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 레이더가 내뿜는 강한 전자파가 환경에 나쁜 영향을 줄 거라는 우려가 여전한데요.
국방부가 사드보다 출력이 높은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 기지를 처음으로 언론에 공개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측정했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권민석 기자입니다.
[기자]
충청 지역에서 운용 중인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 그린파인은 최대 탐지거리가 700km로 북한 전역의 탄도탄 발사 징후를 감시합니다.
탐지 거리가 600∼800km인 사격 통제용 사드 레이더보다 출력은 더 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 당국은 사드 레이더와 비교해 안전성을 검증하겠다며, 그린파인 레이더로부터 30m와 100m, 150m 지점의 전자파를 측정했습니다.
측정 결과, 가장 가까운 30m 지점의 전자파 세기는 최고 0.2658W/㎡로 인체 허용 기준의 4.4%에 불과했습니다.
100m와 150m 지점에서도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원래 그린파인 레이더가 가동되면 530m 안으론 출입이 통제되지만, 군 당국은 사드 레이더처럼 그린파인도 지면에서 5도 각도로 빔이 방사돼 이보다 낮은 지역은 전자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국방부는 또 수도권에서 운용 중인 공군 패트리엇 부대의 레이더도 함께 공개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안전거리 120m 안쪽인 레이더 40m 지점에서 측정한 전자파 최대치가 인체 허용 기준의 2.8%에 그쳤습니다.
[이범석 / 국방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 : 일반인 거주 지역은 레이더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고도 차이가 많이 나서 전자파 강도는 인체 보호 기준보다 현저히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방부는 오는 17일, 사격통제용 사드 레이더가 설치된 태평양 미군 괌 기지도 처음으로 국내 언론에 공개해 우려 해소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YTN 권민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 레이더가 내뿜는 강한 전자파가 환경에 나쁜 영향을 줄 거라는 우려가 여전한데요.
국방부가 사드보다 출력이 높은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 기지를 처음으로 언론에 공개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측정했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권민석 기자입니다.
[기자]
충청 지역에서 운용 중인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 그린파인은 최대 탐지거리가 700km로 북한 전역의 탄도탄 발사 징후를 감시합니다.
탐지 거리가 600∼800km인 사격 통제용 사드 레이더보다 출력은 더 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 당국은 사드 레이더와 비교해 안전성을 검증하겠다며, 그린파인 레이더로부터 30m와 100m, 150m 지점의 전자파를 측정했습니다.
측정 결과, 가장 가까운 30m 지점의 전자파 세기는 최고 0.2658W/㎡로 인체 허용 기준의 4.4%에 불과했습니다.
100m와 150m 지점에서도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원래 그린파인 레이더가 가동되면 530m 안으론 출입이 통제되지만, 군 당국은 사드 레이더처럼 그린파인도 지면에서 5도 각도로 빔이 방사돼 이보다 낮은 지역은 전자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국방부는 또 수도권에서 운용 중인 공군 패트리엇 부대의 레이더도 함께 공개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안전거리 120m 안쪽인 레이더 40m 지점에서 측정한 전자파 최대치가 인체 허용 기준의 2.8%에 그쳤습니다.
[이범석 / 국방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 : 일반인 거주 지역은 레이더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고도 차이가 많이 나서 전자파 강도는 인체 보호 기준보다 현저히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방부는 오는 17일, 사격통제용 사드 레이더가 설치된 태평양 미군 괌 기지도 처음으로 국내 언론에 공개해 우려 해소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YTN 권민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