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여야 정치권은 복잡한 속내를 보이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교착 상태에 빠진 북·미, 남북관계에 물꼬가 트이길 기대하고 있지만, 문재인 정부 외교정책에 파상공세를 퍼붓고 있는 자유한국당은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깎아내렸습니다.
최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국회에 출석해 트럼프 대통령 방한에 대한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강경화 / 외교부 장관(지난 25일) : 트럼프 대통령 방한을 비롯해 각급에서 미국과의 긴밀한 공조를 지속하면서 남북관계 발전과 비핵화 진전의 선순환 구도를 공고화해나가겠습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같은 맥락입니다.
트럼프 대통령 방한을 계기로 꽉 막힌 북·미 관계, 나아가 남북관계도 실마리가 풀리길 기대합니다.
[이해찬 / 더불어민주당 대표(지난 26일) : 이번 회담이 한반도 비핵화 협상과 평화체제 구축 논의에 중대한 돌파구가 되도록 노력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한·미·일 공조를 통해 북한의 위협을 억제하는 게 중요한데 한일관계가 파탄 났다면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당은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고리로 한일관계를 개선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나경원 /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지난 26일) : 문재인 정부는 지금부터라도 정권의 이해관계에 초점을 맞춘 외교가 아닌 국익과 안보, 경제를 위한 외교를 해야 합니다.]
바른미래당도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선 한일관계 해결이 시급하다면서도, 트럼프 방한을 '한반도 평화진전'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손학규 / 바른미래당 대표(지난 26일) : 우리나라와 가장 가까운 나라인 일본과의 관계를 정상화하지 않으면 북핵 문제도 멀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민주당은 내심 '트럼프 방한'을 계기로 내년 총선 전에 남북관계의 획기적인 개선이 있길 기대하고 있고, 한국당은 문재인 정부 실정을 모두 덮어버리진 않을까 경계하는 분위기도 역력합니다.
YTN 최민기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여야 정치권은 복잡한 속내를 보이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교착 상태에 빠진 북·미, 남북관계에 물꼬가 트이길 기대하고 있지만, 문재인 정부 외교정책에 파상공세를 퍼붓고 있는 자유한국당은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깎아내렸습니다.
최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국회에 출석해 트럼프 대통령 방한에 대한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강경화 / 외교부 장관(지난 25일) : 트럼프 대통령 방한을 비롯해 각급에서 미국과의 긴밀한 공조를 지속하면서 남북관계 발전과 비핵화 진전의 선순환 구도를 공고화해나가겠습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같은 맥락입니다.
트럼프 대통령 방한을 계기로 꽉 막힌 북·미 관계, 나아가 남북관계도 실마리가 풀리길 기대합니다.
[이해찬 / 더불어민주당 대표(지난 26일) : 이번 회담이 한반도 비핵화 협상과 평화체제 구축 논의에 중대한 돌파구가 되도록 노력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한·미·일 공조를 통해 북한의 위협을 억제하는 게 중요한데 한일관계가 파탄 났다면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당은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고리로 한일관계를 개선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나경원 /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지난 26일) : 문재인 정부는 지금부터라도 정권의 이해관계에 초점을 맞춘 외교가 아닌 국익과 안보, 경제를 위한 외교를 해야 합니다.]
바른미래당도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선 한일관계 해결이 시급하다면서도, 트럼프 방한을 '한반도 평화진전'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손학규 / 바른미래당 대표(지난 26일) : 우리나라와 가장 가까운 나라인 일본과의 관계를 정상화하지 않으면 북핵 문제도 멀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민주당은 내심 '트럼프 방한'을 계기로 내년 총선 전에 남북관계의 획기적인 개선이 있길 기대하고 있고, 한국당은 문재인 정부 실정을 모두 덮어버리진 않을까 경계하는 분위기도 역력합니다.
YTN 최민기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