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대통령 4년 연임제'를 주요 내용으로 한 개헌안을 내놨습니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을 계기로 단합과 혁신을 강조하고 나선 가운데, 각 당 후보들은 오후 첫 TV 토론에도 돌입합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철희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앵커]
이재명 후보가 전격적으로 개헌 구상을 발표했다고요.
[기자]
이 후보는 오늘 오전, 자신의 SNS를 통해 '진짜 대한민국의 새로운 헌법을 준비하자'며 구체적 개헌안을 내놨습니다.
헌법 전문에 5.18 광주 민주화운동 정신을 수록하자는 제안으로 시작된 글에서 이 후보는 '대통령 책임 강화'와 '권한 분산'을 약속했습니다.
핵심은 대통령 4년 연임제 도입으로 정권에 대한 중간 평가를 하자는 건데, 개헌 당시 대통령에게는 새로운 헌법이 적용되지 않을 거라고 못 박았습니다.
이 밖에도 대통령 결선투표제 도입과 감사원 국회 소속 이관, 대통령 거부권 제한 등도 제안에 담겼습니다.
본인과 직계가족의 부정부패, 범죄와 관련된 법안이라면 원천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하자는 겁니다.
또 계엄 선포에 대한 국회 통제 권한을 강화하고, 국회 추천을 받아야만 국무총리를 임명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수사기관장 임명도 국회 동의를 받도록 하는 등의 대통령 권력 견제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이어 국회 개헌특위를 만들어 하나씩 합의를 시작하자면서 빠르면 내년 지방선거, 늦어도 2028년 총선에서는 개헌안 국민투표를 진행하자고 밝혔습니다.
이 후보는 이와함께 5.18 기념식 뒤 기자들과 만나 개헌을 하기 위해 대통령 임기를 1년 단축하자는 주장은 대통령의 지위를 개인 영예나 사익으로 생각하는 발상이라며 개헌보다 중요한 게 국가 안정이고 민생 회복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앵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 여파를 수습하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죠?
[기자]
네 먼저 김문수 후보는 당을 떠나겠다는 윤 전 대통령의 뜻을 존중하겠다면서, 탈당의 뜻을 받들어 더 단합하고 혁신해 선거를 치르겠다고 밝혔습니다.
공개적으로 자진 탈당을 권고했던 김용태 비대위원장 역시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며, 탄핵의 강을 넘어서겠다고 말했습니다.
윤상현 의원도 조금 전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은 김문수 후보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면서, 당의 단합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한동훈 전 대표 역시 김 후보가 일부 조건을 수용한 만큼 현장 선거 운동에 돌입할 예정인데요.
우선 다음 주 화요일 부산 광안리 현장 유세를 시작으로 대구와 청주, 강원 등을 돌며 선거를 돕는다는 계획입니다.
또 다른 경선 경쟁자였던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미국에 머물며 아직 명확하게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김대식 의원과 유상범 의원 등 홍 전 시장과 가까운 인사들이 오늘 밤, 미국으로 출국해 홍 시장을 설득할 계획입니다.
[앵커]
각 당 대선 후보들 일정도 정리해주시죠.
[기자]
네 오늘 오후, 첫 TV 토론이 예정된 만큼 후보들도 개인 일정을 최소화한 모습입니다.
먼저 민주당 이재명,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광주에서 열리는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 참석을 제외하곤, 특별한 공개 일정을 잡지 않았습니다.
하루 전 광주를 찾았던 김문수 후보는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경제 공약을 발표했는데, 마찬가지로 TV 토론 준비에 착수했습니다.
세 후보와 함께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도 오늘 저녁 8시, 서울 상암동에서 TV 토론을 벌이는데요.
후보들은 먼저 저성장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토론할 예정입니다.
이후엔 '트럼프 시대 통상 전략'과 '국가 경쟁력 강화 방안'이라는 두 가지 주제로 공약 검증 토론이 이어집니다.
경제 분야 토론회지만, 후보들 공방은 여러 분야를 넘나들 것으로 보입니다.
후보들은 오는 23일에는 사회 분야를 주제로, 27일에는 정치 분야를 주제로 같은 시간대에 두 차례 더 토론에 나설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철희입니다.
YTN 김철희 (kchee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대통령 4년 연임제'를 주요 내용으로 한 개헌안을 내놨습니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을 계기로 단합과 혁신을 강조하고 나선 가운데, 각 당 후보들은 오후 첫 TV 토론에도 돌입합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철희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앵커]
이재명 후보가 전격적으로 개헌 구상을 발표했다고요.
[기자]
이 후보는 오늘 오전, 자신의 SNS를 통해 '진짜 대한민국의 새로운 헌법을 준비하자'며 구체적 개헌안을 내놨습니다.
헌법 전문에 5.18 광주 민주화운동 정신을 수록하자는 제안으로 시작된 글에서 이 후보는 '대통령 책임 강화'와 '권한 분산'을 약속했습니다.
핵심은 대통령 4년 연임제 도입으로 정권에 대한 중간 평가를 하자는 건데, 개헌 당시 대통령에게는 새로운 헌법이 적용되지 않을 거라고 못 박았습니다.
이 밖에도 대통령 결선투표제 도입과 감사원 국회 소속 이관, 대통령 거부권 제한 등도 제안에 담겼습니다.
본인과 직계가족의 부정부패, 범죄와 관련된 법안이라면 원천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하자는 겁니다.
또 계엄 선포에 대한 국회 통제 권한을 강화하고, 국회 추천을 받아야만 국무총리를 임명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수사기관장 임명도 국회 동의를 받도록 하는 등의 대통령 권력 견제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이어 국회 개헌특위를 만들어 하나씩 합의를 시작하자면서 빠르면 내년 지방선거, 늦어도 2028년 총선에서는 개헌안 국민투표를 진행하자고 밝혔습니다.
이 후보는 이와함께 5.18 기념식 뒤 기자들과 만나 개헌을 하기 위해 대통령 임기를 1년 단축하자는 주장은 대통령의 지위를 개인 영예나 사익으로 생각하는 발상이라며 개헌보다 중요한 게 국가 안정이고 민생 회복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앵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 여파를 수습하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죠?
[기자]
네 먼저 김문수 후보는 당을 떠나겠다는 윤 전 대통령의 뜻을 존중하겠다면서, 탈당의 뜻을 받들어 더 단합하고 혁신해 선거를 치르겠다고 밝혔습니다.
공개적으로 자진 탈당을 권고했던 김용태 비대위원장 역시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며, 탄핵의 강을 넘어서겠다고 말했습니다.
윤상현 의원도 조금 전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은 김문수 후보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면서, 당의 단합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한동훈 전 대표 역시 김 후보가 일부 조건을 수용한 만큼 현장 선거 운동에 돌입할 예정인데요.
우선 다음 주 화요일 부산 광안리 현장 유세를 시작으로 대구와 청주, 강원 등을 돌며 선거를 돕는다는 계획입니다.
또 다른 경선 경쟁자였던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미국에 머물며 아직 명확하게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김대식 의원과 유상범 의원 등 홍 전 시장과 가까운 인사들이 오늘 밤, 미국으로 출국해 홍 시장을 설득할 계획입니다.
[앵커]
각 당 대선 후보들 일정도 정리해주시죠.
[기자]
네 오늘 오후, 첫 TV 토론이 예정된 만큼 후보들도 개인 일정을 최소화한 모습입니다.
먼저 민주당 이재명,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광주에서 열리는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 참석을 제외하곤, 특별한 공개 일정을 잡지 않았습니다.
하루 전 광주를 찾았던 김문수 후보는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경제 공약을 발표했는데, 마찬가지로 TV 토론 준비에 착수했습니다.
세 후보와 함께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도 오늘 저녁 8시, 서울 상암동에서 TV 토론을 벌이는데요.
후보들은 먼저 저성장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토론할 예정입니다.
이후엔 '트럼프 시대 통상 전략'과 '국가 경쟁력 강화 방안'이라는 두 가지 주제로 공약 검증 토론이 이어집니다.
경제 분야 토론회지만, 후보들 공방은 여러 분야를 넘나들 것으로 보입니다.
후보들은 오는 23일에는 사회 분야를 주제로, 27일에는 정치 분야를 주제로 같은 시간대에 두 차례 더 토론에 나설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철희입니다.
YTN 김철희 (kchee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