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지난 5일 발생한 서울 석촌지하차도 앞 싱크홀은 지하철 터널공사 때문이라는 1차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하차도 중심부에 훨씬 큰 빈공간이 발견됨에 따라 이 구간 차량을 전면통제하고 정밀안전진단에 들어갔습니다.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신웅진 기자!
여러가지 원인이 추정됐는데 결국 지하철 공사 때문이라는 것이죠?
[기자]
서울시는 석촌지하차도 앞 도로 함몰은 지하철 공사가 원인이라고 말했습니다.
관동대학교 토목학과 박창근 교수 등 외부 전문가 10명이 참가한 조사단이 밝힌 내용인데요.
조사단은 지하철 9호선 건설을 위해 석촌지하차도 하부를 통과하는 쉴드공법의 터널 공사가 원인으로 추정된다는 중간조사 결과를 냈습니다.
쉴드 공법은 원통형 강재인 쉴드를 회전시켜 토사와 암반을 자르고 수평으로 굴을 파 들어가는 것입니다.
싱크홀이 발생한 구간은 지하수에 취약한 모래나 자갈이 두껍게 깔려 있어서 지하수 수위가 떨어지면 쉽게 꺼질 수 있는 곳으로 확인됐습니다.
조사단은 어제 지하차도 중심부에서도 폭 5∼8미터, 깊이 4∼5미터, 길이 80미터의 빈공간이 추가로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5일 발견된 싱크홀이 폭 2.5미터, 깊이 5미터, 길이 8m 였으니 훨씬 큰 셈입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어제 오후 4시부터 석촌지하차도 차량 통행을 전면 통제하고 정밀안전진단에 들어갔습니다.
서울시는 다음 달까지 석촌지하차도 구조물 안전진단과 주변 지반 보강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또 주변 건축물에 계측기를 설치해서 균열, 경사도, 침하상태를 측정하고 기준을 벗어난 건축물이 있으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지하철 쉴드 터널 공사를 중단한다는 방침입니다.
싱크홀 발생 당시 석촌호수의 수위 변동도 원인의 하나로 거론됐지만 사고구간과 거리가 떨어져 있어 직접적인 관련성은 적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금까지 YTN 신웅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5일 발생한 서울 석촌지하차도 앞 싱크홀은 지하철 터널공사 때문이라는 1차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하차도 중심부에 훨씬 큰 빈공간이 발견됨에 따라 이 구간 차량을 전면통제하고 정밀안전진단에 들어갔습니다.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신웅진 기자!
여러가지 원인이 추정됐는데 결국 지하철 공사 때문이라는 것이죠?
[기자]
서울시는 석촌지하차도 앞 도로 함몰은 지하철 공사가 원인이라고 말했습니다.
관동대학교 토목학과 박창근 교수 등 외부 전문가 10명이 참가한 조사단이 밝힌 내용인데요.
조사단은 지하철 9호선 건설을 위해 석촌지하차도 하부를 통과하는 쉴드공법의 터널 공사가 원인으로 추정된다는 중간조사 결과를 냈습니다.
쉴드 공법은 원통형 강재인 쉴드를 회전시켜 토사와 암반을 자르고 수평으로 굴을 파 들어가는 것입니다.
싱크홀이 발생한 구간은 지하수에 취약한 모래나 자갈이 두껍게 깔려 있어서 지하수 수위가 떨어지면 쉽게 꺼질 수 있는 곳으로 확인됐습니다.
조사단은 어제 지하차도 중심부에서도 폭 5∼8미터, 깊이 4∼5미터, 길이 80미터의 빈공간이 추가로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5일 발견된 싱크홀이 폭 2.5미터, 깊이 5미터, 길이 8m 였으니 훨씬 큰 셈입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어제 오후 4시부터 석촌지하차도 차량 통행을 전면 통제하고 정밀안전진단에 들어갔습니다.
서울시는 다음 달까지 석촌지하차도 구조물 안전진단과 주변 지반 보강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또 주변 건축물에 계측기를 설치해서 균열, 경사도, 침하상태를 측정하고 기준을 벗어난 건축물이 있으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지하철 쉴드 터널 공사를 중단한다는 방침입니다.
싱크홀 발생 당시 석촌호수의 수위 변동도 원인의 하나로 거론됐지만 사고구간과 거리가 떨어져 있어 직접적인 관련성은 적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금까지 YTN 신웅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