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국정감사 사흘째인 오늘(15일) 국회에서는 행정안전위원회 등 4개 상임위가 피감기관 검증에 나섭니다.
어제 과방위에선 의원 사이 욕설 문자가 폭로됐는데, 고발전으로 번졌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윤웅성 기자!
먼저, 오늘 국회에서 열리는 국정감사 주요 일정 소개해주시죠.
[기자]
네, 국정감사 사흘 차인 오늘 국회에선 대법원 현장 검증을 간 법사위를 제외하고 4개 상임위가 가동됩니다.
먼저, 행정안전위원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인사혁신처 등 5개 기관을 상대로 감사에 나서는데요.
특히 중앙선관위의 부실 선거 관리에 비판이 나왔습니다.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은 지난 대선에서 사무원이 자신의 남편 신분증으로 대리 투표한 사건과 투표용지를 가진 채 투표장 밖으로 나섰던 관리부실 사례를 언급하면서 부실 선거가 부정 선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위촉 사무원에 의한 부실 사례가 이어지는 만큼 교육 강화를 주문했습니다.
복지부를 상대로 한 보건복지위원회 국감도 진행 중인데, 현재까지 여야는 큰 격돌 없이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다이어트 약의 무분별한 처방과 불법 조제 한약 등에 대한 조치 요구가 나왔습니다.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의 고용노동부 국감도 관심입니다.
필리버스터, 즉 무제한 토론 진통 끝에 통과된 '노란 봉투법'의 후속 과제가 남아 있는 만큼, 치열한 설전이 벌어지고 있고요.
농해수위의 해양수산부 국감에선 해수부 부산 이전 진행 상황 등이 언급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어제 국감장 곳곳에서 여야 격돌이 있었는데, 특히 과방위와 법사위에서의 공방전 후폭풍이 거세다고요.
[기자]
네, 어제 과방위에서 민주당 김우영 의원은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이 '김현지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김일성 추종세력과 연결됐다'는 가짜뉴스를 말한다며 느닷없이 지난달 받은 사적 메시지를 공개했습니다.
지질하다는 내용의 욕설이었는데요.
이 과정에서 박 의원 휴대전화 번호가 그대로 노출돼 야당에서 항의가 빗발쳤고, 여야 고성이 오가다가 국감이 파행을 빚었습니다.
박정훈 의원은 당시 김우영 의원이 먼저 멱살을 잡았고, 자신의 욕설 문자에 김 의원도 욕설로 답했는데 그건 쏙 지우고 공개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국민의힘은 오늘 오후 김 의원을 개인정보 유출과 폭행 등으로 경찰에 고발하기로 했고, 민주당도 박 의원을 윤리위에 제소하고 법적 조치 등으로 맞대응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이어서 들어보겠습니다.
[최수진 /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 : 사실관계를 자꾸 아닌 것처럼 이야기하는 건 잘못됐단 생각이 들고요. 서울경찰청에 고발할 예정입니다.]
[전현희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망언으로 터무니없는 정쟁 현장으로 몰고 가려는 국힘 박정훈 의원에 대해서 법적 조치, 윤리위 징계 등 단호히 대응하겠습니다.]
법사위에선 이재명 대통령 측근인 김현지 부속실장이 이화영 전 경기부지사의 대북 송금 사건 변호인 교체 과정에 관여했단 의혹을 제기했는데요.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은 변호인을 바꿔 이 전 부지사가 이재명 대통령에게 유리한 진술을 하도록 김 실장이 종용했다고 보고 있고, 민주당은 검찰의 이른바 '연어 술 파티' 회유가 허위 진술을 이끌었던 거라고 맞서고 있습니다.
국감 초반부터 여야 의원들의 고성과 욕설, 고발 등이 난무하면서 민생 국감, 정책 국감의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단 평가가 나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윤웅성 (yws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정감사 사흘째인 오늘(15일) 국회에서는 행정안전위원회 등 4개 상임위가 피감기관 검증에 나섭니다.
어제 과방위에선 의원 사이 욕설 문자가 폭로됐는데, 고발전으로 번졌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윤웅성 기자!
먼저, 오늘 국회에서 열리는 국정감사 주요 일정 소개해주시죠.
[기자]
네, 국정감사 사흘 차인 오늘 국회에선 대법원 현장 검증을 간 법사위를 제외하고 4개 상임위가 가동됩니다.
먼저, 행정안전위원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인사혁신처 등 5개 기관을 상대로 감사에 나서는데요.
특히 중앙선관위의 부실 선거 관리에 비판이 나왔습니다.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은 지난 대선에서 사무원이 자신의 남편 신분증으로 대리 투표한 사건과 투표용지를 가진 채 투표장 밖으로 나섰던 관리부실 사례를 언급하면서 부실 선거가 부정 선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위촉 사무원에 의한 부실 사례가 이어지는 만큼 교육 강화를 주문했습니다.
복지부를 상대로 한 보건복지위원회 국감도 진행 중인데, 현재까지 여야는 큰 격돌 없이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다이어트 약의 무분별한 처방과 불법 조제 한약 등에 대한 조치 요구가 나왔습니다.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의 고용노동부 국감도 관심입니다.
필리버스터, 즉 무제한 토론 진통 끝에 통과된 '노란 봉투법'의 후속 과제가 남아 있는 만큼, 치열한 설전이 벌어지고 있고요.
농해수위의 해양수산부 국감에선 해수부 부산 이전 진행 상황 등이 언급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어제 국감장 곳곳에서 여야 격돌이 있었는데, 특히 과방위와 법사위에서의 공방전 후폭풍이 거세다고요.
[기자]
네, 어제 과방위에서 민주당 김우영 의원은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이 '김현지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김일성 추종세력과 연결됐다'는 가짜뉴스를 말한다며 느닷없이 지난달 받은 사적 메시지를 공개했습니다.
지질하다는 내용의 욕설이었는데요.
이 과정에서 박 의원 휴대전화 번호가 그대로 노출돼 야당에서 항의가 빗발쳤고, 여야 고성이 오가다가 국감이 파행을 빚었습니다.
박정훈 의원은 당시 김우영 의원이 먼저 멱살을 잡았고, 자신의 욕설 문자에 김 의원도 욕설로 답했는데 그건 쏙 지우고 공개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국민의힘은 오늘 오후 김 의원을 개인정보 유출과 폭행 등으로 경찰에 고발하기로 했고, 민주당도 박 의원을 윤리위에 제소하고 법적 조치 등으로 맞대응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이어서 들어보겠습니다.
[최수진 /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 : 사실관계를 자꾸 아닌 것처럼 이야기하는 건 잘못됐단 생각이 들고요. 서울경찰청에 고발할 예정입니다.]
[전현희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망언으로 터무니없는 정쟁 현장으로 몰고 가려는 국힘 박정훈 의원에 대해서 법적 조치, 윤리위 징계 등 단호히 대응하겠습니다.]
법사위에선 이재명 대통령 측근인 김현지 부속실장이 이화영 전 경기부지사의 대북 송금 사건 변호인 교체 과정에 관여했단 의혹을 제기했는데요.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은 변호인을 바꿔 이 전 부지사가 이재명 대통령에게 유리한 진술을 하도록 김 실장이 종용했다고 보고 있고, 민주당은 검찰의 이른바 '연어 술 파티' 회유가 허위 진술을 이끌었던 거라고 맞서고 있습니다.
국감 초반부터 여야 의원들의 고성과 욕설, 고발 등이 난무하면서 민생 국감, 정책 국감의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단 평가가 나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윤웅성 (yws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