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박찬대 TV 토론...야당 당권 주자도 잰걸음

정청래·박찬대 TV 토론...야당 당권 주자도 잰걸음

2025.07.27. 오후 12:0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더불어민주당 새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가 6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청래·박찬대 후보는 오늘(27일) TV 토론회에서 맞붙습니다.

국민의힘 당권 주자들도 지역구 일정과 방송 인터뷰 등을 소화하며 잰걸음에 나섰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김다연 기자!

오늘 민주당 토론회 쟁점은 어떻게 전망됩니까?

[기자]
강선우 의원의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직 사퇴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토론회이니만큼 관련 입장이 주목됩니다.

박찬대 후보는 강 의원이 사퇴 의사를 밝히기 전 결단을 촉구했다는 점을 들어 본인이 이른바 명심, 이재명 대통령의 마음을 대변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반면, 정청래 후보는 동지는 함께 비를 맞아야 한다며 강 의원을 엄호해온 데 이어 사퇴 직후에도 인간적으로 위로한다며 박 후보와는 온도 차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두 후보 모두 친이재명계로 분류되고 공개석상에서 충돌을 자제해온 만큼 오늘 토론회에서도 비방전을 펼치기보다는 수위 조절에 나설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두 후보는 또 '내란 종식'을 전면에 내세우며 막판 지지층 결집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정 후보는 지금까지 충청·영남 권역 권리당원 투표에서 압승한 기세를 이어 굳히기에, 박 후보는 막판 뒤집기를 노리는 모습입니다.

민주당 대표는 권리당원 55%, 대의원 15%, 일반 여론조사 30%를 합산해 선출되는데요.

폭우 피해를 이유로, 최대 승부처인 호남과 수도권 순회 경선을 미루고 '원샷' 선거를 치르기로 한 만큼 일종의 깜깜이 기간 당심 향배가 주목됩니다.

[앵커]
국민의힘 당권 상황도 전해주시죠.

[앵커]
국민의힘 전당대회는 다음 달 22일로 후보들 대부분 공개 일정 대신 주요 인사를 만나거나 방송이나 지역구 일정을 소화하고 있습니다.

김문수 전 장관은 별도 공식 일정 없이 캠프와 향후 일정에 대한 구상에 집중하고, 장동혁 의원은 방송 출연이 예정돼있습니다.

두 후보는 이번 주 보수 유튜브 채널에 출연을 제안받아 검토하는 거로 알려졌는데, 해당 채널에는 입당 논란이 불거진 전한길 씨가 진행자로 포함돼있습니다.

국민의힘에서는 탄핵을 둘러싼 찬성과 반대, 이른바 찬탄과 반탄 구도가 전 씨 입당에 대한 찬반 구도로까지 번진 만큼 보수 선명성을 부각하는 모습입니다.

반대 목소리도 있습니다.

주진우 의원은 SNS를 통해 전당대회가 끝나도, 계파 싸움은 끝나지 않을 것 같아 자신이 출마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김문수·장동혁 후보는 탄핵 반대파로, 안철수·조경태 후보는 탄핵 찬성파로 나뉜 만큼 계파 없는 정치 신인인 본인이 대표가 되는 것 자체가 쇄신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조경태 의원은 잠시 뒤 오후 2시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여는데, 이른바 '혁신' 후보 간 단일화를 재차 촉구하는 입장을 밝힐 거로 보입니다.

안철수 의원은 내일 국회 기자회견을 준비하고 있는데 쇄신안에 대한 발표가 있을 거로 예상됩니다.

[앵커]
국회 상황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주도 청문회가 예정돼있죠?

[기자]
네, 국토부 김윤덕, 문체부 최휘영 장관 후보자 청문회가 모레(29일) 열립니다.

야당은 김 후보자에겐 자녀에 억대 보증금을 지원하면서 재산 신고를 빠뜨렸다는 의혹으로 공세를 펴고 있습니다.

최 후보자를 향해선 내부 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투기와 자녀가 미국 내 네이버 자회사에 취직해 영주권을 땄다는 의혹까지, '비리 종합세트'라고 몰아붙이며 맹공을 예고했습니다.

여당은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 장관 인선이 시급한데 야당의 발목잡기로 차질이 생기고 있다고 반발합니다.

이번 주 청문회에서도 각종 의혹 제기는 후보자 망신주기에 불과하다며 철병 방어에 나설 거로 보이는데요.

국민의힘은 이진숙, 강선우 후보자 사퇴를 동력 삼아 낙마한 장관 후보자들의 후임자에 대해서도 송곳 검증을 예고한 만큼 여야 대치는 격화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다연입니다.


YTN 김다연 (kimdy08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