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일본 외무성은 홈페이지의 한국 소개 내용에서 '자유와 민주주의, 시장경제 등의 기본적 가치를 공유한다'는 표현을 삭제했습니다.
외무성은 홈페이지의 '최근의 한일관계' 항목에서 '일본과 자유와 민주주의, 시장경제 등의 기본적 가치를 공유하는 중요한 이웃나라'라는 종전 한국 소개 문구를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로 대체했습니다.
외무성의 한국 관련 기술 변경은 아베 신조 총리의 시정방침 연설 내용의 변화와 거의 일치합니다.
아베 총리는 지난 2013년 2월과 지난해 1월 연설 때 한국에 대해 '자유와 민주주의라는 기본적 가치와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 '기본적 가치와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로 각각 규정했지만 올해 2월 연설에서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라고만 칭했습니다.
아사히신문은 외무성 홈페이지의 기술 변화에 대해 '한국에 대한 의식의 변화가 배경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아사히는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사법과 한국 사회에 대한 불신이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한국 검찰에 의해 불구속 기소된 산케이 신문 전 서울지국장 문제의 영향을 거론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외무성은 홈페이지의 '최근의 한일관계' 항목에서 '일본과 자유와 민주주의, 시장경제 등의 기본적 가치를 공유하는 중요한 이웃나라'라는 종전 한국 소개 문구를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로 대체했습니다.
외무성의 한국 관련 기술 변경은 아베 신조 총리의 시정방침 연설 내용의 변화와 거의 일치합니다.
아베 총리는 지난 2013년 2월과 지난해 1월 연설 때 한국에 대해 '자유와 민주주의라는 기본적 가치와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 '기본적 가치와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로 각각 규정했지만 올해 2월 연설에서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라고만 칭했습니다.
아사히신문은 외무성 홈페이지의 기술 변화에 대해 '한국에 대한 의식의 변화가 배경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아사히는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사법과 한국 사회에 대한 불신이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한국 검찰에 의해 불구속 기소된 산케이 신문 전 서울지국장 문제의 영향을 거론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