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으로 공급망 위험 요인이 커지자, 대통령실도 대응에 나섰습니다.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은 오늘(20일) 오현주 3차장 주재로 '경제 안보 여건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기획재정부와 외교부, 산업통상부, 해양수산부 등 유관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회의에선 최근 경제 안보 여건 변화에 따른 공급망 위험 요인에 대한 대책이 논의된 거로 알려졌습니다.
또 여러 리스크가 우리 기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각 부처가 긴밀히 협업하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앞서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고율 관세와 첨단기술 규제에 대한 맞불 조치로, 지난 9일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오늘(20일) 회의 역시 이에 대한 대응 차원으로 풀이됩니다.
안보실은 지난 15일에도 국내 희토류 수급 현황과 공급망 안정화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를 열었습니다.
YTN 정인용 (quoteje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은 오늘(20일) 오현주 3차장 주재로 '경제 안보 여건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기획재정부와 외교부, 산업통상부, 해양수산부 등 유관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회의에선 최근 경제 안보 여건 변화에 따른 공급망 위험 요인에 대한 대책이 논의된 거로 알려졌습니다.
또 여러 리스크가 우리 기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각 부처가 긴밀히 협업하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앞서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고율 관세와 첨단기술 규제에 대한 맞불 조치로, 지난 9일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오늘(20일) 회의 역시 이에 대한 대응 차원으로 풀이됩니다.
안보실은 지난 15일에도 국내 희토류 수급 현황과 공급망 안정화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를 열었습니다.
YTN 정인용 (quoteje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