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대학생 사망 사건이 발생한 캄보디아의 훈 마네트 총리와 정상회담을 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스캠 등 범죄에 대한 양국 공조 방안 등을 논의하자고 약속했는데요.
말레이시아 현지 브리핑 들어보시겠습니다.
[강유정 / 대변인 브리핑]
강유정 대변인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오전 제47차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취임 후 첫 양자 회담을 가졌습니다.
양국 정상은 회담을 통해 한국인 전담 한-캄보디아 공동 태스크포스 명칭의 코리아 전담반을 11월부터 가동키로 전격 합의하고 전담반 내에 한국 경찰 파견 규모 및 운영 방식을 빠른 시일 내에 확정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스캠 범죄에 연루된 우리 국민 송환 및 피해자 보호 과정에서 캄보디아 측이 제공한 제반 협조에 대해 훈 마네트 총리에게 사의를 표하고, 스캠 범죄에 대한 양국의 효과적인 공동대응을 위해 적극 공조해 나가자 말했습니다.
훈 마네트 총리는 10여일 전 이 대통령이 파견한 한국 정부 합동 대응팀과의 긴밀한 소통을 시작으로 양국 간 협의를 진행한 결과 이번에 한국인 전담반 가동에 합의한 것을 평가한다 답했습니다.
훈 마네트 총리는 최근 스캠 범죄단지 집중 단속 등 초국가범죄에 대한 강력한 대응으로 캄보디아 치안이 상당히 개선되었다고 설명했고 이재명 대통령은 치안 개선과 한국인 전담반 가동을 계기로 프놈펜 등 일부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 하향 검토를 지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두 정상은 1997년 재수교 이후 양국 관계가 교역, 투자, 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약적 발전을 이루어온 점을 평가하고 작금의 스캠 범죄 대응 문제를 잘 이겨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계속 굳건하게 발전시켜나가자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캄보디아 진출 우리 기업들이 캄보디아 경제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했음을 설명하고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캄보디아 측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있기를 당부했습니다.
훈 마네트 총리는 한국이 캄보디아의 경제성장과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며 양국 관계를 소중히 여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양국 간 지속적인 발전을 희망하며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을 관련 부처에 지시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상입니다.
이어 한-아세안 정상회의 참석 관련해 브리핑하겠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취임 후 처음으로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지난 35년 넘는 기간 동안 이어진 우리 정부의 아세안 중시 기조를 재확인하고 다가오는 2029년 한-아세안 40주년을 바라보고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CSP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공개된 모두발언에서 꿈과 희망을 이루는 조력자, 성장과 혁신의 도약대, 평화와 안정의 파트너로서 역할하겠다 약속했습니다.
한편 온라인 스캠 센터 범죄 근절을 위한 한-아세안 합동수사 및 공조 체계 구축을 제안하고 한반도 평화 공존과 공동성장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에 아세안이 지지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비공개 회의에서 논의된 부분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아세안 각국 정상들은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과 취임을 축하하며 아세안과 처음 함께함을 환영했습니다.
각국 정상들은 한-아세안 FTA 업그레이드, 디지털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 협력, 문화, 인적교류 확대 및 인재육성 지원, 스캠 등 초국가 범죄 공동대응 및 해양 안보 협력 강화 등을 희망하며 우리 정부의 한반도 정책에 대한 강력한 지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모두발언의 CSP 비전에 대한 구체 방향을 전하며 한국은 아세안 국민들 꿈을 이루는 나라가 되도록 제도적 기반을 든든히 다져나가고 아세안 국가 간 개발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며 아세안의 지속가능한 생활환경 조성에 기여하는 한편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가 정착되도록 노력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이상입니다.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대학생 사망 사건이 발생한 캄보디아의 훈 마네트 총리와 정상회담을 했습니다.
양국 정상은 스캠 등 범죄에 대한 양국 공조 방안 등을 논의하자고 약속했는데요.
말레이시아 현지 브리핑 들어보시겠습니다.
[강유정 / 대변인 브리핑]
강유정 대변인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오전 제47차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취임 후 첫 양자 회담을 가졌습니다.
양국 정상은 회담을 통해 한국인 전담 한-캄보디아 공동 태스크포스 명칭의 코리아 전담반을 11월부터 가동키로 전격 합의하고 전담반 내에 한국 경찰 파견 규모 및 운영 방식을 빠른 시일 내에 확정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스캠 범죄에 연루된 우리 국민 송환 및 피해자 보호 과정에서 캄보디아 측이 제공한 제반 협조에 대해 훈 마네트 총리에게 사의를 표하고, 스캠 범죄에 대한 양국의 효과적인 공동대응을 위해 적극 공조해 나가자 말했습니다.
훈 마네트 총리는 10여일 전 이 대통령이 파견한 한국 정부 합동 대응팀과의 긴밀한 소통을 시작으로 양국 간 협의를 진행한 결과 이번에 한국인 전담반 가동에 합의한 것을 평가한다 답했습니다.
훈 마네트 총리는 최근 스캠 범죄단지 집중 단속 등 초국가범죄에 대한 강력한 대응으로 캄보디아 치안이 상당히 개선되었다고 설명했고 이재명 대통령은 치안 개선과 한국인 전담반 가동을 계기로 프놈펜 등 일부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 하향 검토를 지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두 정상은 1997년 재수교 이후 양국 관계가 교역, 투자, 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약적 발전을 이루어온 점을 평가하고 작금의 스캠 범죄 대응 문제를 잘 이겨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계속 굳건하게 발전시켜나가자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캄보디아 진출 우리 기업들이 캄보디아 경제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했음을 설명하고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캄보디아 측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있기를 당부했습니다.
훈 마네트 총리는 한국이 캄보디아의 경제성장과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며 양국 관계를 소중히 여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양국 간 지속적인 발전을 희망하며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을 관련 부처에 지시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상입니다.
이어 한-아세안 정상회의 참석 관련해 브리핑하겠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취임 후 처음으로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지난 35년 넘는 기간 동안 이어진 우리 정부의 아세안 중시 기조를 재확인하고 다가오는 2029년 한-아세안 40주년을 바라보고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CSP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공개된 모두발언에서 꿈과 희망을 이루는 조력자, 성장과 혁신의 도약대, 평화와 안정의 파트너로서 역할하겠다 약속했습니다.
한편 온라인 스캠 센터 범죄 근절을 위한 한-아세안 합동수사 및 공조 체계 구축을 제안하고 한반도 평화 공존과 공동성장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에 아세안이 지지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비공개 회의에서 논의된 부분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아세안 각국 정상들은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과 취임을 축하하며 아세안과 처음 함께함을 환영했습니다.
각국 정상들은 한-아세안 FTA 업그레이드, 디지털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 협력, 문화, 인적교류 확대 및 인재육성 지원, 스캠 등 초국가 범죄 공동대응 및 해양 안보 협력 강화 등을 희망하며 우리 정부의 한반도 정책에 대한 강력한 지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모두발언의 CSP 비전에 대한 구체 방향을 전하며 한국은 아세안 국민들 꿈을 이루는 나라가 되도록 제도적 기반을 든든히 다져나가고 아세안 국가 간 개발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며 아세안의 지속가능한 생활환경 조성에 기여하는 한편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가 정착되도록 노력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이상입니다.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