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북한, 동해 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
북, 이재명 정부 들어 첫 탄도미사일 발사
다음 주 APEC 정상회의…북 미사일 발사 배경 관심
대북정책에 별 반응 없던 북…탄도미사일 발사 나서
북, 이재명 정부 들어 첫 탄도미사일 발사
다음 주 APEC 정상회의…북 미사일 발사 배경 관심
대북정책에 별 반응 없던 북…탄도미사일 발사 나서
AD
[앵커]
북한이 오늘 동쪽 방향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인데요.
특히 다음 주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미사일 도발에 나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김문경 기자!
탄도미사일은 언제 발사된 겁니까?
[기자]
아직 정확한 시간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오전 8시 20분쯤 기자단에 보낸 메시지에서 북한이 동쪽 방향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건 지난 5월 이후 5개월여 만인데요.
특히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으로 탄도미사일 도발에 나서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여기에 다음 주 APEC 정상회의를 앞둔 시점이라 그 배경이 더욱 주목되고 있습니다.
먼저 이재명 정부가 잇따라 내놓은 대북정책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는 북한이 유엔의 제재 대상인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서 우리 정부의 대응을 떠보려 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또 내부 국방력 강화 차원에서 지난 10일 열병식에서 보여준 화성 11-마 신형 극초음속 단거리미사일을 시험 발사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당시 열병식에서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20형도 공개됐는데, 본격적인 도발에 나선 것이라면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시작으로 시험 발사가 줄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각에선 APEC 기간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에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전망도 잇따르고 있었는데요.
오늘 탄도미사일 도발에 나서면서 회담이 물 건너 간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사거리가 길지 않은 단거리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군은 현재 발사한 탄도미사일 기종과 사거리 등 제원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김문경입니다.
YTN 김문경 (mk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북한이 오늘 동쪽 방향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인데요.
특히 다음 주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미사일 도발에 나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김문경 기자!
탄도미사일은 언제 발사된 겁니까?
[기자]
아직 정확한 시간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오전 8시 20분쯤 기자단에 보낸 메시지에서 북한이 동쪽 방향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건 지난 5월 이후 5개월여 만인데요.
특히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으로 탄도미사일 도발에 나서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여기에 다음 주 APEC 정상회의를 앞둔 시점이라 그 배경이 더욱 주목되고 있습니다.
먼저 이재명 정부가 잇따라 내놓은 대북정책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는 북한이 유엔의 제재 대상인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서 우리 정부의 대응을 떠보려 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또 내부 국방력 강화 차원에서 지난 10일 열병식에서 보여준 화성 11-마 신형 극초음속 단거리미사일을 시험 발사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당시 열병식에서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20형도 공개됐는데, 본격적인 도발에 나선 것이라면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시작으로 시험 발사가 줄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각에선 APEC 기간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에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전망도 잇따르고 있었는데요.
오늘 탄도미사일 도발에 나서면서 회담이 물 건너 간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사거리가 길지 않은 단거리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군은 현재 발사한 탄도미사일 기종과 사거리 등 제원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김문경입니다.
YTN 김문경 (mk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