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편견과 진실] 투표율 높으면 진보, 낮으면 보수가 유리하다고?

[지방선거, 편견과 진실] 투표율 높으면 진보, 낮으면 보수가 유리하다고?

2022.06.01. 오전 04:0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전통적으로 투표율이 높으면 진보, 낮으면 보수가 유리하다는 말이 있죠.

저희가 선거에 대한 편견을 깨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민심 연구소 나와주시죠.

[기자]
투표율이 높으면 진보, 낮으면 보수가 유리하다는 말, 정말 그런지부터 보겠습니다.

역대 7차례 광역단체장 선거 결과를 지도에 색깔로 표시했습니다.

빨강색은 지금의 여당인 보수 계열 정당이고요, 파랑색은 진보 계열의 정당입니다.

충청권의 자유선진당, 자유민주연합은 초록색으로 표시를 해봤습니다.

이 선거 결과를 투표율과 함께 보겠습니다.

투표율이 가장 높은 건 1회 선거였죠.

전국동시지방선거가 30여 년 만에 부활하면서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이후 투표율은 계속 떨어지다가 4회 선거부터 다시 조금씩 오르기 시작합니다.

이 선거 결과를 투표율이 높은 순서에 따라 재정렬해보겠습니다.

3당 구도 속에 치러져 보수-진보, 어느 한쪽이 이겼다고 가르기 어려운 1회 선거를 제외하고 보면, 투표율이 두 번째로 높았던 4년 전 7회 선거, 더불어민주당이 석권했습니다.

모두 14석을 가져갔고, 국민의힘 전신인 자유한국당은 2석을 차지하는 데 그쳤네요.

다음으로 투표율이 높았던 6회 선거 역시 진보 진영이 더 많은 곳에서 승리했죠.

투표율이 낮을 때도 한번 보겠습니다.

역대 최저 투표율을 기록한 3회 선거.

보수 정당인 한나라당의 압승이었고요.

투표율이 두 번째로 낮았던 4회 역시 빨간색 부분이 눈에 띄게 많습니다.

이것만 보면 투표율이 높으면 진보, 낮으면 보수가 유리하다는 공식이 맞아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공식은 지난해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때 깨졌습니다.

서울시장 재보선 투표율이 58.2%로 높았고 사전투표율도 높아 민주당이 고무적이었지만 결과는 국민의힘 후보로 나선 오세훈 현 서울시장의 승리였죠.

투표율만 갖고 결과를 예단하기 어려워진 이유입니다.

공식은 왜 깨졌을까요?

계속해서 김경수 기자 전해주시죠.

투표율에 따라 보수와 진보의 유불리가 갈린다는 속설, 왜 생겼을까요?

최근 치러진 선거들의 투표율을 좀 살펴보겠습니다.

높은 순서대로 정렬을 해볼까요?

보시는 것처럼 대통령 선거가 가장 높고 다음이 총선, 지방선거 순인 걸 알 수 있습니다.

보통 대통령 선거에 관심이 더 쏠리는 탓이기도 하지만, 연령대별로 투표율이 다른 것도 중요한 변수입니다.

지난 19대 대선과 7회 지방선거 투표율을 연령대별로 볼까요.

60~70대 어떤 선거냐에 관계없이 투표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20∼30대의 투표율은 선거에 따라 차이가 큰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60~70대보다는 20~30대 투표 참여 여부가 전체 투표율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는 겁니다.

즉, 투표율이 예년보다 눈에 띄게 높다면, 20~30대의 투표 참여가 활발했다는 뜻이니 진보 정당에 더 유리할 것이라는 속설도 생겨난 거죠.

그런데 여기에는 전제가 하나 붙습니다.

바로, 20∼30대가 진보적 성향을 띤다는 겁니다.

과거 1987년 민주화 항쟁에 불을 지폈던 세대가 바로 2030이었죠.

하지만 어느새 30여 년이 넘는 시간이 흘러서 이들은 초로의 나이가 됐습니다.

1990년 전후 태어난 지금의 20~30세대의 정치적 성향은 다원화된 정치 성향을 보입니다.

실제로 지난 대선 지상파 출구조사 결과를 보면 진보와 보수가 팽팽히 맞서고, 성별로도 한번 보겠습니다.

남성과 여성에 따라 지지 성향이 갈리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느 한쪽을 지지한다고 보기 어렵게 된 건데요.

20∼30대의 투표율이 높아져도 그 표가 어디로 향할지는 알 수 없다는 겁니다.

투표율의 높낮이로만 특정 진영의 유불리를 따지는 건 이제 무의미해졌습니다만, 유권자 한 표의 가치는 여전하죠.

아직 투표하지 못하신 분들, 소중한 한 표 꼭 행사하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민심 연구소였습니다.


YTN 김지선 (sun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