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이태원 참사가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 이전 여파와 관련이 있다는 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대통령실 이전으로 관내 집회·시위가 급증한 용산경찰서가 핼러윈 데이에 이태원에 경비 인력을 전혀 배치하지 못했다는 겁니다.
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태원 참사 당시, 여느 해 같으면 수많은 인파를 관리하던 경찰관들이 보이지 않았다는 게 당시 현장에 있던 사람들의 증언입니다.
[현장 목격자(지난 2022년 10월) : 이번에는 통제도 아예 없었고, 해산하라는 방송도 없고, 통제하려는 것도 아예 없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주무부처 장관인 당시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경찰 배치로 해결될 일이 아니었다는 말을 해 뭇매를 맞기도 했습니다.
[이상민 /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지난 2022년 10월) : 통상과 달리 경찰이나 소방 인력이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지금 파악을 하고 있고요.]
그런데 정부가 합동감사를 벌인 결과 당시 이태원에는 경찰의 경비인력인 전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대통령실 이전 여파로 관내의 집회와 시위가 급증하면서, 용산경찰서가 여느 해와 달리 이태원에 경비 인력을 배치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김영수 / 국무총리실 국무1차장 : 2022년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이전함에 따라 인근 지역 집회 시위가 증가하였고, 이를 관리하는 것이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경비인력 운영의 최우선 과제가 됐던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용산경찰서는 앞선 2020년과 2021년에는 핼러윈 데이 이태원 인파관리 경비 계획을 세웠지만 2022년에는 마련하지 못했습니다.
경찰이 압사 위험을 알리는 112 신고 여러 건을 간과하거나 부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결국 참사를 막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관할 지자체인 용산구는 상황실 근무자가 서울종합방재센터의 압사 사고와 관련한 전화를 받고도 방치하는 등 초동 보고체계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재난대응 책임이 있는 서울시와 용산구 모두 책임자에 대한 행정 처분을 미루면서 징계 없이 정년퇴직하는 일까지 있었습니다.
합동TF는 감사를 통해 비위가 확인된 경찰관과 공무원에 대해 소속 기관에 상응 조치를 요구할 계획입니다.
YTN 홍선기 입니다.
촬영기자 고민철
영상편집 서영미
디자인 권향화
YTN 홍선기 (sunki05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태원 참사가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 이전 여파와 관련이 있다는 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대통령실 이전으로 관내 집회·시위가 급증한 용산경찰서가 핼러윈 데이에 이태원에 경비 인력을 전혀 배치하지 못했다는 겁니다.
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태원 참사 당시, 여느 해 같으면 수많은 인파를 관리하던 경찰관들이 보이지 않았다는 게 당시 현장에 있던 사람들의 증언입니다.
[현장 목격자(지난 2022년 10월) : 이번에는 통제도 아예 없었고, 해산하라는 방송도 없고, 통제하려는 것도 아예 없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주무부처 장관인 당시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경찰 배치로 해결될 일이 아니었다는 말을 해 뭇매를 맞기도 했습니다.
[이상민 /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지난 2022년 10월) : 통상과 달리 경찰이나 소방 인력이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지금 파악을 하고 있고요.]
그런데 정부가 합동감사를 벌인 결과 당시 이태원에는 경찰의 경비인력인 전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대통령실 이전 여파로 관내의 집회와 시위가 급증하면서, 용산경찰서가 여느 해와 달리 이태원에 경비 인력을 배치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김영수 / 국무총리실 국무1차장 : 2022년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이전함에 따라 인근 지역 집회 시위가 증가하였고, 이를 관리하는 것이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경비인력 운영의 최우선 과제가 됐던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용산경찰서는 앞선 2020년과 2021년에는 핼러윈 데이 이태원 인파관리 경비 계획을 세웠지만 2022년에는 마련하지 못했습니다.
경찰이 압사 위험을 알리는 112 신고 여러 건을 간과하거나 부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결국 참사를 막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관할 지자체인 용산구는 상황실 근무자가 서울종합방재센터의 압사 사고와 관련한 전화를 받고도 방치하는 등 초동 보고체계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재난대응 책임이 있는 서울시와 용산구 모두 책임자에 대한 행정 처분을 미루면서 징계 없이 정년퇴직하는 일까지 있었습니다.
합동TF는 감사를 통해 비위가 확인된 경찰관과 공무원에 대해 소속 기관에 상응 조치를 요구할 계획입니다.
YTN 홍선기 입니다.
촬영기자 고민철
영상편집 서영미
디자인 권향화
YTN 홍선기 (sunki05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