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김선영 앵커, 김대근 앵커
■ 출연 : 이종근 시사평론가 / 김수민 시사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정치권 소식 다음 키워드 알아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보여주시죠. 윤석열 대통령 당선, 참 아이러니한 일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한 언론과의 대담에서 이런 표현을 썼더라고요.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검찰개혁에 협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해서 발탁했다, 이런 취지의 얘기도 있었고요. 어떻게 보셨습니까?
[이종근]
그렇습니다. 질문의 요지는 어쨌든 윤석열 검찰총장을 임명했는데 지금 상대당으로 대통령에 당선된 것으로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대한 답으로 이렇게 됐고요. 충분히 현 문재인 대통령 입장에서는 아이러니하다라는 소회를 밝힐 수 있는 상황이겠죠. 그런데 자신이 생각했던 건 어쨌든 그러면 지지자들이 계속 물었고요. 왜 그러면 윤석열 검찰총장을 임명했느냐라는 질문을 지지자들한테도 계속 나왔었던 질문 아닙니까? 그리고 상당히 많이 반대를 했다라는 이야기도 있고요. 그런데 그 점에 대해서 밝힌 겁니다.
그렇지는 않고 자신이 바라봤을 때 가장 중요한 건 검찰개혁이고 또 윤석열 검찰총장이 당시 어쨌든 검찰개혁과 관련해서 상당히 받아들이는 입장, 검사로서 받아들이는 입장. 그래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함께 검찰개혁을 완수할 수 있는 그런 사람이다라는 판단으로 임명을 했다 하고 괄호 열고 그렇지만 상대편 대통령이 될 줄은 몰랐다, 괄호 닫고. 그게 그 안에 뉘앙스로 담겨져 있겠죠.
[앵커]
아이러니가 사전적 의미 말고 이 안에 지금 상당히 많은 의미가 담겨있을 것 같은데 임명한 걸 후회하냐고 했더니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아 송구하다 이렇게 답변했다 그래요.
[김수민]
국민 눈높이라는 것이 조금 애매한 얘기입니다. 그러니까 그런 잘못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라고 볼 수 있겠죠. 왜냐하면 잘못은 그렇게 없는데 국민들의 도덕적 기준이 높아서 거기에 부응하지 못해서 죄송하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 명확하게 문제가 있었다라고 밝히는 그런 수준은 현재로서도 아니다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이날 대담에서 윤석열 당선인이라든지 조국 전 장관 이쪽에 대한 주제가 메인 주제로 주어졌는데 현재로서도 명확하게 어떤 것이 잘못되었다, 이렇게 답하는 태도는 아니었다라고 볼 수 있겠고요.
문 대통령이 속으로 아직도 고심을 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뭔가 생각이 있는데 그것을 직접적으로 얘기하기 어려운 것인지 이 부분은 알쏭달쏭한 부분일 텐데 저는 아마 앞으로 문 대통령 퇴임 이후에도 이 문제에 대해서는 언론에서도 시간이 되는대로 질문이 주어지지 않을까 그렇게 보여지고 만약에 훗날에 문 대통령이 회고록을 쓴다 했을 때도 이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솔직한 입장이 뭐가 나올 것인지 대중의 관심이 계속 쏠리는 주제가 아닐까 그렇게 보여집니다.
[앵커]
그런데 모호한 답변 속에서도 의미 있는 대목이 있었는데요. 조국 전 장관 수사에 대해서는 의도가 있었다고 볼 수도 있다, 이런 의미심장한 답변을 했습니다.
[김수민]
거기에 대해서도 그 당시 시점에서 갖고 있는 생각을 얘기한 것인지 지금도 그렇다, 공교로운 수사였다라고 생각하는 것인지 이 부분이 조금 확실하게 분명한 것 같지는 않고요. 어쨌든 현재 민주당에서 조국 전 장관 문제를 처리하는 선이 있습니다. 거기에 맞춰진 듯한 느낌이 듭니다. 그러니까 어떤 잘못에 대해서 부인을 한다거나 그런 것은 아니면서도 그때 수사에 대해서는 문제가 있는 건 아니었느냐 이렇게 얘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거든요.
그러니까 조국 전 장관에 대해서 위법사실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정면으로 거론하기보다는 불공정 문제, 그리고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았다 수준, 이 정도까지 인정을 하고 그러면서도 검찰 수사에는 문제가 있었던 것 아니냐, 이렇게 하는 것이 민주당이 현재까지 취해 왔던 어느 정도의 매뉴얼과 같은 것이었습니다마는 그것이 문재인 대통령의 생각하고도 동일한 것이다라는 게 이번에 밝혀진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러면서 또 아직 단정하지는 않겠습니다 이렇게 얘기해서 해석의 여지는 남긴 게 아닌가 이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어제 나왔던 얘기 중에 기자간담회도 있었어요. 어제. 여기에서 5월 9일 오후 5시에 청와대에서 퇴근한다. 이렇게 밝혔는데 윤석열 당선인 측에서는 5월 10일에 취임식을 하면 청와대를 바로 개방한다, 이런 계획인 거죠? 이 부분도 짚어보죠.
[이종근]
그런데 10일날 개방을 해야 돼서 6시에 나간다라고 논리가 될 수도 있지만 역대 대통령이 그 전날에 사실은 짐을 다 뺐어요, 어떤 대통령도. 두 가지 케이스예요. 서울에 집이 있는 대통령들은 그 전날 이미 나왔어요. 그래서 자택에서, 자신의 서울의 집에서 묵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과 김영삼 대통령, 김대중 대통령. 그런데 서울에 집이 아니고 예를 들어서 봉하마을에 사저를 만들었다 그러면 노무현 대통령 같은 경우는 서울에 집이 없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다음 날 아침까지 묵고 그다음에 취임식에 참석하고 내려가는 그런 일정이었거든요. 그런데 짐은 다 전날 뺐다.
그래서 문재인 대통령도 나는 꼭 그것 때문이 아니라 사실은 내가 지금 나오는 것은 내 감정이다. 노무현 대통령도 봉하마을 가서 첫 번째로 한 말이 그겁니다. 속 시원하다라고 얘기했듯이 계속 오래 있고 싶은 마음이 없다라는 말을 문재인 대통령이 그 마음의 표현을 한 것 같습니다.
[앵커]
마지막 청와대를 나오는, 퇴근하는 심정이 오묘한 감정일 것 같은데 일단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 집무실은 피플스 하우스라고 명칭을 멍했다 그래요. 이게 어떤 의미가 담긴 걸까요?
[김수민]
일단은 이게 공모에 부친다라고 했기 때문에 확실하게 정해질지는 미지수라고 봅니다. 일단 가칭, 임시 명칭이라고 얘기를 한 것 같고요. 피플스 하우스라고 했을 때는 묘한 것이 국민의 집이라고 한국 말로는 그렇게 얘기를 할 수 있겠있지만 사실 피플이라는 개념이 국민보다는 민중, 인민 이쪽에 좀 가깝습니다. 그래서 공교롭게도 과거에 동구권이라든지 이쪽에 공산주의 사회에서 그때 최고지도자의 관저 이름을 피플스 하우스라고 짓기도 했었는데요.
어쨌든 일단 대통령과 국민을 동일시하는, 그러니까 국민의 대통령, 그러니까 대통령의 공간은 곧 국민의 공간입니다라고 하는 그런 윤석열 당선인의 인식이 한편으로는 드러나겠죠. 그런데 앞으로 조금 논란이 있을 수도 있겠다고 보는 것이 공교롭게도 어쨌든 곧 여당이 될 정당의 이름이 국민의힘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국민의힘과 국민의 집 너무 비슷하다. 이런 얘기도 한편으로 나올 수 있을 것 같은데 이 이름으로 그대로 가게 될지 아니면 공모에 부쳐서 새로운 이름을 붙일지 이건 두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여기까지 줄이겠습니다. 이종근, 김수민 두 시사평론가와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YTN 김정연 (kjy7591@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이종근 시사평론가 / 김수민 시사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정치권 소식 다음 키워드 알아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보여주시죠. 윤석열 대통령 당선, 참 아이러니한 일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한 언론과의 대담에서 이런 표현을 썼더라고요.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검찰개혁에 협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해서 발탁했다, 이런 취지의 얘기도 있었고요. 어떻게 보셨습니까?
[이종근]
그렇습니다. 질문의 요지는 어쨌든 윤석열 검찰총장을 임명했는데 지금 상대당으로 대통령에 당선된 것으로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대한 답으로 이렇게 됐고요. 충분히 현 문재인 대통령 입장에서는 아이러니하다라는 소회를 밝힐 수 있는 상황이겠죠. 그런데 자신이 생각했던 건 어쨌든 그러면 지지자들이 계속 물었고요. 왜 그러면 윤석열 검찰총장을 임명했느냐라는 질문을 지지자들한테도 계속 나왔었던 질문 아닙니까? 그리고 상당히 많이 반대를 했다라는 이야기도 있고요. 그런데 그 점에 대해서 밝힌 겁니다.
그렇지는 않고 자신이 바라봤을 때 가장 중요한 건 검찰개혁이고 또 윤석열 검찰총장이 당시 어쨌든 검찰개혁과 관련해서 상당히 받아들이는 입장, 검사로서 받아들이는 입장. 그래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함께 검찰개혁을 완수할 수 있는 그런 사람이다라는 판단으로 임명을 했다 하고 괄호 열고 그렇지만 상대편 대통령이 될 줄은 몰랐다, 괄호 닫고. 그게 그 안에 뉘앙스로 담겨져 있겠죠.
[앵커]
아이러니가 사전적 의미 말고 이 안에 지금 상당히 많은 의미가 담겨있을 것 같은데 임명한 걸 후회하냐고 했더니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아 송구하다 이렇게 답변했다 그래요.
[김수민]
국민 눈높이라는 것이 조금 애매한 얘기입니다. 그러니까 그런 잘못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라고 볼 수 있겠죠. 왜냐하면 잘못은 그렇게 없는데 국민들의 도덕적 기준이 높아서 거기에 부응하지 못해서 죄송하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 명확하게 문제가 있었다라고 밝히는 그런 수준은 현재로서도 아니다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이날 대담에서 윤석열 당선인이라든지 조국 전 장관 이쪽에 대한 주제가 메인 주제로 주어졌는데 현재로서도 명확하게 어떤 것이 잘못되었다, 이렇게 답하는 태도는 아니었다라고 볼 수 있겠고요.
문 대통령이 속으로 아직도 고심을 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뭔가 생각이 있는데 그것을 직접적으로 얘기하기 어려운 것인지 이 부분은 알쏭달쏭한 부분일 텐데 저는 아마 앞으로 문 대통령 퇴임 이후에도 이 문제에 대해서는 언론에서도 시간이 되는대로 질문이 주어지지 않을까 그렇게 보여지고 만약에 훗날에 문 대통령이 회고록을 쓴다 했을 때도 이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솔직한 입장이 뭐가 나올 것인지 대중의 관심이 계속 쏠리는 주제가 아닐까 그렇게 보여집니다.
[앵커]
그런데 모호한 답변 속에서도 의미 있는 대목이 있었는데요. 조국 전 장관 수사에 대해서는 의도가 있었다고 볼 수도 있다, 이런 의미심장한 답변을 했습니다.
[김수민]
거기에 대해서도 그 당시 시점에서 갖고 있는 생각을 얘기한 것인지 지금도 그렇다, 공교로운 수사였다라고 생각하는 것인지 이 부분이 조금 확실하게 분명한 것 같지는 않고요. 어쨌든 현재 민주당에서 조국 전 장관 문제를 처리하는 선이 있습니다. 거기에 맞춰진 듯한 느낌이 듭니다. 그러니까 어떤 잘못에 대해서 부인을 한다거나 그런 것은 아니면서도 그때 수사에 대해서는 문제가 있는 건 아니었느냐 이렇게 얘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거든요.
그러니까 조국 전 장관에 대해서 위법사실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정면으로 거론하기보다는 불공정 문제, 그리고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았다 수준, 이 정도까지 인정을 하고 그러면서도 검찰 수사에는 문제가 있었던 것 아니냐, 이렇게 하는 것이 민주당이 현재까지 취해 왔던 어느 정도의 매뉴얼과 같은 것이었습니다마는 그것이 문재인 대통령의 생각하고도 동일한 것이다라는 게 이번에 밝혀진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러면서 또 아직 단정하지는 않겠습니다 이렇게 얘기해서 해석의 여지는 남긴 게 아닌가 이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어제 나왔던 얘기 중에 기자간담회도 있었어요. 어제. 여기에서 5월 9일 오후 5시에 청와대에서 퇴근한다. 이렇게 밝혔는데 윤석열 당선인 측에서는 5월 10일에 취임식을 하면 청와대를 바로 개방한다, 이런 계획인 거죠? 이 부분도 짚어보죠.
[이종근]
그런데 10일날 개방을 해야 돼서 6시에 나간다라고 논리가 될 수도 있지만 역대 대통령이 그 전날에 사실은 짐을 다 뺐어요, 어떤 대통령도. 두 가지 케이스예요. 서울에 집이 있는 대통령들은 그 전날 이미 나왔어요. 그래서 자택에서, 자신의 서울의 집에서 묵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과 김영삼 대통령, 김대중 대통령. 그런데 서울에 집이 아니고 예를 들어서 봉하마을에 사저를 만들었다 그러면 노무현 대통령 같은 경우는 서울에 집이 없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그다음 날 아침까지 묵고 그다음에 취임식에 참석하고 내려가는 그런 일정이었거든요. 그런데 짐은 다 전날 뺐다.
그래서 문재인 대통령도 나는 꼭 그것 때문이 아니라 사실은 내가 지금 나오는 것은 내 감정이다. 노무현 대통령도 봉하마을 가서 첫 번째로 한 말이 그겁니다. 속 시원하다라고 얘기했듯이 계속 오래 있고 싶은 마음이 없다라는 말을 문재인 대통령이 그 마음의 표현을 한 것 같습니다.
[앵커]
마지막 청와대를 나오는, 퇴근하는 심정이 오묘한 감정일 것 같은데 일단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 집무실은 피플스 하우스라고 명칭을 멍했다 그래요. 이게 어떤 의미가 담긴 걸까요?
[김수민]
일단은 이게 공모에 부친다라고 했기 때문에 확실하게 정해질지는 미지수라고 봅니다. 일단 가칭, 임시 명칭이라고 얘기를 한 것 같고요. 피플스 하우스라고 했을 때는 묘한 것이 국민의 집이라고 한국 말로는 그렇게 얘기를 할 수 있겠있지만 사실 피플이라는 개념이 국민보다는 민중, 인민 이쪽에 좀 가깝습니다. 그래서 공교롭게도 과거에 동구권이라든지 이쪽에 공산주의 사회에서 그때 최고지도자의 관저 이름을 피플스 하우스라고 짓기도 했었는데요.
어쨌든 일단 대통령과 국민을 동일시하는, 그러니까 국민의 대통령, 그러니까 대통령의 공간은 곧 국민의 공간입니다라고 하는 그런 윤석열 당선인의 인식이 한편으로는 드러나겠죠. 그런데 앞으로 조금 논란이 있을 수도 있겠다고 보는 것이 공교롭게도 어쨌든 곧 여당이 될 정당의 이름이 국민의힘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국민의힘과 국민의 집 너무 비슷하다. 이런 얘기도 한편으로 나올 수 있을 것 같은데 이 이름으로 그대로 가게 될지 아니면 공모에 부쳐서 새로운 이름을 붙일지 이건 두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여기까지 줄이겠습니다. 이종근, 김수민 두 시사평론가와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YTN 김정연 (kjy7591@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