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오랜만에 소개팅하게 된 A 씨. 머리부터 발끝까지 잔뜩 신경을 쓴 뒤 마지막으로 웨지힐(쐐기형의 굽이나 힐이 붙은 구두)을 신었다. 비가 올 거란 예보가 있었지만, 패션을 포기할 수 없었다.
그러나 약속 장소에 도착하기도 전 폭우가 쏟아졌다. 우산도 소용없었다. 비 맞은 생쥐 꼴로 약속 장소에 도착한 A 씨. 축축한 신발 때문에 상대의 얼굴은 눈에 들어오지도 않았다.
본격적인 장마철이다. A 씨처럼 패션과 실용성 사이에서 고민하는 여성들이 늘어나는 계절이다. 하지만 이제 고민을 좀 덜어보자. 장마철에도 멋 낼 수 있는 기능성 여름 신발들이 많아졌다.
◆ 다양해지는 디자인…비즈 장식, 에스닉 패턴 응용
기능성 슈즈는 발에 직접 닿는 충격을 완화하고 무게가 가벼워 걷거나 운동할 때 좋은 신발을 말한다. 워킹화, 등산화 등이 대표적인데 요즘은 계절적 요인이 고려된 신발도 기능성 신발로 불리곤 한다.
대표적인 기능성 여름 슈즈는 고무나 PVC 소재로 만든 젤리 슈즈. 크록스 마케팅팀 신성아 이사는 "젤리 슈즈는 일반 신발과 달리 가볍고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 일상생활에서 실용성과 스타일을 모두 살릴 수 있다"며 "올해는 예년보다 갑작스러운 비가 잦아 이런 아이템을 예년보다 일찍, 많이 찾고 있다"고 말했다.
슬립 온 스타일의 아쿠아 슈즈도 기능성 여름 슈즈로 최근 반응이 좋다. 역시 고무 소재인데 슬림한 형태라 정장 차림에도 어울린다. 신발 앞 뒤로 통기용 구멍을 내 시원하고 장마철에도 젖지 않는 게 특징이다.
굴참나무 줄기의 겉껍질로 만든 코르크 소재 신발도 꾸준히 인기다. ABC마트 이하연 마케팅팀장은 "지난 2분기 코르크 샌들 판매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배나 증가했다. 코르크 샌들 대표 모 브랜드는 대부분 모델의 준비 물량이 동나 다시 주문했다"고 전했다.
이런 목적성, 실용성에다 최근 나오는 기능성 여름 슈즈들은 화려한 디자인을 덧입었다. 발등 부분에 비즈나 리본 장식을 붙이고 에스닉 패턴을 그려 넣는 등 과감함이 두드러진다.
색상은 강렬해졌다. 투명한 파스텔 색조 중심에서 메탈, 골드, 실버, 원색 등이 다양하게 쓰인다. 슈즈 디자이너 우도연 씨는 "올해는 소치 동계올림픽과 브라질 월드컵 등 활동적인 행사가 많다 보니 스포티한 스타일이 강세다. 컬러도 메탈 컬러가 트렌드로 자리 잡았고 골드나 실버 등 강렬한 느낌의 아이템이 많이 등장한다"고 전했다.
레인 부츠도 단색 중심의 틀을 벗어났다. 페이즐리(소용돌이무늬) 패턴으로 이국적인 분위기가 나는 부츠나 부츠 입구에 날개 모양의 가죽 디테일을 붙인 여성스러운 느낌이 강한 부츠도 출시됐다.
[슬립 온 : 묶는 끈이나 죔쇠가 달리지 않은 신발의 총칭]
◆ 다양해지는 남성 콜렉션…색상은 차분하게
남성용 여름 슈즈도 여성용 기능성 신발처럼 관리하기 편한 PVC와 코르크 소재 아이템이 인기다.
색상 면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여성용보다 더 차분하다. 브라운, 블랙, 남색 등 클래식한 색에 옆면에 포인트 색을 넣어 시선을 집중시킨다.
디자인 면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글래디에이터 룩이 계속 반응이 좋다. 블랙 스티치가 들어가 세련된 느낌의 스트랩 샌들은 남녀 공용으로, 당당해 보이는 룩을 선호하는 여성 소비자들에게도 인기다.
◆ 밑창 얇은 여름 신발…발 건강 조심
슬리퍼·샌들·젤리슈즈·레인부츠…. 여름철에 신는 신발은 공통으로 밑창이 얇다. 굽이 낮다고 맹신했다가는 건강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슬리퍼는 발뒤꿈치가 고정되지 않아 발목을 지탱해주지 못한다. 무게중심이 불안정해지면 이는 곧 발의 피로감으로 이어진다.
윤승재 한의사는 "뒷굽이 1cm 정도로 낮은 신발을 신고 걸어도 발뒤꿈치가 받는 압력은 하이힐을 신었을 때보다 1.4배나 더 높아 족저근막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족저근막염은 족저근막이 반복적인 미세 손상을 입어 염증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윤 씨는 "걷거나 뛸 때 발뒤꿈치가 가장 먼저 땅에 닿게 된다. 그런데 굽이 지나치게 낮은 신발은 충격이 흡수되지 않고 발바닥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발바닥 근육에 무리가 가고 염증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족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윤 씨가 제안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로, 발의 특정 부분에만 체중을 싣지 않도록 하고 발뒤꿈치, 발바닥, 발끝 순서로 걷는 3박자 보행을 습관화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굽이 다른 신발을 교대로 신는 것. 윤 씨는 "가장 적절한 굽은 2.5~3.5cm이니 너무 굽이 높거나 낮은 신발을 이틀 연속으로 신지 않고 자신에게 꼭 맞는 신발과 하루씩 교대로 신는 것이 발 건강을 위한 최소한의 예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YTN PLUS 강내리 기자 (nrk@ytnplus.co.kr)
[사진제공 = 핏플랍, 에이글, 금강제화, 크록스, 네이티브]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그러나 약속 장소에 도착하기도 전 폭우가 쏟아졌다. 우산도 소용없었다. 비 맞은 생쥐 꼴로 약속 장소에 도착한 A 씨. 축축한 신발 때문에 상대의 얼굴은 눈에 들어오지도 않았다.
본격적인 장마철이다. A 씨처럼 패션과 실용성 사이에서 고민하는 여성들이 늘어나는 계절이다. 하지만 이제 고민을 좀 덜어보자. 장마철에도 멋 낼 수 있는 기능성 여름 신발들이 많아졌다.
◆ 다양해지는 디자인…비즈 장식, 에스닉 패턴 응용
기능성 슈즈는 발에 직접 닿는 충격을 완화하고 무게가 가벼워 걷거나 운동할 때 좋은 신발을 말한다. 워킹화, 등산화 등이 대표적인데 요즘은 계절적 요인이 고려된 신발도 기능성 신발로 불리곤 한다.
대표적인 기능성 여름 슈즈는 고무나 PVC 소재로 만든 젤리 슈즈. 크록스 마케팅팀 신성아 이사는 "젤리 슈즈는 일반 신발과 달리 가볍고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 일상생활에서 실용성과 스타일을 모두 살릴 수 있다"며 "올해는 예년보다 갑작스러운 비가 잦아 이런 아이템을 예년보다 일찍, 많이 찾고 있다"고 말했다.
슬립 온 스타일의 아쿠아 슈즈도 기능성 여름 슈즈로 최근 반응이 좋다. 역시 고무 소재인데 슬림한 형태라 정장 차림에도 어울린다. 신발 앞 뒤로 통기용 구멍을 내 시원하고 장마철에도 젖지 않는 게 특징이다.
굴참나무 줄기의 겉껍질로 만든 코르크 소재 신발도 꾸준히 인기다. ABC마트 이하연 마케팅팀장은 "지난 2분기 코르크 샌들 판매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배나 증가했다. 코르크 샌들 대표 모 브랜드는 대부분 모델의 준비 물량이 동나 다시 주문했다"고 전했다.
이런 목적성, 실용성에다 최근 나오는 기능성 여름 슈즈들은 화려한 디자인을 덧입었다. 발등 부분에 비즈나 리본 장식을 붙이고 에스닉 패턴을 그려 넣는 등 과감함이 두드러진다.
색상은 강렬해졌다. 투명한 파스텔 색조 중심에서 메탈, 골드, 실버, 원색 등이 다양하게 쓰인다. 슈즈 디자이너 우도연 씨는 "올해는 소치 동계올림픽과 브라질 월드컵 등 활동적인 행사가 많다 보니 스포티한 스타일이 강세다. 컬러도 메탈 컬러가 트렌드로 자리 잡았고 골드나 실버 등 강렬한 느낌의 아이템이 많이 등장한다"고 전했다.
레인 부츠도 단색 중심의 틀을 벗어났다. 페이즐리(소용돌이무늬) 패턴으로 이국적인 분위기가 나는 부츠나 부츠 입구에 날개 모양의 가죽 디테일을 붙인 여성스러운 느낌이 강한 부츠도 출시됐다.
[슬립 온 : 묶는 끈이나 죔쇠가 달리지 않은 신발의 총칭]
◆ 다양해지는 남성 콜렉션…색상은 차분하게
남성용 여름 슈즈도 여성용 기능성 신발처럼 관리하기 편한 PVC와 코르크 소재 아이템이 인기다.
색상 면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여성용보다 더 차분하다. 브라운, 블랙, 남색 등 클래식한 색에 옆면에 포인트 색을 넣어 시선을 집중시킨다.
디자인 면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글래디에이터 룩이 계속 반응이 좋다. 블랙 스티치가 들어가 세련된 느낌의 스트랩 샌들은 남녀 공용으로, 당당해 보이는 룩을 선호하는 여성 소비자들에게도 인기다.
◆ 밑창 얇은 여름 신발…발 건강 조심
슬리퍼·샌들·젤리슈즈·레인부츠…. 여름철에 신는 신발은 공통으로 밑창이 얇다. 굽이 낮다고 맹신했다가는 건강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슬리퍼는 발뒤꿈치가 고정되지 않아 발목을 지탱해주지 못한다. 무게중심이 불안정해지면 이는 곧 발의 피로감으로 이어진다.
윤승재 한의사는 "뒷굽이 1cm 정도로 낮은 신발을 신고 걸어도 발뒤꿈치가 받는 압력은 하이힐을 신었을 때보다 1.4배나 더 높아 족저근막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족저근막염은 족저근막이 반복적인 미세 손상을 입어 염증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윤 씨는 "걷거나 뛸 때 발뒤꿈치가 가장 먼저 땅에 닿게 된다. 그런데 굽이 지나치게 낮은 신발은 충격이 흡수되지 않고 발바닥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발바닥 근육에 무리가 가고 염증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족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윤 씨가 제안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로, 발의 특정 부분에만 체중을 싣지 않도록 하고 발뒤꿈치, 발바닥, 발끝 순서로 걷는 3박자 보행을 습관화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굽이 다른 신발을 교대로 신는 것. 윤 씨는 "가장 적절한 굽은 2.5~3.5cm이니 너무 굽이 높거나 낮은 신발을 이틀 연속으로 신지 않고 자신에게 꼭 맞는 신발과 하루씩 교대로 신는 것이 발 건강을 위한 최소한의 예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YTN PLUS 강내리 기자 (nrk@ytnplus.co.kr)
[사진제공 = 핏플랍, 에이글, 금강제화, 크록스, 네이티브]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