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민의힘은 관세 협상 타결이라는 외형에 도취돼 샴페인을 터뜨릴 때가 아니라면서, 산업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익을 지킬 수 있는 냉철한 후속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정재 정책위의장은 오늘(1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관세 부담으로 수출 경쟁력이 약화할 수밖에 없는 자동차와 철강 등 주력산업뿐 아니라, 연결된 국내 중소기업과 부품업체도 수출 감소와 납품 차질, 단가 압박 등 복합 피해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산업별 특성과 기업 규모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책과 중장기적 대응 전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국회 차원의 조치를 약속했습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건 의원은 정부가 자축할 상황은 결코 아니라면서, 우리는 GDP의 20%가 넘는 3천5백억 달러 투자를 약속해 경제 규모 대비 부담이 크고, 특히 무관세였던 자동차는 일본과 EU처럼 15%를 내게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이재명 정부는 협상 기간에 미국과 일본, 영국, 프랑스 등 주요국 대사를 후임자도 없이 일괄 급거 귀국시켜, 주재국 고위층과 접촉할 수도 없는 '외교 공백'을 초래했다고 비판했습니다.
YTN 조은지 (zone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정재 정책위의장은 오늘(1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관세 부담으로 수출 경쟁력이 약화할 수밖에 없는 자동차와 철강 등 주력산업뿐 아니라, 연결된 국내 중소기업과 부품업체도 수출 감소와 납품 차질, 단가 압박 등 복합 피해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산업별 특성과 기업 규모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책과 중장기적 대응 전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국회 차원의 조치를 약속했습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건 의원은 정부가 자축할 상황은 결코 아니라면서, 우리는 GDP의 20%가 넘는 3천5백억 달러 투자를 약속해 경제 규모 대비 부담이 크고, 특히 무관세였던 자동차는 일본과 EU처럼 15%를 내게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이재명 정부는 협상 기간에 미국과 일본, 영국, 프랑스 등 주요국 대사를 후임자도 없이 일괄 급거 귀국시켜, 주재국 고위층과 접촉할 수도 없는 '외교 공백'을 초래했다고 비판했습니다.
YTN 조은지 (zone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