여러 방면에서 살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철강·석유화학 등 산업계에 약속한 지원이 없었던 사례가 있었다며, 이 대통령이 관심을 가져 달라고 건의하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확정된 감축 목표치를 이번 주 안에 유엔에 보낼 예정입니다.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