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최근 남북 관계를 '두 국가'로 선언한 북한이 35년 전 남북회담에서는 남북의 국호 사용도 분열주의라며 격하게 거부한 상황이 담긴 남북회담 문서가 공개됐습니다.
통일부는 1990년 9월부터 1992년 9월까지 8차례에 걸친 남북고위급 회담 문서를 공개했습니다.
당시 남북은 양측 총리가 수석대표로 나선 고위급회담을 통해 분단 이래 처음으로 남북관계 전반을 규율한 남북기본합의서를 채택했습니다.
북측은 회담 내내 하나의 조선을 강조하며 상호 실체와 체제 인정 조항을 넣자는 남측의 제안을 분열 지향적이라고 비난했습니다.
협의를 거쳐 쌍방의 국호가 합의서에 명기됐지만, 논의 과정에서 북측은 정식 국호 사용에 대해 심한 거부감을 드러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통일부는 1990년 9월부터 1992년 9월까지 8차례에 걸친 남북고위급 회담 문서를 공개했습니다.
당시 남북은 양측 총리가 수석대표로 나선 고위급회담을 통해 분단 이래 처음으로 남북관계 전반을 규율한 남북기본합의서를 채택했습니다.
북측은 회담 내내 하나의 조선을 강조하며 상호 실체와 체제 인정 조항을 넣자는 남측의 제안을 분열 지향적이라고 비난했습니다.
협의를 거쳐 쌍방의 국호가 합의서에 명기됐지만, 논의 과정에서 북측은 정식 국호 사용에 대해 심한 거부감을 드러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