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인공기 펼쳐 든 비전향장기수 안학섭 ⓒ 연합뉴스
AD
비전향장기수 안학섭(95세)씨가 20일 북한으로 돌아가겠다며 경기 파주시 통일대교 진입을 시도했으나 군 당국에 의해 제지됐다.
민중민주당 등으로 구성된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은 이날 오전 10시쯤 임진강역에서 집회를 연 뒤 통일대교 남단까지 행진했다.
고령인 안 씨는 건강 문제로 차량에 탑승해 대열과 함께 이동했으며, 통일대교 인근에서 내려 추진단 관계자들의 부축을 받아 지팡이에 의지해 걸음을 옮겼다.
그러나 이들은 통일대교 남단 검문소에서 군 당국의 허가 없이 진입하려다 제지를 받았다. 통일대교부터는 민간인통제선 구역으로 군 당국의 승인이 있어야만 통과할 수 있고, 특히 판문점 등 비무장지대는 유엔군사령부의 허가가 필요하다. 무단 진입 시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다.
군 당국의 제지 후 약 10분 만에 발길을 돌린 안 씨는 인공기를 들고 다시 돌아와 펼쳐 보였고, 이후 건강이 악화돼 119구급차로 병원에 이송됐다.
안 씨는 앞선 집회에서 "전향서를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온갖 수모와 고문, 폭력으로 치욕과 고통의 나날을 견뎌야 했다"며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미국의 수모와 고통을 당하다가, 죽어서까지 이곳에 묻히는 것은 너무 억울하다"고 말했다.
인천 강화도 출신인 안 씨는 6·25전쟁 당시 북한군에 입대했다가 1953년 체포돼 국방경비법(이적죄) 위반으로 유죄를 선고받고 42년간 수감 생활을 했다.
1995년 광복절 특사로 출소한 그는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이후 비전향장기수 63명이 북송될 당시에도 "미군이 철수할 때까지 투쟁하겠다"며 잔류를 선택했다.
비전향장기수 송환은 2000년 이후 25년간 이뤄지지 않았다.
통일부는 최근 안 씨를 포함해 생존 비전향장기수 6명으로부터 북송 요청을 접수했다며 "현실적으로 즉각적인 송환은 어렵지만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민중민주당 등으로 구성된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은 이날 오전 10시쯤 임진강역에서 집회를 연 뒤 통일대교 남단까지 행진했다.
고령인 안 씨는 건강 문제로 차량에 탑승해 대열과 함께 이동했으며, 통일대교 인근에서 내려 추진단 관계자들의 부축을 받아 지팡이에 의지해 걸음을 옮겼다.
그러나 이들은 통일대교 남단 검문소에서 군 당국의 허가 없이 진입하려다 제지를 받았다. 통일대교부터는 민간인통제선 구역으로 군 당국의 승인이 있어야만 통과할 수 있고, 특히 판문점 등 비무장지대는 유엔군사령부의 허가가 필요하다. 무단 진입 시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다.
군 당국의 제지 후 약 10분 만에 발길을 돌린 안 씨는 인공기를 들고 다시 돌아와 펼쳐 보였고, 이후 건강이 악화돼 119구급차로 병원에 이송됐다.
안 씨는 앞선 집회에서 "전향서를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온갖 수모와 고문, 폭력으로 치욕과 고통의 나날을 견뎌야 했다"며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미국의 수모와 고통을 당하다가, 죽어서까지 이곳에 묻히는 것은 너무 억울하다"고 말했다.
생각에 잠긴 비전향장기수 안학섭 ⓒ 연합뉴스
인천 강화도 출신인 안 씨는 6·25전쟁 당시 북한군에 입대했다가 1953년 체포돼 국방경비법(이적죄) 위반으로 유죄를 선고받고 42년간 수감 생활을 했다.
1995년 광복절 특사로 출소한 그는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이후 비전향장기수 63명이 북송될 당시에도 "미군이 철수할 때까지 투쟁하겠다"며 잔류를 선택했다.
비전향장기수 송환은 2000년 이후 25년간 이뤄지지 않았다.
통일부는 최근 안 씨를 포함해 생존 비전향장기수 6명으로부터 북송 요청을 접수했다며 "현실적으로 즉각적인 송환은 어렵지만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