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민 내정자, 석연치 않은 해명 논란

신재민 내정자, 석연치 않은 해명 논란

2010.08.24. 오전 00:0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신재민 문화부 장관 내정자에 대해 부인의 위장취업과 부동산 투기 의혹이 추가로 불거졌습니다.

하지만 신 내정자의 해명이 납득할 만한 내용이 아니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민주당 장병완 의원은 신재민 장관 내정자 부인이 지난 2004년 전자부품회사에 위장취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신재민 내정자 측은 비상임 감사로 일했고, 해당 업체가 다른 업체로 인수합병되면서 직원 승계 조건에 따라 계속 급여를 받았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법인 등기부와 각종 공시 자료에 신 내정자 부인의 이름은 없었습니다.

이에 대해 신 내정자 측은 소규모 기업에서는 비상임 감사는 등기하지 않는 것이 관행이라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법률 전문가들은 그런 관행은 없다고 말합니다.

[녹취:모 법무법인 기업 자문 변호사]
"등기를 안하면 과태료를 부과받게 됩니다. 저는 이런 상법 규정에 반하는 관행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게다가 해당 업체는 2004년 당시 외부 회계감사를 받던 회사입니다.

[녹취:장병완, 민주당 의원]
"감사는 주주의 이익과 투자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는데, 이렇게 실제 근무하지 않고 월급을 지급하는 행위가 일반화된다면 주식회사 제도가 그 근간이 훼손될 수 밖에 없는 중대한 문제입니다."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대형 아파트 분양권 전매와 관련한 해명도 석연치 않습니다.

신 내정자는 2003년 7월 주거 목적으로 샀다가 아이들 교육에 적합치 않다고 생각해 2005년 4월 분양권을 팔았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투기 의혹을 제기한 민주당 서갑원 의원측은 당시 신 내정자의 자녀들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다니고 있었고, 일산의 좋은 학군으로 위장전입 했던 상황이라며 해명이 부족하다고 지적합니다.

[녹취:현지 부동산 공인중개업소 관계자]
"초등학교, 중학교가 없었어요. 그 당시엔 여기 길도 없어서 엄마들이 애를 학교 보내려고 아예 그것 때문에 이사가고 그랬다니까요. 거의 안들어왔다고 봐야죠. 그러니까 미분양이 생기지."

불거지는 의혹에 비해 해명은 미흡한 상황이어서 신재민 내정자의 청문회 답변 내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