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대 출신 임오경 "올림픽 보이콧까지 가선 안 돼...IOC 중재해야"

국대 출신 임오경 "올림픽 보이콧까지 가선 안 돼...IOC 중재해야"

2021.06.04. 오전 11:2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이미지 확대 보기
국대 출신 임오경 "올림픽 보이콧까지 가선 안 돼...IOC 중재해야"
사진 출처 = YTN
AD
핸드볼 국가대표 출신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도쿄올림픽 보이콧까지 가선 안 된다고 본다"고 밝혔다.

4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한 임 의원은 도쿄올림픽 공식 홈페이지 일본 지도에 독도가 일본 땅인 것처럼 표기돼 올림픽 보이콧 움직임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지난 3일 독도 표기 문제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의원 등 132명은 "일본 측 행위는 올림픽 정신을 위배하는 도발 행위로 강력히 규탄한다"며 국회에 결의안을 제출했다. 임 의원도 여기에 동참했다.

임 의원은 이날 방송에서 "선수 출신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 조심스러워 정면에 나서진 못했는데, 외교력과 출전 문제는 다른 부분인 것 같다"고 입을 뗐다.

그는 "보이콧까지 가선 안 된다고 보고, 오히려 보이콧 했을 때 우리에게 돌아오는 것은 무엇인가, 보이콧을 하면 지금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점 하나 찍어 놓은 게 없어지는 건가, 실효성 부분이나 정치적 사유까지 여러 가지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임 의원은 "선수들은 20년, 30년 동안 국가대표가 되기 위해 어릴 적부터 꿈을 가져왔다"며 "올림픽은 4년에 한 번 있지만 4년에 한 번 준비한 게 아니라, 인생의 2/3를 다 바친 거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선수들은 동요하지 않고 열심히 준비해서 출전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임 의원은 "최악의 경우 보이콧도 마지막 수단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우리가 계속해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강하게 푸시해야 한다. 우리의 장점은 대한체육회 회장과 탁구 선수 출신 유승민 IOC 위원 두 명이 있다는 것이다. 이들이 더 효과적으로 IOC를 설득하고 다른 나라와 연대해서 외교적 해법으로 풀어주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특히 "IOC가 중재 역할을 정확하게 잘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독도는 대한민국 거지만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대한민국도 정치적인 선례를 지켜줬기 때문에 이번에 일본도 꼭 지켜줬으면 좋겠다는 게 제 개인적인 바람"이라고 했다.

지난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일본은 우리 한반도기 독도 표기에 항의했다. 이에 한국은 IOC 권고에 따라 남북 공동 입장 등에서 독도를 뺀 한반도기를 사용했다.

임 의원은 또 "최후의 수단으로 보이콧할 경우, 선수들에게 진짜 물어봤는지도 중요하다고 본다. 선수들, 지도자들에게도 의견을 물어보고 평생을 바쳐 준비한 선수들을 어찌할 것인지, 반대로 보이콧 했을 때 유공자로 인정할 것인지도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YTN PLUS 문지영 기자(moon@yt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