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고발 사주 의혹을 둘러싼 진실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이 검찰로부터 고발장을 건네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 정황이 추가로 공개됐습니다.
윤 전 총장 측은 조속한 진상 조사를 촉구하며 자신 있다는 입장이지만, 여권의 압박은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김태민 기자!
윤석열 전 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을 두고 추가 정황들이 연일 나오고 있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해 4월 김웅 의원이 손준성 검사로부터 건네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여권 인사들의 고발장 초안 중 실제 고발이 이뤄진 건 열린민주당 최강욱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관한 건, 하나입니다.
당시 미래통합당 법률자문위원이었던 조 모 변호사는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당시 야당의 당무감사실장으로부터 초안을 건네받아 고발장을 작성했다고 밝혔는데요,
김웅 의원이 전달받은 것으로 보도된 고발장 초안과 조 변호사가 건네받은 초안, 그리고 실제 고발장 이 3가지 문서를 비교해봤더니
일부 토씨를 제외한 주요 내용이 상당 부분 겹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조 변호사는 다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당으로부터 건네받은 초안은 김웅 의원이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진 고발장 초안과 다르다고 강조했지만, 의혹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당시 전달 경로를 확인하지 못했다면서 여러 의혹이 나오는 만큼 김재원 최고위원을 단장으로 하는 공명선거추진단을 설치해 경위를 파악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윤석열 전 총장과 김웅 의원이 어제 기자회견에서 에둘러 지목한 제보자 A 씨는 자신의 SNS에 입장문을 올렸는데요,
두 사람이 자신을 겨냥해 지속적인 허위 사실을 유포하고 있다며 강력한 법적 대응을 예고하고 나섰습니다.
이밖에 윤 전 총장이 해당 의혹을 처음 보도한 인터넷 매체를 깎아내린 발언을 두고도 당 안팎의 비판이 이어졌는데요,
최초 보도한 뉴스버스 이진동 발행인은 윤 전 총장이 1인 미디어와 인터넷 매체를 무시한 편향된 언론관을 보이고 있다며 제보자를 압박하는 것도 전형적인 메신저 공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앵커]
그리고 조금 전 국회에선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이 있었는데요, 고발 사주 의혹 관련 내용이 있었나요?
[기자]
오늘 연설에서 그 내용은 없었습니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대신 정기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정부 여당의 실정 사례를 조목조목 거론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여당이 민생은 뒷전으로 내버려두고 정쟁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최근 추진하고 있는 언론법 개정안을 콕 짚었는데요,
민주당에게 언론재갈법은 민생법안보다 훨씬 중요한 '문생법안'이라며 이 법이 통과되면 최대 수혜자는 문재인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가짜 뉴스 딱지를 붙여 퇴임 대통령에 대한 비판과 권력비리 의혹 사건을 철저히 감추려는 의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문재인 정부 집권 동안 이뤄놓은 게 무엇이 있느냐며 집값 전셋값이 날뛰며 서민들의 희망은 없어졌고 권력을 가진 자들의 특권과 반칙만 횡행하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특히 현 정부 최대 실정으로 꼽힌 부동산 정책을 무능력, 무책임, 무개념으로 규정하며 맹공을 퍼부었고, 최근 급증한 국가채무에 대해선 문재인 정부는 '빚상누각'이라며 역사의 치명적 오명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민주당 대선후보 누가 되든 문재인 정권 시즌2가 되어 비정상의 시대가 영구 고착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름뿐이 정권교체가 아니라 국민의 삶을 바꾸겠다며 야당 후보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습니다.
[앵커]
오늘 여야 대권 주자들의 움직임도 짚어보죠.
[기자]
어제 의원직을 사퇴하면서 배수진을 친 이낙연 전 대표.
오늘 아침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국민에게 잘못된 선택의 여지가 생기면 안 된다는 역사적 책임을 고려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비교적 높은 지지를 받는 후보들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정책과 살아온 궤적이 걱정스럽다고 말했는데요,
여야의 경쟁 주자인 이재명 지사와 윤석열 전 총장을 동시에 에둘러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예상 밖의 큰 패배로 위기에 봉착한 이 전 대표의 이런 승부수가 이번 주말 전국 경선에서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주목됩니다.
국민의힘은 오늘부터 이틀 동안 경선 후보 국민 면접을 치릅니다.
오늘 면접에는 최근 가파른 지지율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홍준표 의원을 비롯해 유승민 전 의원, 최재형 전 감사원장 등이 참석할 예정인데요,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등으로 구성된 면접관들의 압박 면접에 후보들이 어떤 답변을 내놓을 지도 주목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태민입니다.
YTN 김태민 (tmkim@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고발 사주 의혹을 둘러싼 진실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이 검찰로부터 고발장을 건네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 정황이 추가로 공개됐습니다.
윤 전 총장 측은 조속한 진상 조사를 촉구하며 자신 있다는 입장이지만, 여권의 압박은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김태민 기자!
윤석열 전 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을 두고 추가 정황들이 연일 나오고 있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해 4월 김웅 의원이 손준성 검사로부터 건네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여권 인사들의 고발장 초안 중 실제 고발이 이뤄진 건 열린민주당 최강욱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관한 건, 하나입니다.
당시 미래통합당 법률자문위원이었던 조 모 변호사는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당시 야당의 당무감사실장으로부터 초안을 건네받아 고발장을 작성했다고 밝혔는데요,
김웅 의원이 전달받은 것으로 보도된 고발장 초안과 조 변호사가 건네받은 초안, 그리고 실제 고발장 이 3가지 문서를 비교해봤더니
일부 토씨를 제외한 주요 내용이 상당 부분 겹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조 변호사는 다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당으로부터 건네받은 초안은 김웅 의원이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진 고발장 초안과 다르다고 강조했지만, 의혹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당시 전달 경로를 확인하지 못했다면서 여러 의혹이 나오는 만큼 김재원 최고위원을 단장으로 하는 공명선거추진단을 설치해 경위를 파악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윤석열 전 총장과 김웅 의원이 어제 기자회견에서 에둘러 지목한 제보자 A 씨는 자신의 SNS에 입장문을 올렸는데요,
두 사람이 자신을 겨냥해 지속적인 허위 사실을 유포하고 있다며 강력한 법적 대응을 예고하고 나섰습니다.
이밖에 윤 전 총장이 해당 의혹을 처음 보도한 인터넷 매체를 깎아내린 발언을 두고도 당 안팎의 비판이 이어졌는데요,
최초 보도한 뉴스버스 이진동 발행인은 윤 전 총장이 1인 미디어와 인터넷 매체를 무시한 편향된 언론관을 보이고 있다며 제보자를 압박하는 것도 전형적인 메신저 공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앵커]
그리고 조금 전 국회에선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이 있었는데요, 고발 사주 의혹 관련 내용이 있었나요?
[기자]
오늘 연설에서 그 내용은 없었습니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대신 정기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정부 여당의 실정 사례를 조목조목 거론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여당이 민생은 뒷전으로 내버려두고 정쟁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최근 추진하고 있는 언론법 개정안을 콕 짚었는데요,
민주당에게 언론재갈법은 민생법안보다 훨씬 중요한 '문생법안'이라며 이 법이 통과되면 최대 수혜자는 문재인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가짜 뉴스 딱지를 붙여 퇴임 대통령에 대한 비판과 권력비리 의혹 사건을 철저히 감추려는 의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문재인 정부 집권 동안 이뤄놓은 게 무엇이 있느냐며 집값 전셋값이 날뛰며 서민들의 희망은 없어졌고 권력을 가진 자들의 특권과 반칙만 횡행하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특히 현 정부 최대 실정으로 꼽힌 부동산 정책을 무능력, 무책임, 무개념으로 규정하며 맹공을 퍼부었고, 최근 급증한 국가채무에 대해선 문재인 정부는 '빚상누각'이라며 역사의 치명적 오명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민주당 대선후보 누가 되든 문재인 정권 시즌2가 되어 비정상의 시대가 영구 고착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름뿐이 정권교체가 아니라 국민의 삶을 바꾸겠다며 야당 후보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습니다.
[앵커]
오늘 여야 대권 주자들의 움직임도 짚어보죠.
[기자]
어제 의원직을 사퇴하면서 배수진을 친 이낙연 전 대표.
오늘 아침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국민에게 잘못된 선택의 여지가 생기면 안 된다는 역사적 책임을 고려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비교적 높은 지지를 받는 후보들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정책과 살아온 궤적이 걱정스럽다고 말했는데요,
여야의 경쟁 주자인 이재명 지사와 윤석열 전 총장을 동시에 에둘러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예상 밖의 큰 패배로 위기에 봉착한 이 전 대표의 이런 승부수가 이번 주말 전국 경선에서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주목됩니다.
국민의힘은 오늘부터 이틀 동안 경선 후보 국민 면접을 치릅니다.
오늘 면접에는 최근 가파른 지지율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홍준표 의원을 비롯해 유승민 전 의원, 최재형 전 감사원장 등이 참석할 예정인데요,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등으로 구성된 면접관들의 압박 면접에 후보들이 어떤 답변을 내놓을 지도 주목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태민입니다.
YTN 김태민 (tmkim@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